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문화적 생태여성주의

Ⅲ. 생태여성주의에서 본 생태철학

3) 문화적 생태여성주의

문화적 생태여성주의는 서구 문화 속에서 여성과 자연을 직접적으로 연관시켜 평가절하 하는 인식에 대한 대응이다. 문화적 생태여성주의는 생물학적 성(sex) 과 사회학적 성(gender)은 분명히 다르며 억압의 빌미가 되는 것은 사회학적 성 이라고 본다. 사회적으로 볼 때 남성과 여성은 서로 다른 권력 기반을 갖기 때문 에 개인적인 욕망과 행동들도 결국 사회화 과정에서 생겨난 것들이다. 사회학적 성은 본래적인 것이 아니라 사회문화적 구성물이다.

문화적 생태여성주의자들은 남성보다는 여성이 관계지향적, 타자지향적, 양육 적인 여성적 특질을 잘 발현한다고 본다. 그들은 이러한 여성적 특성을 중시하는 새로운 문화를 만들어 가는 데 동의한다. 하지만 여성=자연이란 등식은 분열된 세계에서 남성이 여성을 지배해야 할 대상으로 한정시킬 때 사용된다.60) 따라서 여성과 자연이 동일하다는 입장은 자칫하면 여성과 자연의 가치를 평가절하 함 으로써 그들을 착취의 대상으로 삼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인간과 자연 속에는 여성성만이 아니라 남성성도 포함되어 있고, 그들 사이에 우열이 있을 수 없다. 단지 가부장적 문화체계 속에서 여성성과 남성성은 서로 대립되는 가치로 평가되고 위계적으로 규정되었을 뿐이다. 문화적 생태여성주의 는 생태위기의 문제를 ‘지배의 논리’를 신봉하는 가부장제의 결과라고 본다.61)

59) 다이아몬드, 아이린 외, 위의 책, 176쪽.

60) 문순홍 , 생태학의 담론, 390쪽.

라서 가부장제의 지배논리를 근절시키지 않으면 여성과 자연에 대한 억압을 종 식시킬 수 없다.

머천트(Carolyn Merchant)와 그리핀(Susan Griffin) 등은 자연과 여성의 연관 성을 역사적으로 추적하여 서구문화사에서 학문적 사상적 담론을 통해 여성과 자연의 은유적 상징이 억압과 지배의 기제로 사용되어 왔음을 밝혀낸다. 특히 그 녀는 환경문제의 근본적 뿌리를 밝혀내기 위해서 서구문화사에서 자연에 대한 인식의 한계를 고찰한다.

머천트는 자연의 죽음에서 근대과학의 발전을 통해 자연 인식에 대한 새로 운 패러다임으로 전환이 이루어졌고 자연에 대한 지배가 정당화되는 인식의 변 화가 일어난다고 본다. 또한 그녀는 다양한 자료들을 통해 ‘자연’과 ‘여성’이 역사 적 지배담론에 의해 서로 연관되어 비유되고 규정되어 왔는지 보여준다. 고대 그 리스로부터 르네상스기까지 자연과 여성의 은유가 긍정적 부정적 형태로 나타나 지만 이때까지만 해도 서구인들은 여전히 우주를 육체와 영혼과 정신을 가진 살 아있는 유기체로, 그리고 대지를 순환하며 재생산하는, 만물을 기르는 어머니로 이해하는 것이 지배적이었다.62) 그러나 고대 이후 가부장적 사회에서 남성중심적 지배체제는 여성과 자연을 영속적으로 지배하기 위해 분열된 문화를 조장하였다.

머천트는 마녀사냥 당시 여성에게 가해진 고문에서 자연에 대한 해부 및 침략 과 유사한 것을 발견하였으며, 이 두 유형의 폭력이 모두 근대 과학기술의 방법 론에 내재된 것임을 보여주었다.63) 여성에 대한 폭력과 여성으로 인식되는 자연 에 가해지는 폭력은 식민지와 그 주민에게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머천트의 연구 는 현대사회의 매스미디어에 등장하는 여성들에 대한 은유와 상징적 표현들에 비판적인 시각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하여, 사람들의 사고의 틀을 변화하는 데 간접적으로 기여한다. 그녀는 자본주의 시장 경제체제에서 여성과 자연을 자원으 로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사회주의 혁명을 통해서 극복할 수 있다64)라고 주장하 고 있다.

61) Warren, Karen J., “Feminism and Ecology, Making Connections”, 6-7쪽.

62) 머천트, 캐롤린, 자연의 죽음, 27쪽 참조.

63) 머천트, 캐롤린, 위의 책, 267쪽.

64) Merchant, Carolyn, “Ecofeminism and Feminist Theory”, Reweaving the World, Sanfrancisco: Sierra Club Books, 1990, 100쪽.

그리핀은 여성과 자연에서 서구문화사에서 정신과 물질의 이분법이 은유적

65) Griffin, Susan, Woman and Nature: the Roaring Inside Her, 10-11쪽.

66) 다이아몬드, 아이린 외, 다시 꾸며보는 세상, 177쪽.

67) 미즈, 마리아 외, 에코페미니즘, 29쪽.

68) Christ., Carol P., “Rethinking Theology and Nature”, Weaving the Visions: New Patterns in Feminism Spirituality, Plaskow, Judith and Christ, Carol P. eds., SanFrancisco: Harper and Row, 1989, 314쪽; 김정희, 생명여성주의의 존재론적 탐구: 반야불교와 노자의 ‘마음’개념에 기초한 신인간형 모색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1997, 15쪽 재인용.

음이라는 순환적 리듬으로, 끝없이 재생되는 자연의 이치를 깨닫게 하는 것과 같 다. 아이슬러(Riane Eisler)는 이러한 사회를 이상사회나 유토피아로 보지 않고, 지구에 대한 책임을 다하는 생태학적 의식이라고 본다.69) 즉, 생명을 불어넣고 유지시켜 주는 힘을 지닌 지구에 대한 존중은 보살핌, 연민, 비폭력, 자매애와 같 은 여성적 가치가 사회적 가치로 인정받는 사회에서 가능하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