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주거만족도 및 개선사항

문서에서 서 문 (페이지 159-163)

경우는 5% 정도로 나타났다.

<표 5-30> 지역별 주거환경문제의 심각도

구분 서울 광역시 중소도시 군지역

소음, 악취 등 2.73 2.61 2.90 3.34

절도, 강도 등의 치안문제 3.42 3.53 3.55 4.13 사생활 침해(시선침해 등) 3.41 3.34 3.50 4.04 도로의 상태(포장, 도로폭) 3.39 2.63 3.33 3.20

저소득층 집중거주 2.95 2.74 3.12 3.94

주 : 5점척(5점: 전혀 심각하지 않음)

<표 5-31> 점유형태별 주거환경문제의 심각도

구분 자가 전세 월세

사글세, 무상, 기타

영구

임대 전체

소음, 악취 등 3.2 2.8 2.8 3.1 2.7 2.9 절도, 강도 등의 치안문제 3.8 3.6 3.7 3.9 3.4 3.7 사생활 침해(시선침해 등) 3.9 3.6 3.5 3.7 3.3 3.6 도로의 상태(포장, 도로폭) 3.1 3.0 3.0 3.1 3.6 3.2

저소득층 집중거주 3.4 3.3 3.1 3.5 2.9 3.2

주 : 5점척(5점: 전혀 심각하지 않음)

주거환경문제 중 가장 심각하게 인식하는 것은 소음․악취이며 치안문제나 사생활침해 등에 대해서는 비교적 양호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저소득층 집 중거주에 대해서는 대체로 심각한 문제로 생각하고 있지 않았으나 영구임대 거 주자들은 이를 심각한 문제로 인식하는 비율이 다른 점유형태에 비해 높게 나타 나고 있다.

(3) 주거환경개선사항

서울, 광역시, 중소도시에서는 소음․악취 등과 저소득층 집중거주문제가 개 선되어야 한다는 응답이 많았고 군지역에서는 도로상태 개선이 가장 높았다. 도

시지역에서는 저소득층 주거지가 집단화되어 있는 경우가 많고 이에 대한 불만 족과 개선 필요성을 많이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5-32> 지역내 주거환경 중 우선 개선사항

(단위: %)

구분 서울 광역시 중소도시 군지역

소음, 악취 등 26.9 29.3 28.6 26.5 27.8

절도, 강도 등의 치안문제 14.6 10.5 15.4 8.1 13.2 사생활 침해(시선침해 등) 19.6 9.9 17.3 14.7 16.3 도로의 상태(포장, 도로폭) 16.5 27.7 16.2 40.0 21.8

저소득층의 집중거주 22.4 22.6 22.8 10.7 20.9

100.0 100.0 100.0 100.0 100.0

(4) 주택 개선사항

<표 5-33> 주택의 우선 개선사항(1순위)

(단위: N,%)

서울 광역시 중소도시 군지역 전체

주거면적 49(17.7) 18(8.6) 74(18.3) 17(6.2) 158(13.6) 사용방수 16(5.8) 18(8.6) 25(6.2) 5(1.8) 64(5.5) 습기상태 15(5.4) 29(13.9) 51(12.6) 22(8.0) 117(10.1) 채광, 통풍 10(3.6) 9(4.3) 19(4.7) 3(1.1) 41(3.5)

단열 13(4.7) 6(2.9) 21(5.2) 31(11.3) 71(6.1)

누수 14(5.1) 7(3.3) 18(4.5) 36(13.1) 75(6.4)

상하수도시설 4(1.4) 2(1.0) 23(5.7) 10(3.6) 39(3.4) 부엌시설 7(2.5) 29(13.9) 35(8.7) 32(11.7) 103(8.8) 화장실시설 18(6.5) 48(23.0) 33(8.2) 70(25.5) 169(14.5) 목욕시설 41(14.8) 28(13.4) 60(14.9) 26(9.5) 155(13.3) 난방시설 90(32.5) 15(7.2) 45(11.1) 22(8.0) 172(14.8) 전체 277(100.0) 209(100.0) 404(100.0) 274(100.0) 1164(100.0)

1순위 개선사항으로는 난방시설, 화장실, 면적, 목욕시설, 습기상태의 순서로

나타난다. 2순위에서는 화장실, 목욕시설, 단열, 사용방수의 순서로 나타난다. 난 방시설의 개선과 면적의 증대가 가장 시급하고 화장실과 목욕시설 등의 시설 개 선이 필요한 것으로 볼 수 있다.

<표 5-34> 주택의 우선 개선사항 (2순위)

(단위: N,%)

서울 광역시 중소도시 군지역 전체

주거면적 19(6.9) 10(5.1) 25(6.4) 8(3.1) 62(5.5) 사용방수 33(12.0) 13(6.6) 51(13.0) 10(3.9) 107(9.6) 습기상태 22(8.0) 17(8.6) 25(6.4) 29(11.4) 93(8.3) 채광, 통풍 11(4.0) 19(9.6) 35(8.9) 5(2.0) 70(6.3) 단열 30(10.9) 12(6.1) 35(8.9) 34(13.4) 111(9.9)

누수 11(4.0) 6(3.0) 12(3.1) 14(5.5) 43(3.8)

상하수도시설 3(1.1) 1(.5) 15(3.8) 3(1.2) 22(2.0) 부엌시설 20(7.3) 26(13.1) 20(5.1) 28(11.0) 94(8.4) 화장실시설 50(18.2) 47(23.7) 83(21.1) 50(19.7) 230(20.5) 목욕시설 50(18.2) 44(22.2) 53(13.5) 61(24.0) 208(18.6) 난방시설 26(9.5) 3(1.5) 39(9.9) 12(4.7) 80(7.1) 전체 275(100.0) 198(100.0) 393(100.0) 254(100.0) 1120(100.0)

(5) 개보수 비용

주택의 개보수에 필요한 비용은 수급자는 389만원인 반면 차상위층이 845만원 으로 차상위층이 더 많았다. 개보수의 필요성과는 무관하게 개보수에 대한 관 심도가 낮은 편이다. 필요비용의 85%이상을 대출받기를 희망하고 있으며 개보수 비용대출을 희망하는 응답자중 무이자 대출을 희망하는 비율이 60%에 달하고 있고 희망이자율을 답한 경우 평균은 3% 이하로 나타난다.

<표 5-35> 수급자․차상위층별 주택의 개보수 비용

(단위: 만원)

구분 수급자 차상위층

개보수 필수비용(만원) 389 845

희망 대출금(만원) 329 743

희망 이자율(%) 3.0 2.7

문서에서 서 문 (페이지 159-1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