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1절 생식건강 및 임신준비 관련 인터넷 환경 실태

2. 인터넷 환경의 특성과 생식건강 정보의 특성

인터넷은 기존의 전통적 매체들과는 다른 고유한 매체적 특성(플랫폼 의 차이)을 가지고 있으며, 이용자들의 인터넷 활용 역시 기존의 피동적 인 정보 습득과는 다른 과정을 거친다. 이러한 인터넷의 매체 및 이용자 들의 이용 특성들을 이해하는 것은 인터넷을 통한 건강정보 습득 과정의 현상을 더욱 잘 반영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더욱 효율적인 현실적인 건 강정보 제공 방안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우선 인터넷이 전통적 매체들과 차별화되는 가장 큰 차이점은 정보제

공자와 정보 이용자를 구분하기 힘든 쌍방향적으로 정보 커뮤니케이션이 이뤄진다는 점이라고 할 수 있다. 기존의 전통적 매체들은 일방적으로 정 보 수용자들에게 정보를 제공하였는데, 매체에 의해 선택된 행위자들만 이 정보 제공자의 지위를 가졌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인터넷은 개인 홈페이지나, 블로그 등을 통해 손쉽게 매체를 사 용할 수 있게 하였고, 이를 통해 정보 제공자가 크게 확대되었다. 더불어 게시판, 댓글 달기 기능, 인터넷 카페 등의 인터넷 커뮤니티, SNS 그리고 다양한 쌍방향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의 개발26)은 정보 제공자(provider) 와 정보 수용자(receiver)의 경계를 무너뜨려 모두가 매체의 이용자 (user)가 되는 역할의 변동을 가져왔다.

이러한 대중의 이용자화(化)는 인터넷에서 정보 제공자의 수를 크게 확 대하였을 뿐만 아니라, 정보의 성격에도 변화를 초래한다. 특정 정보 제 공이라는 의도를 갖지 않고 제공된 콘텐츠가 다른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정보로 작용하는 정보 원천의 무한 확장이 이뤄졌다. 예를 들어 어떤 임 신부가 올린 자신의 경험담은 이용자들에 따라서는 자신의 특정 상황에 대처하기 위한 정보의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 임신 과정 중의 몸의 변화 와 그에 대한 대처에 관한 일상 속의 경험을 기술한 일기는 비슷한 과정 에 있는 다른 임산부들이나 임신 준비 여성들에게 건강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

실제로 국내 임산부들의 임신준비 실태를 분석한 1차 연도 연구에서는 많은 임산부들이 임신 및 출산건강에 대한 정보를 임산부들의 카페나 블 로그 등을 통해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이상림 외 2013). 그리고 앞서 언 급한 윤영민 외의 연구(2005)에서도 인터넷 건강정보 이용자들의 유사한 특성이 발견되는데, 건강정보를 얻는 데 가장 도움이 되는 경로로 인터넷

26) 국내에서의 가장 대표적인 예로는 네이버에서 제공하는 지식IN 서비스가 있다.

검색, 지식검색, 블로그, 미니홈피 등 인터넷 매체를 꼽은 응답은 50.5%

에 이르렀다. 이에 대해 저자들은 인터넷 상에서 건강정보는 전문가와 비전문가가 구분이 명확하지 않은 공간을 통해 이뤄진다는 점을 지적 하였다.

인터넷 기술 및 환경적 변화에 따라 이용자들의 정보 습득 행동패턴도 기존의 일방향적 지식 전달방식과는 다른 경향을 나타내면서 ‘소셜 러닝 (Social Learning)’이라는 새로운 개념이 등장하고 있다. 이 소셜 러닝은 소셜 미디어 등 “새로운 인터넷 매체를 활용하여 사용자간 상호작용을 통 해 발생하는 학습 형태”로 정의될 수 있는데(권정은 2011), 정보 습득 및 학습에 있어서 전통적 방식과는 달리 개인의 능동성과 타인과의 관계형 성을 강조한다. 인터넷을 통해 확대된 네트워크의 구성은 대중 차원에서 다수의 사용자간의 지식과 정보 공유, 의견 교환 등을 통해 자기 주도형 의 학습이 나타난다는 것이다. 이 신개념의 학습모델에서는 인터넷을 통 해 확대된 네트워크 연계를 통해 교수자와 학습자 간의 경계가 사라지고, 정보 콘텐츠에 대한 자유로운 접근과 해석 및 사용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인터넷 건강정보 이용자들의 새로운 정보 습득 행동 방식은, 인 터넷 건강정보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이 집중하고 있는 의료분야 전문가들 이 특정 웹사이트를 통해 정보를 제공하는 방식과는 맞닿지 않은 인지행 동 양식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건강정보 습득 방식에서는 기존 연구들의 주장들과는 달리 신뢰성 있는 자료의 제공보다는 이용자들의 정 보 해석 및 습득 능력이 건강행동 개선에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된다.

더불어 이러한 인터넷 정보학습 환경에서는 정보의 생성과 유통에 대 한 제도적 관리가 사실상 불가능해진다는 점을 지적할 필요가 있다. 이는 인터넷의 자율성 보장이라는 정치 규범적 차원에서뿐만 아니라, 자생적 정보의 생산과 습득 과정을 통해 나타난 정보 범주의 무한 확장이라는 현

실성에 기인한다. 실시간으로 무수히 발생하는 블로그, 인터넷 카페, 댓 글, SNS 상 대화의 내용들을 일일이 감독 관리하는 것이 불가능해졌기 때문이다.

