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 생산․출하 현황

4) 친환경농산물

가. 유통 경로6)

○ 2007년 기준 친환경농산물 시장 규모는 1조 8,989억 원으로 전체 농산물시장에서 6.2%를 차지하는 것으로 추정됨. 이중 채소류가 6,143억 원으로 32.4%, 곡류가 5,853억 원으로 30.8%, 과실류가 4,006억 원으로 21.1% 등의 순으로 추정됨.

○ 친환경농산물의 생산과 수요 증가로 다양한 형태의 유통경로가 혼재하고, 친환경 농산물의 차별화를 위해서 생산과 유통이 밀접하게 제휴하면서 다양한 형태의 판 매망이 형성되고 있음.

○ 친환경농산물의 유통 경로는 생산자와 소비자가 직거래하는 형태, 생산자조직과 소비자조직 등을 통하여 소비자와 거래되는 형태, 생산자에서 전문유통업체를 거 쳐 백화점 또는 전문판매점을 통해 소비자와 거래되는 형태 등 세 가지 유형으로 대별될 수 있음.

○ 친환경인증농산물의 출하처별 구성비를 보면 직거래 비중이 10~15%, 생산자조 직과 대형마트(하나로클럽 포함)를 통한 거래 비중이 40~45%, 한살림과 생협 등 소비자 단체를 통한 거래 비중이 15~20%, 전문매장․인터넷 등을 통한 거래 비 중이 20~25% 정도를 차지하는 것으로 추정됨.

- 최근 들어 친환경농산물의 시장거래 물량이 확대되면서 직거래와 소비자단체 를 연계한 유통 비중은 감소하고 있으나, 대형마트 및 전문유통업체의 비중이 크게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냄.

6) 김창길 외, 「친환경농산물의 소비 성향과 마케팅전략」, KREI, 2008 참조.

○ 친환경농산물 매장운영 형태와 구매 행태는 백화점과 슈퍼마켓의 경우 손실발생 과 전문성 문제를 우려하여 수수료매장 위주로 운영하고, 생산자(조직)나 친환경 전문유통점이 입점하여 판매하고 있음.

- 점포수가 크게 증가하고 있는 할인점 등 대형마트는 최근 전문유통점을 점포 내 점포(shop in shop) 형태로 입점시켜 운영하였으며, 최근에는 직영코너를 확대하고 있음.

○ 할인점과 같은 대형유통업체는 최근 친환경농산물을 차별화 전략의 하나로 인식 하여 산지직구매를 늘리고 있음.

- 대형유통업체의 산지직구매 비율은 대체로 전체의 절반 수준이며, 구색상품은 주로 벤더를 이용하며, 한살림이나 생협은 계약재배에 의해 직구매를 하고 있 으며, 전문유통매장들도 직구매를 원칙으로 함.

나. 유통 특성

○ 친환경농산물은 품질 차별성을 유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직거래와 전문유통조직 이 발달하며 일반 농산물과 차별화된 별도의 시장으로 분리됨8).

- 친환경성과 품질이 외관으로 확인하기 어렵고 도매시장 등에서 가격 결정 조 건으로 성립하기 어렵기 때문에, 생산 단계에서 소비 단계에 이르기까지 연결 된 통합적 조직으로 존재

- 즉 거래상대가 특정되어 있는 폐쇄적인 유통 구조

○ 거래시점에서 눈으로 확인할 수 없는 재배방법에 대해 거래당사자간의 인지와 신 뢰가 필요하며, 그이 따른 상품가격 차이에 대한 인정이 필요함9).

○ 친환경농산물의 생산과 소비가 증가함에 따라 유통경로도 개방적이고 다양화되 고 있으며 유통업체의 브랜드 영향력이 증대됨.

- 전문유통업체 및 대형유통업체의 소매매장과 취급규모 증가 - B2C 중심의 온라인 거래 확대

8) 정은미, 「친환경농산물의 거래 특성」, KREI, 2006 참조.

9) 성진근 외, 「aT의 신성장동력 사업개발을 위한 새로운 유통시스템 구축방안 연구」, 한국농 업경영포럼, 2008 에서는 친환경농산물의 상품적 특성을 거래시점에서 눈으로 확인할 수 없다는 점은 거래중개기관(전자거래소)에 의해 신뢰할 수 있는 인증체계가 갖춰진다면 오 히려 강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주장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