•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도심의 기능

문서에서 요 약 (페이지 39-42)

도심은 행정, 업무, 서비스 등의 중추기능을 발휘하고 최고의 결정, 최신의 기 획, 최대의 흡인, 최다의 접촉을 일으키는 도시 내 최고위 중심지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도심은 중심기능을 끌어들이는 구심력(centripetal forces)으로 인 해 정치, 사회, 문화활동이 다른 지역보다 빈번하게 이루어지는 공간이면서 특히 경제활동이 활발하다.

도심은 양호한 접근성으로 인하여 지가가 높으므로 높은 지대를 감당할 수 있 는 고도의 상업․업무기능이 본연의 기능이다. 도심의 기능은 경제활동 중심의 구조지향적 도심활동 구분과 실제의 토지이용활동 구분을 통하여 파악할 수 있 다.8) 경제활동에 의한 도심기능은 산업분류별로 집중

분산, 면적

점적

선적 배열 등의 입지적 특성에 따라 파악되며 토지이용에 의한 도심기능은 건축물의 유무, 건축법상의 용도 등에 따라 구분된다.

도심의 기능은 전통적으로 관리적 기능과 상업서비스적 기능으로 대별되며, 관리 적 기능은 행정관리기능․기업관리기능으로, 상업서비스적 기능은 기업투자관련기 능․상업관련기능․위락관련기능․보도서비스관련기능으로 나눌 수 있다.

8) 대한국토

도시계획학회, 1996, 「토지이용계획론」, 서울 : 보성각, p.154.

<그림 2-2> 도심기능과 CBD기능

자료 : 김창석외, 2000, 「도시중심부 연구」, 서울 : 보성각, p.22(재정리) 행정관리기능

관리기능

기업관리기능

도심기능 기업투자관련

기능 CBD 기능

상업관련 기능 상업서비스

기능

위락관련 기능

언론관련기능

R. E. Murphy와 J. E. Vance는 도심기능을 순수주거기능, 관공서 및 공공시설, 교회와 대학, 공업시설, 도매기능, 창고 및 공지 등 비도심기능이 아닌 기능으로 정의하였고, 홍경희(1983)는 도심부를 시가지의 중앙에 위치하고 도시를 움직이 는 중추기관이 협소한 지구에 응집하는 곳으로 정의하고 도심상점가, 회사․은행 가(업무지구), 관공서가(행정지구), 도매상점가로 구성된다고 하였다.

도심의 기능은 절대적 중심성에 기여하는 도심지역형성용도와 그 도시가 지닌 고유한 공간적 특성에 의해 나타난 용도를 대변하고 있다. 도심의 기능들은 주변 여건과 시대상황의 변화에 따라 집중과 분산이 되는 동적인 변화과정을 거친다.

기존의 도심기능이 변화하고 새로운 도심기능이 출현함에 따라 도심에서 외곽으

로 이탈하려는 원심적 이동을 하는 기능이 있는가 하면 교외지역에서 도심지역 으로 집중하고자 하는 구심적 이동을 하는 기능이 존재함으로서 도심의 기능 즉, 토지이용구조는 크게 변화된다. 주택, 공장, 학교 등이 원심적 이동하는 기능들이 고 기업의 본사, 고급소매점, 백화점, 호텔 등은 구심적 이동을 하는 기능이다.

특히 최근에 자동차의 획기적인 보급, 정보통신수단의 발달로 원심적 이동과 구 심적 이동이 동시에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은 서로 연계되어 있어서 특정기능만을 중점적으로 다루는 것은 도심의 전체 맥락에서의 문제를 간과할 염려가 있으므로 총체적으로 다루 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심기능을 상업․

업무기능, 문화․위락기능, 도심주거기능 등으로 구분하고 현재 지방대도시의 도심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전통적 도심기능을 중심으로 변화양상을 분 석하고 이와 더불어 새로운 도심기능의 유치 전략을 모색하도록 한다.

그러나 전통적 도심기능은 현대에 이르러 교통․통신․기술의 발달 및 정보화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기능의 이용, 집중 등에 있어 많은 변화가 생겨났다. 특히 정보화의 도래로 현재 도시의 지리적 개념과 토지이용패턴이 많이 변화될 것이 라고 전망하고 있다. 즉, 도심으로의 기능집중 현상이 크게 완화되면서 기존 도 심지역의 역할이 위축되고, 비결절적이면서 균질적인 도시공간구조가 나타나리 라고 예상하는 분산론이 새로이 생겨났으나, 정보통신의 속성상 계층성과 결절 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오히려 이미 기반의 집적이 이루어져있는 기존 도심으 로의 집적과 중심성이 더욱 강화되면서 정보화로 고도화될 수 있다는 집중론도 설득력을 갖고 있다.9) 10) 실제로 서구도시들의 경우, 외곽의 입지적 경쟁력이 높 아지면서 주거, 업무기능들이 빠져나가고 도심이 황폐화되는 과정을 통해 이러 한 변화양상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9) 계기석, 변홍수, 1998, 「사회변화에 따른 도시시설전망과 계획적 입지방안」, 안양 : 국토개발연구원, p.72 10) 김현식 외, 2002, 「정보화시대 도시정책방향과 과제에 관한 연구」, 안양 : 국토연구원, p.59.

문서에서 요 약 (페이지 39-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