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축산업의 사회적 책임 관련 농업인 인식

1차연도 연구는 축산업의 사회적 책임 관련하여 축산인과 일반 국민을 대상으 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2차연도 연구는 실제 축산업이 이루어지는 농촌 공간에 거 주하는 농업인을 대상으로 축산업 및 축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 였다. 본 조사는 한국농촌경제연구원 현지통신원 중 인터넷 응답이 가능한 923명 을 대상으로 11월 27일부터 29일까지 온라인으로 이루어졌다. 이중 축산업에 종 사하는 응답자는 전체의 19%인 175명이었다.

1.1. 축산업에 대한 인식

응답자에게 축산업의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 측면에 대해 조사하였다. 설문에 서 축산업의 긍정적인 측면으로 ‘동물성 단백질 등 필수영양분 제공’, ‘국가경제 (GDP, 고용 등) 발전에 기여’, ‘지역경제 발전에 기여’, ‘다양한 교육기회 제공(목 장체험 등)’, ‘친환경 농업 활성화(퇴비 생산 등)에 기여’, ‘농업·농촌을 유지하는 역할’, ‘식량안보를 지키는 역할’ 등을 제시하였다. 반면 부정적인 측면으로는 ‘환

경문제 발생(수질 및 대기오염, 악취 등)’, ‘동물 질병 발생(구제역, AI 등)’, ‘각종

응답자들은 축산업이 가지는 긍정적인 측면으로 ‘동물성 단백질 등 필수 영양 분 제공’과 ‘농업·농촌을 유지하는 역할’이 중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반면 1차연도 연구와는 달리 지역경제 및 국가경제에 대한 기여도에 대한 답변은 많지 않았다.

표 5-3 축산업의 긍정적 측면 답변 순위

구분 응답수 순위

동물성 단백질 등 필수 영양분 제공 536 1

농업·농촌을 유지하는 역할 470 2

식량 안보를 지키는 역할 285 3

친환경 농업 활성화(퇴비 생산 등)에 기여 215 4

지역경제발전에 기여 163 5

국가경제(GDP, 고용 등)발전에 기여 87 6

다양한 교육기회 제공(목장체험 등) 24 7

주: 1, 2순위 중복 응답 결과임.

자료: 설문조사 결과.

한편 축산업이 가지는 부정적인 측면에는 ‘환경문제 발생’이 압도적으로 많은 응답률을 보였고 다음으로는 ‘지역 내 주민들 간의 분쟁 발생’과 ‘동물 질병 발생’

이었다. 반면 ‘식품안전성 문제 발생 가능성’에 대한 응답은 가장 낮았다.

표 5-4 축산업의 부정적 측면 답변 순위

구분 응답수 순위

환경문제 발생(수질/대기오염, 악취 등) 740 1

지역 내 주민들 간의 분쟁 발생/상생부족 318 2

동물 질병 발생(구제역, AI 등) 267 3

사료 생산을 위한 해외로부터 곡물 수입 증가 158 4

각종 법률·규정을 지키지 않는 농가 존재 145 5

동물복지에 어긋나는 공장식 축산업 136 6

축산물의 식품안전성 문제 발생 가능성 31 7

주: 1, 2순위 중복 응답 결과임.

자료: 설문조사 결과.

1.2. 축산업으로부터 부정적 영향 경험 여부

설문조사 응답자의 83.3%가 거주 지역 또는 인근 지역 축산농가의 악취, 소 음, 수질오염을 경험한 적이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절반 이상(54.5%)이 축산 농가와 마찰 및 갈등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다. 마찰 및 갈등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농가(503명)는 ‘악취(89.5%)’가 가장 큰 갈등 요인이라고 답했으며, 이와 같은 환 경문제의 심각성에 대해서는 ‘심각하다’는 응답(76.8%)이 가장 많았다.

표 5-5 거주 지역 또는 인근 지역 축산농가의 악취, 소음, 수질오염 경험 유무

구분 경험유무

전체 있다 없다 무응답

923명 769명 139명 15명

100.0% 83.3% 15.1% 1.6%

자료: 설문조사 결과.

표 5-6 거주 지역 축산농가와 마찰 및 갈등 경험 유무

구분 경험유무

전체 있다 없다 무응답

923명 503명 408명 12명

100.0% 54.5% 44.2% 1.3%

자료: 설문조사 결과.

표 5-7 거주 지역 축산농가와 마찰 및 갈등 주요 요인

구분 주요 요인

전체 악취 소음 수질오염 무응답

503명 450명 13명 34명 6명

100.0% 89.5% 2.6% 6.8% 1.2%

자료: 설문조사 결과.

