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초기 생태여성주의 비판

Ⅲ. 생태여성주의에서 본 생태철학

3) 초기 생태여성주의 비판

초기 생태여성주의는 여성과 자연이 본래적으로 동일하다는 생물학적이고 본 질적인 입장의 주도적이었다. 본질적 생태여성주의 입장에서는 여성과 자연이 연 결되어 있다는 주장을 넘어서 여성이 남성과 다른 모성, 감성, 직관, 돌봄의 능력 이 있다고 보았다. 이는 여성에게 본래적으로 주어진 것이라고 보았다. 그러나 문화적 생태여성주의자들은 여성과 자연의 동일성 주장이야말로 여성을 억압하 고 착취하기 위해 남성들이 만들어낸 것을 받아들인 것이라고 비판하였다.

문화적 생태여성주의자들에 따르면 자연은 그 자체로 역동적인 것이며 자연의 질서와 조화를 이룬 것으로 본다. 여성적인 속성이든 남성적인 속성이든 자연의 보편적 속성이다. 그러나 고대 이후 남성들은 여성과 자연을 지배하기 위해 자연 의 보편적 속성을 이원화, 도구화하였다. 따라서 문화적 생태여성주의자들은 이 를 극복하기 위해 문화적 가치의 변형을 시도하였다.

본질적이든 문화적이든 생물학적 차이에 기초해 여성을 지배하는 관점은 억압 과 착취의 측면에서 자연과 여성을 동일시한다. 이에 대한 비판은 여성과 자연의 연관성을 논한다는 측면에서 이원론적 한계를 벗어나지 못한다. 빌(Janet Biehl) 은 본질주의 입장에서든, 문화적 구성주의 입장에서든 여성과 자연의 연계를 강 조하는 것은 또 다시 ‘여성성의 신화’에서 벗어나지 못하게 할 것이라고 비판한

다.99)

문화적 생태여성주의는 이런 한계에도 불구하고 초기의 생태여성운동이 형성 되고 발전되는 과정에서 주요한 역할을 하였다. 문화적 생태여성주의는 비정치적 인 존재라는 여성들의 자기인식을 변화시키며, 자신들과 담을 쌓고 있던 문제에 관심을 갖고 정치적 주체로 활동할 수 있도록 부추겼다. 이런 면에서 여성들 스 스로가 일어서는 운동이라 볼 수 있다. 더 나아가 여성들 스스로 이 사회의 적극 적인 주체로 여성들의 이야기를 해나간다면, 그동안 가부장적 남성중심의 사회에 서 여성과 자연을 가치절하해온 사고방식을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가부장제가 사라진다고 해서 다른 형태의 억압과 착취도 사라지는 것 은 아니다. 본질적이든 문화적이든 모두 다 자연과 여성의 억압적 범주를 벗어나 는 인종과 계층, 민족주의 문제를 넘어선 여성의 삶과 역사들에 대한 다양성을 적절히 언급하지 못한다. 여성, 역사, 권력, 자연의 복잡성을 인식하기에는 아직 까지 부족하다. 그럼에도 오래된 영성의 전통을 끌어내어 이원론적이지 않은 삶 의 양식을 보여주고, 오래된 여성들의 지혜에서 지구환경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 는 데 큰 의의가 있다. 여성과 자연의 본질적 속성인 재생산적인 영역에서 해방 을 추구하는 것은 성(性)을 넘어서는 다름과 차이가 공존하는 세상을 만들어 나 가는 데 기여할 것이다.

문화적 생태여성주의는 개인적인 변화와 개인의 역량 강화에 대해 강조하면서 개인적인 문제를 정치화시키는 경향이 있다. 이것은 영성과 정치학의 명백한 대 립을 극복하기 위한 시도에서 가장 확실하게 드러난다. 자연으로부터 나오는 개 개인의 역동적인 발전이론을 요구하다보니 남성과 여성의 성차(性差)는 구체화되 지 않고 인간과 자연 사이의 변증법적 관계가 이해될 뿐이다. 그러므로 자연에 대한 지배와 인간에 대한 지배를 분리해서 볼 수는 없다. 역사에서 둘 중 무엇이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하는지의 논쟁은 의미 없다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초기 생태여성주의는 여성의 사회적 활동을 자연의 영역에 묶어두 게 되어 역사적 주체로서 여성을 바르게 설명할 수 없다. 따라서 변증법적인 이

99) Biehl, Janet, Finding Our Way. Rethinking Ecofeminist Politics, Black Rose Books, 1991, 9-25쪽; 황 선애, 생태여성주의와 생태여성주의 문학비평-문제점과 전망 , Women's Studies Forum제66호, 한국여 성정책연구원, 2004, 4쪽 재인용.

