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가구특성

문서에서 서 문 (페이지 144-150)

주택가격은 자가가격평균이 저소득층은 2694만원, 일반가구는 14,036만원이었 으며 전세보증금은 각각 1,367만원 4,762만원, 월세는 각각 8.2만원 19.2만원으로 저소득층이 현저하게 낮다. 현재주택에서 평균거주기간은 저소득층은 9.2년, 일 반가구는 4.5년으로 저소득층이 거주기간이 더 길게 나타났다.

<표 5-5> 지역별 계층별 가구원수

(단위:N, %)

구 분

서울 광역시 중소도시 군지역 전국

수급자 차상위 수급

차상위

수급

차상위

수급

차상위

수급

차상위

평균가구원수 2.3 2.5 2.5 2.8 2.3 2.8 1.8 2.5 2.2 2.6

1인가구비율 35.8 31.4 34.3 19.1 36.0 22.2 57.9 28.6 44.6 26.3

(2) 가구 형태 및 가구주 성별, 장애여부

가구형태에 있어서 부부+자녀, 부모+부부+자녀로 구성된 가구비율이 수급자 19.1%, 차상위층은 32.7%로 나타난다. 편부모 가정이 수급자 22.8%, 차상위층은 17.3%로 매우 높고 단독가구비율도 수급자 40.6%로 월등히 높다. 수급자중에서 는 소년소녀가장이 0.9%이고 편부모 가정 비율이 22.8%로 높다.

<표 5-6> 수급자․차상위층별 가구형태

(단위:N, %)

수급자 차상위층 전체

부부+자녀 167(16.6) 45(23.0) 212(17.6)

부모+부부+자녀 25(2.5) 19(9.7) 44(3.7)

모자 185(18.4) 30(15.3) 215(17.9)

부자 44(4.4) 4(2.0) 48(4.0)

조부모+손자녀 30(3.0) 5(2.6) 35(2.9)

부부 95(9.4) 34(17.3) 129(10.7)

단독 409(40.6) 48(24.5) 457(38.0)

소년소녀가장세대 9(.9) - 9(.7)

기타 44(4.4) 11(5.6) 55(4.6)

전체 1008(100.0) 196(100.0) 1204(100.0)

수급자중에서는 여성가구주 비율이 54%로 매우 높다. 차상위층에서도 여성가 구주비율이 40.8%에 달하고 있어서 일반가구평균보다 매우 높으며 이는 단독가 구비율이 높은 것과도 상관이 있다.

<표 5-7> 수급자․차상위층별 가구주 성별

(단위:N, %)

수급자 차상위층 전체

465(46.0) 116(59.2) 581(48)

545(54.0) 80(40.8) 625(51)

전체 1010(100.0) 196(100.0) 1206(100.0)

수급자중에서는 가구주가 장애가 있는 비율이 23.2%, 차상위층에서는 12.8%

로 대체로 높다. 가구주의 건강상태에 있어서도 나쁨 또는 매우 나쁨으로 응답한 비율이 수급자 67.8%, 차상위층 57.2%에 달하고 있다. 반면 보통 또는 좋다라는 응답은 수급자 32.2%, 차상위층 42.8%에 불과하여 저소득층의 경우 가구주의 건 강상태가 매우 나쁨을 알 수 있다.

<표 5-8> 수급자․차상위층별 장애여부

(단위:N,%)

수급자 차상위층 전체

등록장애인(1급) 50(5.0) 0(0.0) 50(4.1)

등록장애인(2급) 63(6.2) 3(1.5) 66(5.5)

등록장애인(3급) 49(4.9) 2(1.0) 51(4.2)

등록장애인(4급) 19(1.9) 3(1.5) 22(1.8)

등록장애인(5급) 19(1.9) 12(6.1) 31(2.6)

등록장애인(6급) 12(1.2) 4(2.0) 16(1.3)

비등록장애인 22(2.2) 1(.5) 23(1.9)

비장애인 775(76.8) 171(87.2) 946(78.5) 전 체 1009(100.0) 196(100.0) 1205(100.0)

<표 5-9> 수급자․차상위층별 가구주의 건강상태

(단위:N,%)

수급자 차상위층 전체

매우 좋음 17(1.7) 3(1.5) 20(1.7)

좋음 116(11.5) 33(16.8) 149(12.4)

보통 192(19.0) 48(24.5) 240(19.9)

나쁨 464(45.9) 85(43.4) 549(45.5)

매우 나쁨 221(21.9) 27(13.8) 248(20.6)

전체 1010(100.0) 196(100.0) 1206(100.0)

가구주가 만성질환이 있는 비율은 수급자 61.8%, 차상위층 48.0%로 매우 높다.

가구주의 장애, 질환 및 건강상태는 경제활동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 이며 이러한 요인들로 인해 이들의 소득수준이 전반적으로 매우 낮다.

