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중심지구조

문서에서 평양 대도시권의 발전 전망 연구 (페이지 59-63)

제2장 평양과 주변지역의 성장과정과 평양의 위상

1) 중심지구조

1960년대 이전의 평양은 역사적 사실에 근거하여 도시구조가 형성되었지만, 1970년대 이후에는 주체사상에 근거하여 도시구조가 주체사상을 구현하는 형태로 변화를 가져왔다.

이때 세워진 본평양의 김일성광장(1975)과 동평양의 주체사상탑(1982)을 잇는 대동교는 해방산거리, 새살림거리로 이어지며 강한 주중심축을 형성하였고, 만수대대기념비(1972) 와 당창건기념탑(1995)이 도시주중심축과 평행하게 부중심축을 이루어 기념비적 건축물과 를 잇는 거리 중심의 도시구조를 가지고 있다.

기준 내용

1960년대 이전 본평양  역사적 사실에 근거를 둔 건축물, 지형조건을 바탕으로 함

 평양성곽, 보통문, 을밀대, 부벽루 등을 중심 1970년대 이후 동평양

 도시구조가 주체사상을 구현하는 형태로 변화

 기념비적 건축물(김일성광장, 만수대대기념비)을 이용한 도시축의 시각적 효과

 개인숭배적 도시구조, 화려하고 웅장한 거리가 특징 1980년대 이후 서평양  광복거리, 청춘거리 등의 신개발지로 평양의 주요구역을 확장

[표 2-1] 평양의 시기별 도시구조 변화

평양의 중심지 본평양의 근간인 고구려 수도 평양성은 자연적 조건을 최대한 활용한 군사적 방어지였다. 고구려의 평양성은 금수산의 남서측 능선을 안고 대동강과 보통강으 로 둘러쌓였으며, 성의 내부는 북성, 내성, 중성, 외성으로 구성되었다. 평양성은 군사적 요충지로 외적의 침입에 따라 파괴와 수축을 반복하였고, 이러한 구성은 일제강점 초까지 지속되었다.

일제강점기에는 평양성의 해체와 신시가지 확장이 이루어졌다. 평양중성에 일본인이 거 주하고부터 내성 중심의 도시구조가 근본적으로 변화했으며, 평양성 내성 밖에 거주하던 일본인들이 평양인구의 15%를 차지하면서부터 도시의 확장이 가시적으로 드러났고 1906 년 경의선 개통으로 평양역 전면에 철도 관사가 건설되면서 평양의 도시영역이 내성으로 부터 외성으로 변화하였다. 이는 전통적인 성곽의 철거로 이어졌다.

[그림 2-5] 평양의 시기별 도시구조변화

자료 : 김민아·정인하(2013)의 자료를 재구성

해방후에도 평양의 역사도시의 틀이 유지됐지만 6.25전쟁이 일어난 직후에는 평양의 90%이상이 파괴되었고, 자연과 역사를 바탕으로 한 평양의 기반시설 복구 및 재건이 이 루어졌다. 전쟁직후의 평양시 재건 총 계획도(1951), 평양시 총계획략도(1952)를 거쳐 평 양시 복구 재건에 관한 내각 결정 제125호 상에서는 대동강을 평양 도시의 축으로 설정 하고, 대동강을 따라 역사적 도시특성을 보존하며 지형 조건에 어울리게 건축물을 배치하 였다. 이를 반영한 평양시 총계획도(1959년대 중반)가 있다.

[그림 2-6] 평양시 총계획도(1950년대 중반)

자료 : 조선건축건설의 10년, 조선국립건설출판사, 1958

서평양은 1970년대 이후 집중 개발된 주체사상형성의 공간으로서 대외홍보를 위하여 집중 개발되고 관리되는 지역이다(김현수, 2004). 세계청소년학생축전이 열린 1989년에는 만경대 유원지와 큰 규모의 고층아파트가 건설되었다.

조선지리전서(1990)에 의하면, 평양시는 크게 도시중심구역(도시구역 또는 도시건설영 역, 모체도시)과 위성도시구역(도시인접구역)으로 구분하고 있다. 도시형성발전단계에 따라 도시중심구역은 도시중심부, 도시중심부지역, 중심부지역 형성단계구역으로 나누고 위성도 시구역은 위성도시지역, 위성도시형성구역으로 구분하고 있다. 평양의 도시화 과정은 수도 로서의 도시형성 역사가 오래되었지만 6・25전쟁 이후 폐허가 된 지역을 수도건설구상에 의하여 빠른 속도로 진행되었다. 위성도시의 역할을 하는 락랑구역, 형제산구역, 룡성구 역, 사동구역, 력포구역은 도시중심구역과 연결되어 있으며, 특히 락랑구역은 통일거리가 형성되면서 도시중심구역으로 발전가능성이 있는 구역이다. 따라서, 평양시의 도시형성은 도시중심부인 중구역으로부터 방사형태로 뻗어나가 원 모양으로 늘어나며, 대동강을 따라 남포 및 평성, 순천 방향인 띠모양으로 발전하였다.

구분 지역 해당 구역

도시중심구역

도시중심부  중구역

도시중심부지역  선교구역, 모란봉구역, 보통강구역, 평천구역, 동대원구역, 대동강 구역, 서성구역

중심부지역 형성단계구역  대성구역, 만경대구역 위성도시구역

(도시인접구역)

위성도시지역  락랑구역, 형제산구역, 룡성구역, 사동구역, 력포구역, 승호구역 위성도시형성 구역(군)  순안구역, 삼석구역, 강남군, 강동군, 중화군, 상원군

자료 : 허성호・리승용(1990), 조선지리전서(평양편)

[표 2-2] 평양의 구역형성

[그림 2-7] 평양의 구역형성

도시중심구역에는 수도로서의 중심구역 특성을 반영하여 기념비적 건축물들과 정치, 경 제, 과학, 문화, 교육, 보건, 체육 등 공공건축물들과 살림집, 도로, 광장, 녹지 등이 합리 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평양의 도시중심부는 평양의 자연・지리적 조건, 역사발전과정 및 도시발전전망, 사회주의 사회의 생활방식의 발전, 도시공간 및 건축형성 등을 고려하여 수도중심부와 보조중심부를 결합한 새로운 도시중심계획 구조체계를 계획하였다. 도시중 심구역은 중심부와 주변에 위성형태의 보조중심부로 구성된 수도중심부체계로 형성되었다.

또한, 도시중심구역은 거주지역 및 산업지역을 합리적으로 형성하여 도시의 정치, 경제, 도시근로자들의 노동활동 및 생활 편의 등을 보장하고 있다. 평양의 도시중심구역은 다음 표와 같이 산업지역과 거주지역을 구분할 수 있다.

해당구역 특성

중구역, 대성구역, 만경대구역 주민지구 주민구획을 단위로 한

모란봉구역, 동대원구역 전형적인 주민지구 공업배치 선교구역, 보통강구역, 평천구역, 대동강구역, 서성구역 산업지구

자료 : 허성호・리승용(1990), 조선지리전서(평양편)

[표 2-3] 평양 도시중심지역의 주민지구와 산업지구

[그림 2-8] 평양 도시중심지역의 주민지구와 산업지구

자료 : 허성호・리승용(1990), 조선지리전서(평양편)의 자료를 도면화

문서에서 평양 대도시권의 발전 전망 연구 (페이지 59-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