이러한 정보 이용 환경의 변화 속에서 일방적 정보 제공자(provider) 의 역할이나 정보 유통의 관리 통제만을 강조할 경우, 실제 인터넷 세계 에서 나타나고 있는 건강정보 활용의 특성들을 간과하게 된다. 나아가 정 책적으로 그 활용성이 떨어지는 정보 제공 플랫폼을 일방적으로 제안하 여 그 정책적 성과가 극히 제한될 위험성을 안고 있다. 그러므로 인터넷 건강정보 이용 환경의 개선을 위해서는 이러한 인터넷 정보 생성 및 유통 과정의 변화를 적극적으로 반영하려는 정책적 노력이 요구된다.

한편 인터넷 건강정보의 올바른 이해를 위해서는 인터넷의 매체적 특 성뿐만 아니라, 실제로 유통되는 정보들의 내용적 특성에 대한 이해가 바 탕이 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건강정보, 특히 생식건강 정보가 갖는 역학 적 특성과 그것이 우리사회에서 인식되고 수용되는 문화적 방식이 인터 넷 건강정보 유통의 행태에 투영되기 때문이다.

우선 일반적 건강 및 질병에 대한 역학적 측면에서 현상과 요인들 간의 인과관계가 매우 불명확하다는 점을 꼽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특정 위험 요인(risk)에 노출된다고 하더라도 모두에게서 같은 질병(hazard)이 나 타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Rothman & Greenland 2004). 결국 확 률의 문제로 질환이나 증상에 접근하여야 하는데, 이것은 인터넷 상에서 특정 질환을 보이는 정보 수요자들의 정보 선택의 문제를 매우 어렵게 만 든다.

더불어 같은 증상이라고 하더라도 그 진단결과가 다양하다거나 혹은 특정할 수 없다는 병리적 특성 역시 인터넷을 이용한 비전문가들의 정보 선택을 어렵게 만들거나 심지어 잘못된 판단으로 이끌 위험성을 내재하

고 있다. 예를 들어 가장 일반적인 생리적 질환이라고 할 수 있는 심각한 생리통의 경우, 그 원인은 생식기계 기관의 해부학적 이상 등의 기질적 특성, 근종 등의 이상 발생, 스트레스나 과로 등의 행동적 특성에서 발현 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월경 관련 문제 역시 생리불순, 불정출혈, 다난성 난소증후군, 질 출혈 등 그 증상이 유사하더라도 그 원인은 다양하게 존 재할 수 있다.

그리고 건강 및 질병의 결과는 일상생활의 요인들 및 개개인의 사회경 제적 특성들과 복잡하게 상호작용하면서 나타난다(Hertzman & Evans 1994). 그러므로 이용자의 배경지식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있어야 좀 더 정확한 진단결과, 예방 혹은 처치법을 구할 수 있다. 그런데 인터넷 상에 서는 단순한 증상만을 제시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특히 최근 SNS, 댓 글 등의 형식에서는 자세한 내용 기술이 어렵다고 할 수 있다. 이로 인하 여 인터넷을 이용한 건강정보 습득은 그 원인이나 처치법 파악에 한계가 생겨 불충분한 정보만을 제공하거나27), 때로는 잘못된 정보가 전달될 위 험성을 안고 있다.

특별히 생식건강과 관련하여 우리사회에서는 아직까지 생식질환에 대 해 숨기고 구체적 이야기를 꺼리는 경향이 강하다는 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생식질환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와, 여성 특히 미혼여성이 산부인과를 꺼리는 경향 및 우리나라 산부인과 상담기능의 제한은 생식 건강에 이상이 있거나 궁금한 점이 있는 여성들로 하여금 인터넷에 더욱 의존하는 경향을 낳을 수 있다. 그러나 산부인과 지식의 미흡과 자신의 질환을 숨기려는 경향은 인터넷 건강정보 이용에 있어서도 많은 제한을 낳을 수 있다. 특히 생식기계 질환이 잘못된 보건위생 관리, 성관계, 자위

27) 실제로 지식IN 등의 상담 내용에서는 ‘정확한 진단을 위해 병의원을 방문하라’는 응답 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등의 건강행동 탓이라는 사회적 편견과, 자신의 생식보건 관련 내용을 자 세히 기술하기를 기피하는 경향 등은 인터넷의 익명 공간에서도 적극적 인 이용을 가로막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생식건강 관련 질환은 다른 건강 및 질병들과는 달리 자신의 건강뿐만 아니라 이후 임신 출산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러한 질환 이나 질병이 초래할 수 있는 심각한 결과는 오히려 자신의 질병 상태나 병력을 숨기는 등의 위험한 대응 방식을 선택할 뿐만 아니라, 심각한 결 과(심각한 질환 혹은 병증 등)의 가능성을 의식 또는 무의식적으로 부정 하는 태도를 갖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건강상태에 대한 왜곡된 대응은 해 당 질병에 대한 지식과 병의원 이용 경험이 없는 경우에 더욱 강화되는

생식건강 관련 질환은 다른 건강 및 질병들과는 달리 자신의 건강뿐만 아니라 이후 임신 출산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러한 질환 이나 질병이 초래할 수 있는 심각한 결과는 오히려 자신의 질병 상태나 병력을 숨기는 등의 위험한 대응 방식을 선택할 뿐만 아니라, 심각한 결 과(심각한 질환 혹은 병증 등)의 가능성을 의식 또는 무의식적으로 부정 하는 태도를 갖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건강상태에 대한 왜곡된 대응은 해 당 질병에 대한 지식과 병의원 이용 경험이 없는 경우에 더욱 강화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