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주거면적 및 시설사용현황

문서에서 서 문 (페이지 153-159)

소 높다.

<표 5-18> 수급자․차상위층별 점유형태

(단위:N.%)

수급자 차상위층 전체

자가 113(11.2) 72(36.7) 18(14.9)

전세 192(19.0) 42(21.4) 234(19.4)

월세 227(22.5) 47(14.8) 274(22.7)

사글세, 무상, 기타 225(22.3) 35(17.9) 260(21.6)

영구임대아파트 253(25.0) 18(9.2) 271(22.5)

전체 1010(100.0) 196(100.0) 1206(100.0)

도시나 군지역은 5.4∼7.7평으로 다소 넓다. 가구당 주거면적도 서울이 가장 작고 중소도시나 군지역이 넓은 편이다. 점유형태별로는 자가의 주거면적이 15.2평으 로 가장 넓다. 수급자․차상위층별로는 수급자는 가구당 면적이 10.5평이고 차상 위층은 14.4평으로 차상위층이 다소 넓다.

(2) 사용방수

방 당 사용가구원수는 면적과 마찬가지로 지역별로는 농촌지역, 중소도시, 대 도시로 갈수록 많아지고 있다. 광역시에서는 한방에 1.6명이 사용하는 반면 군지 역에서는 1.2명이 사용하고 있어서 대도시의 주거사정이 더 열악함을 보여준다.

<표 5-20> 지역별 사용방수

(단위:N,%,인)

서울 광역시 중소도시 군지역 전체

방 1개 82(29.3) 96(43.6) 71(17.1) 114(39.6) 363(30.2) 방 2개 176(62.9) 96(43.6) 303(73.0) 120(41.7) 695(57.8) 방 3개 이상 22(7.9) 28(12.7) 41(9.9) 54(18.8) 145(12.1)

방당 가구원수 1.4 1.6 1.3 1.2 1.3

<표 5-21> 점유형태별 사용방수

(단위: N,%,인) 자가 전세 월세 사글세,

무상, 기타 영구임대 전체 1개 16(8.5) 90(38.8) 114(21.8) 143(55.0) 5(1.8) 363(30.2) 2개 103(54.8) 108(46.6) 394(75.3) 90(34.6) 275(97.2) 695(57.8) 3개 이상 69(36.7) 34(14.7) 15(2.9) 27(10.4) 3(1.1) 145(12.1) 전체 188(100.0) 232(100.0) 523(100.0) 260(100.0) 283(100.0) 1203(100.0) 방당

가구원수 1.3 1.4 1.5 1.3 1.2 1.3

자가에서는 방당 사용인원이 1.3명인 반면 전세에서는 1.4명, 월세는 1.5명으로

자가가 사용인원이 적음. 영구임대에서는 1.2명으로 방당 사용인원이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난다.

집단별로 구분해보았을 때 수급자는 차상위층에 비해 단칸방 사용가구가 더 많다. 그러나 방당 가구원수에서는 수급자들과 차상위층간에 차이가 없게 나타 나는데 이는 차상위층이 사용방수가 더 많으면서 가구원수도 더 많기 때문이다.

<표 5-22> 수급자․차상위층별 사용방수

(단위: N,%,인)

수급자 차상위층 전체

방 1개 328(32.6) 35(17.9) 363(30.23) 방 2개 582(57.8) 113(57.7) 695(57.8) 방 3개 이상 97(9.6) 48(24.5) 145(12.1)

전체 1007(100.0) 196(100.0) 1203(100.0)

평균 1.8 2.1 1.8

방당 가구원수 1.30 1.33 1.31

(3) 주거시설사용현황

□ 부엌

점유형태별로 보면 부엌이 없는 가구비율이 사글세에서 3.5%로 가장 높고 다 른 가구와 공동으로 부엌을 사용하는 비율이 21.9%로 높다. 재래식부엌을 사용 하는 비율도 전체적으로 19%로 높은 편이다. 2000년 전국평균이 단독사용비율 이 98.8%, 재래식부엌 사용비율이 5.7%인 것과 비교하면 단독사용비율은 전국평 균에 근접하고 있으나 재래식부엌을 사용하는 가구비율이 매우 높음을 알 수 있다.

<표 5-23> 점유형태별 부엌 사용형태

(단위: N,%) 자가 전세 월세 사글세,

무상, 기타 영구임대 전체

시설 형태

단독

사용 181

(97.8) 217

(96.4) 245

(95.7) 191

(74.6) 267

(100.0) 1101 (92.6)

공동사용 3

(1.6) 8

(3.6) 8

(3.1) 56

(21.9) 9

(0.0) 75 (6.3)

없음 1

(0.5) 0

(0.0) 3

(1.2) 9

(3.5) 0

(0.0) 13 (1.1) 시설

종류

입식 147

(79.5) 167

(74.2) 193

(76.3) 180

(72.6) 267

(100.0) 954 (81.0) 재래식 38

(20.5) 58

(25.8) 60

(23.7) 68

(27.4) 0

(0.0) 224 (19.0)