론과 실천을 유기체적으로 전개시켜 나가야만 존재로부터 당위를 유추해 낼 수 있다. 자연과 인류가 화해하도록 정신과 역사를 사용해야 하는 것이다. 또한 생 태여성주의자들의 실천은 새로운 이론들을 만들어가는 다리의 역할을 해야 한다.

이는 환경보호운동과 여성건강운동 등 자연과 연관된 실천과정을 통하여 실천과 이론의 이원론적 방식을 극복하는 것이다. 생태여성주의는 여성해방과 자연해방 을 동시에 추구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노력을 요구한다.

첫째, 생태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사회적 변혁이 필요하다. 지배의 위계가 존재 하는 사회는 자연을 지배하고 파괴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위계를 제거하여 평 등, 문화적 다양성이 비폭력에 대한 가치를 재구축하는 방향으로 변화해야 한다.

다시 말해 사회적 변혁을 통해 호혜적 관계로 바꾸어야 한다.

둘째, 사회적 변혁은 반드시 지적 변혁을 수반해야 한다. 생태여성주의는 위계 적이며 이원론적인 사고방식을 배제한다. 남성과 여성, 인간과 자연, 정신과 육 체, 주관과 객관 따위의 이원론을 거부한다. 이원론적 사고는 위계적 가치체계와 결합하여 자연에 대한 인간의 지배, 여성에 대한 남성의 지배를 정당화하기 때문 이다. 따라서 자연파괴에 대한 투쟁은 본질적으로 남성의 여성억압에 대한 투쟁 과 일맥상통한 것이다. 남성과 여성을 차별하고 인간과 자연을 분리시키는 이원 론을 종식시킬 수 있는 대안적 사고방식을 모색한다.

셋째, 자연의 가치를 평가하는 관점을 바꾸어 인간과 자연의 관계가 반드시 변 혁되도록 해야 한다. 생태여성주의는 자연의 도구적 가치보다 목적적 가치를 중 시한다. 어떤 대상이 도구적 가치를 갖는다는 것은 다른 무엇을 얻는 데 유용하 다는 의미이다. 한편 어떤 대상이 목적적 가치를 갖는다는 것은 그 자체로서 가 치를 갖는다는 뜻이다. 요컨대 자연의 가치는 인간의 유용성 측면이 아니라 그 자체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인간이 자연을 결코 수단이 아니라 목적으로 대해야 한다는 것이다.

초기 생태여성주의는 남성에 의한 여성억압을 사회내부에 존재하는 주요 지배 유형으로 보고, 여성과 자연을 지배하는 것 사이에는 깊은 연관성이 있다고 전제 한다. 사회의 억압적 대상으로 여성의 위치와 인간의 억압적 대상으로 자연의 위 치가 서로 같다고 보는 것이다. 이들은 가부장적 자본주의와 생태위기가 서로 밀 접하게 관련되어 있다고 본다. 서구문명의 이원론에 의한 분리와 위계화의 전략

은 여성에 대한 지배와 생태계의 위기를 가속화하였다는 것이다.

여성과 자연에 대한 지배는 그 사회의 역사에 기원하기 때문에 해결책 또한 그 사회 속에서 나와야 한다. 초기 생태여성주의자들은 여성, 유색인종, 자연, 동 물에 대한 지배방식이 사회 안에서 만들어진 것이며, 지금의 대부분의 정치경제 체제는 인간이 자연을 지배하는 방식을 정당화하고 있다는 것을 간과하고 있다.

따라서 그들은 문화적 접근을 통해 여성과 생태 문제를 해결해보려고 노력했으 나, 그것들이 사회구조적인 문제에서 발생한다는 것에 대한 접근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생태여성주의는 사회구조적으로 착취의 대상이 되고 있는 여성과 자연에 대해, 가부장적 자본주의의 지배체제에서 교묘하게 작동하는 흐름을 분석 해낼 수 있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