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조직내적 요인간의 우선순위 결정

문서에서 석사학위 논문 (페이지 127-144)

원자력 중·장기연구개발성과와 상관성이 존재하는 독립변수들의 영향요인 우선 순위를 분석하기 위하여 실시한 다중회귀분석결과, 조직내적 운영과정에 해당하는 요인들의 영향력이 가장 높게 작용함을 확인할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기술성과와 경제성과에서는 리더십 요인의 영향력이 가장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특 이한 사항은 간접성과의 경우는 기술성과와 경제성과 회귀식에서는 음(-)의 작용을 하고 있는 갈등요인이 가장 높은 영향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표 6-4〉와 같다.

제2절 연구의 의의 및 개선방향

본 연구는 지금까지 실증적인 연구를 수행하지 않았던 원자력중·장기연구개발사 업의 성과를 조직내적 요인으로 분석함으로써 향후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효과적인 조직내적 추진력을 모색하고자 하는데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위에서 언급 한 이론적 고찰과 설문결과의 실증분석을 통해 얻어낸 원자력중·장기연구개발사업 성과의 조직내적 요인을 요약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첫째, 조직내적 인적차원 즉 인구통계학적 요인(연구원의 직급, 성별, 나이 등)과 연구과제의 참여횟수 또는 참여기간은 원자력중·장기연구개발성과에 영향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모든 연구원들의 학력수준이 비슷해지는 경향과 더불어 국가적 경제위기와 더불어 행해졌던 신입연구원의 채용축소 등으로 잔류하 고 있는 연구인력들은 거의 고정된 형태로 5년 이상을 순환적인 연구보직형태로 연 구를 수행하고 있는 실정이라 이러한 인적차원의 요인들은 연구개발성과에 영향력 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둘째, 연구조직의 구조적 특성가운데 인력규모의 경우는 비록 연구과제의 핵심적 인 기밀사항과도 연관되어 있겠지만 그 크고 적음이 연구개발성과와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이는 연구과제별 인력수준은 과제별로 전문성의 차이가 존재 하나, 연구인력규모의 경우는 세부단위과제 내에서 다시 팀단위로 분류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다시 작아지고 작아지는 현상이 발생함으로 연구개발성과와는 관련성이 없음이 확인된다. 또한 원자력연구개발이란 특수성으로 인하여 장기간의 노력과 시 간 또는 비용이 필요함으로 그 성과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셋째, 연구개발성과에 가장 높은 영향력을 미치는 것은 기술성과와 간접성과의 경우는 연구조직내 책임자의 리더십으로 분석되었는데, 연구조직의 운영과정과 연 구개발성과와는 높은 연관성이 존재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며, 더불 어 연구개발성과에 대해 연구책임자의 능력이 얼마나 중요한 가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간접성과의 경우는 조직내의 갈등요인이 가장 높은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이는 조직내 갈등문제해결과 연구조직내 만족수준이 연구개발 성과에 얼마나 중요한 가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연구개발의 성공여 부는 조직내 책임자의 운영능력과 조직내 문제해결 및 만족수준과 관련되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여러 가지 제약상 1회의 측정으로 원자력중·장기연구개발사업의 성과 를 측정하였다. 하지만 국가연구개발사업이란 매우 중장기적이고 또한 대형사업에 해당하는 것이라 효율적이고 정확한 성과측정을 위해서는 다차원적인 분석기준을 사용하여 실제적인 연구성과의 변화를 측정할 필요성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 구의 성과측정 과정에 문제점이 존재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으며, 연구대상의 선정 측면에서도 원자력중·장기연구개발사업의 모든 과제를 분석대상으로 적용하지 못 하였다. 단지 한국원자력연구소의 연구원들이 참여중이거나 3년 이내에 참여하였던 과제들을 중심으로 조직내적 영향요인 만을 분석하고자 함으로써 매우 극소의 부분 이라는 한계요인을 내포하고 있다. 그리고 한국원자력연구소만을 대상으로 한 조사 이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일반화하여 확대 해석하기에는 무리가 있으리라 생각된다.