표 5-8 축산농가 악취, 소음, 수질오염 등의 심각성 정도

구분 심각성 정도

전체 전혀 심각하지 않다 심각하지 않다 심각하다 매우 심각하다 무응답

923명 14명 180명 530명 179명 20명

100.0% 1.5% 19.5% 57.4% 19.4% 2.2%

자료: 설문조사 결과.

대다수의 응답자들이 축산농가에서 발생하는 환경적 문제들을 경험한 적이 있 고 그 수준이 심각하다고 판단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축산농가와의 마찰과 갈등 이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축산농가의 환경오염 관련 문제가 과거부터 현재까지 꾸준히 지속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개선되지 않는 요인으로는 ‘축산농 가의 현실 인식 및 자발적 개선의지 부족’이 가장 많이 선택되었고, ‘지역주민과의 소통 부재 및 상생 노력 부족’과 ‘정부의 엄격한 법집행 부족’ 때문이라는 의견이 다음으로 많았다.

표 5-9 축산농가와 지역주민과의 갈등 지속 요인

단위: 명

구분 응답현황 순위

축산업 종사자의 현실 인식 및 자발적 개선의지 부족해서 566 1

지역주민과의 소통 부재 및 상생 노력 부족해서 277 2

정부의 엄격한 법집행 부족해서 262 3

법과 제도 기준이 느슨해서 206 4

축산업 종사자 인식전환을 위한 교육 및 홍보 부족해서 126 5

주: 1, 2순위 중복 응답 결과임.

자료: 설문조사 결과.

1.3. 축산업의 현재 및 미래에 대한 의견

이 연구는 축산업의 공익적 역할과 기능, 향후 경축순환농업 실천의 증가 가능 성, 악취 및 수질오염 등 환경문제 개선 가능성, 향후 친환경 및 동물복지 축산 실 천 증가 가능성, 축산농가의 방역 이행에 대한 인식, 향후 축산업에 대한 인식에 대

한 설문도 실시하였다. 전체 응답자의 78.1%가 ‘축산업의 공익적 역할과 기능이 있다’고 판단하였으며, 69.7%가 ‘미래에는 경축순환농업 실천이 증가할 것’으로 응답하였다. 축산업이 악취, 수질오염 등 환경문제에 대해서도 향후 ‘개선될 것이 다’는 응답(70.5%)과 친환경축산과 동물복지 실천 또한 증가할 것 생각하는 의견 (76.1%)이 많았다.

표 5-10 축산업의 공익적 역할과 기능에 대한 인식

구분 공익적 역할과 기능이 있다 공익적 역할과 기능이 없다 무응답

923명 721명 185명 17명

100.0% 78.1% 20.0% 1.8%

자료: 설문조사 결과.

표 5-11 향후 경축순환농업 실천 증가 가능성

구분 증가할 것이다 증가하지 않을 것이다 무응답

923명 643명 261명 19명

100.0% 69.7% 28.3% 2.1%

자료: 설문조사 결과.

표 5-12 향후 축산업이 환경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 개선 가능성

구분 개선될 것이다 개선되지 않을 것이다 무응답

923명 651명 260명 12명

100.0% 70.5% 28.2% 1.3%

자료: 설문조사 결과.

표 5-13 향후 친환경 축산과 동물복지 실천 증가 가능성

구분 증가할 것이다 증가하지 않을 것이다 무응답

923명 702명 202명 19명

100.0% 76.1% 21.9% 2.1%

자료: 설문조사 결과.

축산농가의 방역 이행에 대해서는 잘 이행하고 있다는 응답(56.6%)이 이행하 고 있지 않다는 응답(41.1%)보다는 많았으나, 다른 문항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긍정적인 인식이 낮았다. 향후 축산업에 대해서는 ‘더 긍정적으로 변할 것이다’는 응답(47.2%)이 ‘큰 변화가 없을 것이다’라는 응답(27.7%)과 ‘더 부정적으로 변할 것이다’는 응답(23.4%)보다 더 많았다.

표 5-14 축산농가의 가축전염병 방역 이행 여부

구분 잘 이행하고 있다 이행하고 있지 않다 무응답

923명 522명 379명 22명

100.0% 56.6% 41.1% 2.4%

자료: 설문조사 결과.

표 5-15 향후 축산업에 대한 사회적 인식

구분 더 부정적으로

변할 것이다

더 긍정적으로 변할 것이다

지금과 큰 변화가

없을 것이다 무응답

923명 216명 436명 256명 15명

100.0% 23.4% 47.2% 27.7% 1.5%

자료: 설문조사 결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