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여성의 식민화

Ⅱ. 여성주의에서 본 지구환경위기

2) 여성의 식민화

여성주의에서는 근대국가에 작동해온 자본주의에 대해 여러 가지 분석을 해왔 다. 그 가운데 여성의 가사노동을 노동으로 인정하지 않고 다른 노동시장에서도 여성의 공적 노동을 저임금화 하는 가정주부화 과정을 식민주의 맥락에서 분석 한 것은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여성의 가사노동과 육아노동은 여성의 생물학적 혹은 자연적 기능으로 간주한다.23) 여성의 식민화 과정은 가정주부화의 논리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미즈(Maria Mies)에 의하면 가정주부의 노동은 자본축적과정의 원천으로, 이 들의 노동은 잉여가치 생산의 외부에 있는 것이 아니라 그 과정의 바탕이 된 다.24) 즉, 자본주의에 의한 여성의 식민화는 임금노동뿐만 아니라 가정주부의 무 상노동을 조종할 수 있다. 때문에 이런 무상노동을 이해하지 못하면 노동의 가정 주부화를 이해할 수 없다. 그러나 여성의 식민화과정은 식민지 전체와 노동계급 여성에게만 영향을 미친 것은 아니다. 부르주아 여성은 그들의 생산적 자율성만 이 아니라 생식력 또한 남성에게 억압받고 엄격하게 통제되며 의존적으로 길들 여진다. 또한 여성의 식민화는 자연적인 성별노동분업의 모델이 되었다.25)

만약 서구의 기업가들에게 식민지 정복과 착취 및 약탈이 없었다면, 산업혁명 을 시작할 수 없었을 것이고, 과학자들은 자신들의 발명품에 관심을 가질 자본가 를 찾을 수 없었을 것이고, 부르주아 계급은 제3세계 여성들을 가사도우미로 둘 정도로 충분한 부를 얻지 못했을 것이다. 식민화는 근대적 산업팽창을 가능하게 한 인간노동의 생산성 발견을 위한 전제조건이었으며 현재도 그러하다.26) 자본주 의에 의한 여성의 식민화는 야만적 여성과 문명화된 여성을 만들어내고 이 둘을 양극화시킨다. 이것은 자본주의적 식민주의에 의해 다른 지역을 식민화하는 원리 였고, 지금도 여전히 그러한 원리에 의해 제3세계 여성들을 착취하고 있다.27) 즉,

23) 미즈, 마리아, 가부장제와 자본주의, 최재인 옮김, 갈무리, 2014, 121쪽.

24) 미즈, 마리아, 위의 책, 97쪽.

25) 미즈, 마리아, 위의 책, 167-168쪽. 캐리비안의 노예여성은 수입노예에 비해 재생산 비용이 많이 들기 때 문에 결혼과 출산이 허용되지 않았고, 부르주아 여성은 자신들을 소유한 남성 한사람과 성관계를 갖는 출 산자로 길들여졌을 뿐만 아니라 재산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했다(미즈, 마리아, 위의 책, 206쪽).

26) 미즈, 마리아 외, 자급의 삶은 가능한가, 78쪽.

부르주아 여성은 다른 한쪽의 여성을 노예화하고 착취하는 과정에서 남성들이

되는 인력을 대부분 여성으로 무임금이나 값싼 노동력을 지불하면서 착취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자본주의 전략으로 인하여 여성들은 가정과 일터에서 노동 의 이중고를 겪게 된다.

가정주부화는 “노동력의 무임금 생산뿐 아니라 가내 혹은 그와 유사한 관계에 서 여성들이 주로 하는 가장 값싼 종류의 생산노동을 의미하게 된다.”31) 여성의

‘가정주부화’는 비용을 전혀 지불하지 않거나 적은 비용만으로도 이용할 수 있는

‘자유재’로 취급되어 착취당한다. 이러한 여성의 ‘가정주부화’는 물, 햇빛, 공기와 같은 공짜자원으로 남성들의 노예화에 매우 필요한 요소이다.32) 여성들은 할 일 없는 ‘주부’라는 식의 비아냥거리는 소리를 들으면서도, 안전과 건강의 위험을 감 수하면서 하루 12시간 이상 노동할 수밖에 없다. 더욱이 전일제 노동자로 임금노 동 시장에서 일을 하거나 가족의 부양자가 되어도 노동의 가정주부화는 사라지 지 않는다.

미즈는 여성의 착취에는 세 가지 의미가 있다고 보았다. “여성은 (경제적으로 만이 아니라 인간적으로서도) 남성에게 착취당하고, 자본에 의해 주부로 착취를 당하며, 여성이 임금노동자인 경우에는〔자본에 의해〕저임금노동자로서도 착취 당한다.”33)라고 한다. 그러면서도 여성들은 수세기 동안 길들이기 위해 사용된 폭력을 자신에게 돌리면서 내면화하고, 자진해서 사랑으로 규정한다.34)

오늘날 기업들은 저임금 노동력을 찾아 나서고 있고, 모든 자본가는 주부와 유 사한 노동관계를 보편화하고자 한다. 하지만 이러한 노동전략은 산업국가에서 잘 확립된 주요 노동기준을 훼손시키며, 기업들은 자본의 관점에서 ‘값싼 노동 국가’

로 이동하고 있다. 베를호프(Claudia von Werlhof)는 자본주의 식민화는 계약에 의해 보호받던 숙련된 남성 노동자보다 주부가 자본주의 전략과 맞아떨어진다고 보고, “노동자 계급은 죽고, 주부는 영원할 것”이라고 한다.35)

자본주의 사회에서 자본가들은 더 많은 부를 축적하기 위해 더 많은 노동과 원료와 시장을 점유하고 더 많은 미개발된 자연을 착취하게 된다. 지구적 자본주

31) 미즈, 마리아, 위의 책, 78-79쪽.

32) 미즈, 마리아, 위의 책, 73쪽.

33) 미즈, 마리아, 가부장제와 자본주의, 107쪽.

34) 미즈, 마리아, 위의 책, 170쪽.

35) 미즈, 마리아 외, 자급의 삶은 가능한가, 99-100쪽 참조.

의의 이러한 식민화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전제로 논증할 수 있다.

첫째, 식민지와 피식민지 간에는 직접적이거나 구조적인 폭력에 의한 질서가 세워지기 때문에 동등한 관계가 성립되지 않는다. 폭력 없는 식민화는 없다.

둘째, 자본의 성장은 지구적 체제의 위기를 가져오게 되고 이에 따라 여성에 대한 착취와 폭력은 증가하게 된다. 자본주의 경제체제는 지구적 폭력을 바탕으 로 성장한다.

셋째, 자본의 지속적인 성장은 가부장제의 사회체제와 연결되어 있다. 성장이 나 축적을 위한 자본가는 노동자에게 그들이 일한 가치의 일부만을 돌려줄 뿐이 다.36)

오늘날 자본주의 식민주의는 여성과 제3세계의 식민화를 바탕으로 부를 축적 하고 있다. 자본가들은 더 많은 자본을 축적하기 위해 여성의 노동을 무임금 또 는 저임금으로 착취한다. 여기에는 가부장제의 구조적인 폭력도 있지만, 이제 세 계적인 자유무역 또한 여성들이 가정과 일터에서 오랜 시간의 노동에 시달리는 이중고를 겪도록 한다. 자본가들은 여성과 마찬가지로 자연도 원하는 대로 착취 해도 되는 원료 제공처 혹은 무상의 재생산 영역으로 여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