전체 185

(100.0) 225

(100.0) 253

(100.0) 248

(100.0) 267

(100.0) 100.0

□ 화장실

지역별로 화장실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비율은 60.1%, 재래식 사용비율이 45.6%이다. 2000년 센서스 평균 화장실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비율은 92.9%, 재래 식 사용비율이 12.8%이다. 따라서 전국평균에 비해 저소득층의 화장실사용실태 가 매우 낙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표 5-24> 지역별 화장실 사용형태

(단위: N,%)

서울 광역시 중소도시 군지역 전체

시설형태

단독사용 84(49.2) 80(37.0) 196(79.4) 192(66.7) 552(60.1) 공동사용 87(51.0) 136(63.0) 50(20.3) 95(33.0) 368(40.0) 없음 0(0.0) 0(0.0) 1(0.4) 1(0.4) 2(0.0)

시설종류 수세식 103(60.2) 115(53.5) 172(69.6) 110(38.5) 500(54.4) 재래식 68(40.0) 100(46.5) 75(30.4) 76(61.5) 419(45.6) 전체 171(100.) 215(100.0) 247(100.0) 286(100.0) 919(100.0) 주:영구임대주택 제외. 영구임대주택을 포함하면 화장실단독사용비율이 70%로 높아짐.

수급자들은 차상위층에 비해 화장실을 다른 가구와 공동으로 사용하는 비율이 42.6%, 차상위층이 28.6%로 매우 높다. 재래식을 사용하는 비율도 수급자 47%, 차상위층이 39.4%로 매우 높다.

□ 목욕시설

전체적으로 목욕시설이 없는 가구가 40.9%이고 단독으로 사용하는 비율은 54.1%이다. 지역별 온수사용비율은 서울 84.2%, 중소도시 80.5%, 전체적으로는 71.7%이다. 서울과 중소도시의 온수사용비율이 높은 것은 영구임대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표 5-25> 지역별 목욕시설 사용형태

(단위: N,%)

서울 광역시 중소도시 군지역 전체

시설 형태

단독사용 167(60.1) 49(22.3) 318(76.6) 116(40.1) 650(54.1)

공동사용 24(8.6) 9(4.1) 12(2.9) 15(5.2) 60(5.0)

없음 87(31.3) 162(73.6) 85(20.5) 158(54.7) 492(40.9) 시설

종류

온수시설있음 229(84.2) 145(65.9) 330(80.5) 150(51.9) 854(71.7) 온수시설없음 43(15.8) 75(34.1) 80(19.5) 139(48.1) 337(28.3)

□ 난방시설

<표 5-26> 지역별 난방시설 사용

(단위: N,%)

서울 광역시 중소도시 군지역 전체

연탄온돌 19(6.8) 25(11.4) 28(6.7) 29(10.0) 101(8.4) 개별보일러 131(47.1) 186(84.5) 211(50.8) 224(77.5) 752(62.6) 중앙난방 122(43.9) 1(.5) 175(42.2) 3(1.0) 301(25.0)

지역난방 2(0.7) 2(0.2)

없음 2(0.7) 7(3.2) 1(0.2) 6(2.1) 16(1.3)

기타 2(0.7) 1(.5) 27(9.3) 30(2.5)

전체 278(100.0) 220(100.0) 415(100.0) 289(100.0) 1202(100.0)

보일러 등 현대적 난방시설을 사용하는 비율이 낮고 연탄온돌을 사용하는 비 율이 10%정도에 달하고 있고 난방시설이 없는 경우도 1.3%있었다. 서울과 중소 도시 중앙난방비율이 높은 것은 영구임대아파트가 포함되어있기 때문이다.

□ 출입구

자가에서는 출입구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비율이 83.8%인 반면 전세나 월세, 사글세에서는 50% 미만으로 낮다.

<표 5-27> 점유형태별 출입구 사용형태

(단위: N,%) 자가 전세 월세 사글세, 무상,

기타 영구임대 전체

단독

사용 155(83.8) 103(45.8) 104(40.6) 126(49.2) 267(100.0) 754(63.4) 공동

사용 30(16.2) 122(54.2) 152(59.4) 130(50.8) 0(0.0) 435(36.6)

전체 188

(100.0)

233 (100.0)

521 (100.0)

260 (100.0)

267 (100.0)

1189 (100.0)

□ 상수도시설

<표 5-28> 지역별 상수도시설 사용형태

(단위: N,%)

서울 광역시 중소도시 군지역 전체

상수시설있음 278(100.0) 212(96.4) 391(94.2) 203(70.5) 1084(90.3) 지하수있음 (0.0) 7(3.2) 20(4.8) 81(28.1) 108(9.0)

상수시설없음 (0.0) 1(.5) 4(1.0) 4(1.4) 9(0.7)

전체 278

(100.0)

220 (100.0)

415 (100.0)

288 (100.0)

1201 (100.0)

상수도의 경우 시설이 없는 경우는 전국적으로 0.7%에 불과하지만 농촌에서 는 지하수를 사용하는 비율이 28.1%로 높다. 도시지역에서 지하수를 사용하는

경우는 5% 정도로 나타났다.

문서에서 서 문 (페이지 153-1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