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선행연구 검토

문서에서 평양 대도시권의 발전 전망 연구 (페이지 36-41)

3.1. 북한 현황분석

김성원(2016)은 평양의 공간구조가 형성되어온 요인과 현재의 특성을 파악하였으며, 독 일의 라이프히치 등 북한보다 체제 전환이 먼저 이루어진 도시의 사례 분석과 인구, 산업, 토지이용 등을 분석하여 통일 이후 평양을 전망하였다. 원석환(2018)은 통일 이후 북한에 서 도시화가 진행된 과정과 현상을 예측하여 북한 도시 토지 이용의 변화를 전망하였다.

위영금(2018)은 북한의 이질적 공간이 생산된 근원과 북한도시연구 방향 설정을 중심으로 화학공업도시 함흥의 공간생산과정을 분석하였다. 임형백(2009)은 북한의 공간구조의 형 성 요인, 북한내부의 국토공간구조 변화 요인, 북한 외부의 국토공간구조 변화 요인으로 통일 후 DMZ 및 경기북부의 개발과 초광역권 개발계획 등을 고찰하였다. 정은이(2017) 는 신의주시의 무역, 산업, 상업지구를 중심으로 위성자료 분석을 활용한 공간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Zhang, et al.(2019)은 토지사용에 대한 평양의 변화를 심도 있게 검토하여 북한 토지통제와 동북아시아의 자원 및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강민조 외(2017)는 통일에 대비하기 위한 한반도의 효율적이며, 균형적인 국토의 자원 관리와 국토개발 계획을 위해 북한의 토지피복변화 및 경관 실태 분석으로 국토 이용의 모니터링 수행과 활용방안을 도출하였다. 김민아 외(2012)는 공간구문론을 이용하여 다른 이념적 체제 하에서 성장해 온 서울과 북한의 도시공간구조의 변화 특성을 도출하였다.

김준현(2015)은 Landsat 영상을 활용하여 신뢰성 있는 알고리즘 적용으로 다양한 밴드영 역의 토지피복도, 식생 및 시가지화 지수 등을 북한의 도시 공간행태 및 토지이용 특성분 석에 용이하게 활용하였다. 박아름(2017)은 평양을 대상으로 북한지역에 대해 현재 주어 진 상황 하에 위성영상자료와 수치지도를 활용하여 적용 가능한 토지 가치평가 기법 개발 로 토지특성의 지역적 가중차이를 반영한 토지가치평가 방법을 도출하였다. 박희진(2018) 은 사회-공간론을 바탕으로 사회경제적, 지리학적 관점에서 시장화 이후 북한의 도시 및 지역 공간의 구조적 변화를 서술하였다. Jeong, et al.(2015)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표출 된 평양의 공간 구성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공간 구문 방법론을 사용하여 공간과 기능적,

사회적 속성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3.2. 계획·개발 제도 및 정책

2014 North Korea's Cities

 북한 도시 내 산업현황 및 주요 도시 spatial configurations

in Pyongyang, North

였다. 김흥순(2018)은 대한민국의 도시계획법인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과 북

3.3. 선행연구와 차별성

제2장

평양과 주변지역의 성장과정과

문서에서 평양 대도시권의 발전 전망 연구 (페이지 36-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