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1절 청소년들의 생식보건 관리 및 산부인과 이용 실태

1. 청소년들의 생식보건 이상과 병의원 방문

청소년들의 생식건강 관리는 임신 전 출산건강 관리에 있어서 매우 중 요한 의미를 지닌다. 우선 이들이 가임기에 해당되는 연령층이고, 앞서의 분석에서도 나타난 바와 같이 이 시기의 생식건강 이상이 추후 출산결과 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병의원 이용, 생식보건 관리, 성 및 피임 등에 대한 이해, 생식보건의 지식수준 등 청소년기의 생식건 강 관리 행동은 이후 성인기까지 계속적으로 이어져 출산 및 생식건강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결정인자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림 4-1〕 성인 미혼여성의 생식기계질환 유병률과 산부인과의 이용률

생식건강 이상 대처 방법 의료기관 이용

있음: 298명(42.1%) ⇨ 병의원 방문: 70명(23.5%)

산부인과: 47명(67.1%) (전체 유병자 중 15.8%) 약국 등 자가대처: 82명(27.5%)

참음: 141명(47.3%) 일반 병의원: 14명(20.0%)

병의원 외 기관: 5명(1.7%) 한의원: 9명(12.9%)

학교 기반 청소년들의 산부인과 이용 활성화 방안

<<

4

우선 청소년들의 생식건강 실태 및 산부인과 이용의 필요도를 측정하

청소년들의 생식건강 실태조사 결과들을 성인 미혼여성의 그것과 비교 해보면 전체적 이상률은 성인에 비해 다소 낮았고, 이상의 세부적 내용들 도 생리 이상의 비율이 더 높았으며, 질 계통 및 성관련 이상은 상대적으 로 더 낮게 나타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성관련 이상을 포함한 세 가지 종류의 이상을 모두 가지고 있는 경우는 3.0%로 나타나, 중복 증상을 가 지고 있는 고위험군도 성인의 경우(4.1%)와 비슷한 일정 비율이 존재하 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비록 조사 사례수는 작았지만, 성 관련 이상 증상을 가지고 있는 청소년들의 경우 다른 종류의 이상 증상 및 질환을 동시에 가지고 있었다는 점은 건강하지 못한 성행위가 다른 종류의 생식 기계 이상으로 발전하고 있음을 시사하는 결과로 해석될 수 있다.

이러한 생식건강 이상 경험자들의 대처 방법을 살펴보면 병의원을 방 문하였다는 응답이 70명으로 23.5%에 그쳤고, 자가대처를 한 경우는 27.5%이었으며, 별다른 조처 없이 그저 참았다는 응답은 절반에 가까운 47.3%에 이르렀다. 이상의 조사 결과는 성인 미혼여성과 비교해볼 때 큰 차이가 발견되는데, 해당 증상과 관련하여 병의원 방문을 했다는 응답이 성인의 43.1%에 비해 크게 낮았다.

이렇게 낮은 병의원 방문율은 참았다는 응답이 크게 높기 때문인데, 약 국이용이나 민간요법 같은 자가대처는 성인의 경우(27.6%)와 비슷한 수 준으로 나타났다. 비록 응답 비율은 비슷하였지만, 이러한 청소년들의 자 가처치는 성인들에 비해 훨씬 더 많은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왜냐하면 성인의 경우에는 과거 산부인과를 방문한 후 피임약 처방 과 같은 처치를 받은 이후 자신이 일반약품 피임약을 구입하는 것과 같은 반(半)자가처치의 사례도 많을 수 있지만, 청소년의 경우에는 그럴 가능 성이 낮을 것이기 때문이다.

한편 병의원을 이용한 경우에 있어서도 청소년들의 경우에는 산부인과

이용률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지고 있는 생식기계 이상과 관련 하여 병의원을 방문한 경우는 23.5%(70명)이었지만, 이들 중 32.9%는 일반 병의원이나 한의원을 이용하였다고 응답하였다. 이는 생식기계 이 상과 관련하여 병의원 이용한 성인 중 9.6%만이 일반병의원과 한의원을 이용했다는 응답에 비해 크게 높은 수치라고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생 식기계 이상을 경험한 청소년들 중에서 15.8%만이 산부인과를 방문하였 으며, 이러한 이용률은 성인의 38.9%보다 크게 낮은 결과이다.

이상과 같이 청소년들의 산부인과 이용률이 낮은 것은 생리계 이상 비 중이 높은 질환의 연령적 특성이기도 하겠지만, 무엇보다 산부인과 이용 에 대한 거부감 등 유무형의 장애요인이 청소년들에게 더 크게 작용하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산부인과 이용에 대한 부정적 사회적 인식은 청소년들에게 더 큰 장애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 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