<표 5-10> 수급자․차상위층별 가구주의 만성질환여부

(단위:N,%)

수급자 차상위층 전체

있다 624(61.8) 94(48.0) 718(59.6)

없다 385(38.2) 102(52.0) 487(40.4)

전체 1009(100.0) 196(100.0) 1205(100.0)

(3) 가구주 학력

수급자와 차상위층간에 가구주학력에 뚜렷한 차이가 없으며 무학이 29.6%, 초 등졸 이하가 30.8%로 초등학력 이하가 전체의 60% 이하로서 학력수준이 매우 낮다. 이는 가구주연령 평균이 57.4세로 수급자층의 대부분이 고령층인 것과 상 관이 높다.

<표 5-11> 수급자․차상위층별 가구주의 학력

(단위:N,%)

수급자 차상위층 전체

무학 297(29.4) 60(30.6) 357(29.6)

초등학교 이하 304(30.1) 67(34.1) 371(30.8)

중학교 이하 164(16.3) 20(10.2) 184(15.3)

고등학교 이하 213(21.1) 34(17.3) 247(20.5)

대학교 이하 28(2.8) 14(7.1) 42(3.5)

대학원 이상 3(0.3) 1(0.5) 4(0.3)

1009(100.0) 196(100.0) 1205(100.0)

(4) 가구주 연령

가구주연령에 있어서는 수급자와 차상위층간에 차이가 거의 없고 오히려 차상 위층에서 60대 이상인 비율이 59.2%로 매우 높다. 차상위층의 특성이 자산은 약 간 있지만 소득은 없는 노령층이 많으며 일반적으로 저소득층에서 노인세대 비 율이 매우 높음을 알 수 있다.

<표 5-12> 수급자․차상위층별 가구주 연령

(단위:N, %)

수급자 차상위층 전체

20대 이하 49(4.9) 5(2.6) 54(4.5)

30대 이하 110(10.9) 23(11.7) 133(11.0)

40대 이하 217(21.5) 35(17.9) 252(20.9)

50대 이하 145(14.4) 17(8.7) 162(13.4)

60대 이상 488(48.4) 116(59.2) 604(50.1) 전 체 1009(100.0) 196(100.0) 1205(100.0)

평 균 56.7 61.3 57.7

(5) 가구주 경제활동상태

상시고용으로 취업한 비율은 수급자 6.3%, 차상위층은 13.8%에 불과하고 일용 직이 거의 20%에 달하고 있다. 직업을 갖고 있는 경우에도 임시직이나 일용직으 로 고용이 불안정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건강상의 이유로 일할 수 없다는 응답이 수급자 47.8%, 차상위층은 38.8%로 나타나고 있다. 저소득층의 대부분이 건강상 이유 또는 고령으로 경제활동을 할 수 없는 가구가 매우 많음을 보여준다.

가구주 직업은 수급자와 차상위층 모두 무직이 36∼38%로 가장 많고, 수급자 중에서는 여성가구주가 많기 때문에 주부인 경우도 28.7%에 달하고 있다. 가장 이 직업이 있는 경우는 단순노무직이 15∼18%로 가장 많고 다음이 서비스 및 판 매직과 공공근로/자활사업 등의 순서로 나타난다.

<표 5-13> 수급자․차상위층별 가구주의 경제활동상태

(단위:N,%)

수급자 차상위층 전체

전일취업(상시적) 63(6.3) 27(13.8) 90(7.5)

전일취업(임시직) 36(3.6) 9(4.6) 45(3.8)

일용직 148(14.8) 39(19.9) 187(15.6)

시간제 아르바이트 53(5.3) 14(7.1) 67(5.6)

직장없이 구직활동 중 21(2.1) 8(4.1) 29(2.4) 직장없이 구직활동 포기 25(2.5) 4(2.0) 29(2.4)

직업훈련 등 기술교육 3(0.3) 0(0.0) 3(0.3)

학업 및 진학준비 26(2.6) 0(0.0) 26(2.2)

보육, 간병,가사 116(11.6) 9(4.6) 125(10.4) 건강상의 이유로 일할 수 없음 478(47.8) 76(38.8) 554(46.3)

기타 32(3.2) 10(5.1) 42(3.5)

전체 1001(100.0) 196(100.0) 1197(100.0)

<표 5-14> 수급자․차상위층별 가구주의 직업직종

(단위:N,%)

수급자 차상위층 전체

생산직 7(0.7) 5(2.6) 12(1.0)

사무직 5(0.5) 2(1.0) 7(0.6)

서비스 및 판매직 54(5.4) 15(7.7) 69(5.8)

단순노무직(건설일용직) 151(15.1) 37(18.9) 188(15.7)

자영업 39(3.9) 16(8.2) 55(4.6)

가내수공업 14(1.4) 0(0.0) 14(1.2)

공공근로/자활사업 46(4.6) 14(7.1) 60(5.0)

학생 28(2.8) 0(0.0) 28(2.3)

주부 288(28.7) 27(13.8) 315(26.3)

무직 363(36.2) 75(38.3) 438(36.6)

기타 7(0.7) 5(2.6) 12(1.0)

전체 1002(100.0) 196(100.0) 1198(100.0)

문서에서 서 문 (페이지 144-1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