향후 외적 타당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민간기업이나 민간연구소, 타 교육기관의 연 구개발주체들을 대상으로 한 검증이 필요하리라고 본다.

〈 참 고 문 헌 〉

1. 국내 참고문헌

국가과학기술위원회·한국과학기술평가원(2001. 6),‘2001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및 평가 결과.

김갑수(1996), 출연(연)의 연구개발활동의 효율성증대를 위한 교육과정 설립 추진방안, 과학 기술정책관리연구소.

김영우 외(1997), 한국과학기술정책 50년의 발자취, STEPI.

김영흥(1996), 연구개발 프로젝트팀의 성공요인 : 팀 구성원의 특성, 리더의 역할 및 팀 분위기, 석사학위논문, 한국과학기술원.

김용권(2000), 국가연구개발사업 성과의 영향요인 분석, 석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pp39.

김종범(2000), 일본의 개방적 융합연구제도 분석과 함의, 공공정책연구.

김종범(1999), 연구개발 효율화를 위한 예산제도 개선 및 우선 순위 설정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재단.

김종범(1999), 일본의 개방적 융합연구 추진 전략에 관한 조사연구, 과학기술부.

김종범(1994), 연구개발조직체계의 모형정립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사회과학연구.

김종범(1993), 과학기술정책, 대영문화사.

김종범(1989),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y Import and Domestic R&D, and Technology Development Strategy, 박사학위논문, 죠지워싱턴 대학.

김종원(1998), 국방연구개발 시제품 제작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 문, 한국과학기술원.

권기헌 외(2001), 조직학의 주요이론, 법문사.

노화준(1995), 정부출연 연구기관 평가제도와 평가의 기본방향, 과학기술정책동향(STEPI), pp26-31.

노화준 외(1991), 정부의 과학기술혁신정책이 중소기업이 연구개발활동에 미친 영향, 행정논총 제29권 제2호.

목진휴(2000. 3), 원자력 관련 연구개발사업의 평가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기술평가원, pp29.

박영일(1996), 국가 대형연구개발사업의 기획 및 수행·평가에 관한 연구: 선도기술개발사업 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한국과학기술원.

오재건(1996.8), 연구성과 관리체계의 확립방안, 과학기술정책동향(STEPI), pp58-63.

이장재(1996.8), 연구개발 생산성의 개념과 측정 접근방법, 과학기술정책동향(STEPI), pp. 29-39.

이태준외(1998),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성과 증진을 위한 스핀오프 추진방안: 원자력 기술을 중심으로-, 기술혁신학회지 1(2), pp208-219.

임윤철·이철원(1997), 국가연구개발사업 중간평가방법 연구, 기술혁신연구5(2), pp126-154.

이상진(1986), 개발도상국 군사연구개발과제의 선정모형, 박사학위논문, 한국과학기술원.

이영숙(1991), 조직규모, 조직구조, 정보시스템 사용 상호간의 관련성, 경북대학교 대학원.

이정원(2001. 5), 연구개발 프로젝트 평가, 과학기술정책, 과학기술정책연구원, pp2 이진주(1983), 연구개발의 관련개념과 기술의 분류, 기술관리, 제1권, 제2호 pp.7-12.

임윤철 외(1997), 국가혁신시스템 강화를 위한 국가연구개발사업 평가방법 연구, 과학기술정책관리연구소.

장인복(1996), 정부연구개발 성과의 영향요인 분석, 박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정충영·최이규(2001), SPSSWIN 10.0을 이용한 통계분석, 무역경영사.

조국현(1996), 국가연구개발프로젝트 성과의 영향요인 분석 : TDK R&D사례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조경호 외(2001), 연구개발(R&D) 조직의 창의적 연구성과를 위한 조직관리 전략, 한국해정학 회보 : 제10권, 제2호, 한국행정학회, pp135-166.

조경호 외(2000), 조직의 이해와 관리, 대영문화사.

조경호 외(2001), 인사행정의 이해, 법문사

조현대 외(1998), 국가연구개발사업 종합조정을 위한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투자배분 분석, 과학기술정책관리연구소.

차종석(1993), 연구개발 프로젝트 팀에서의 리더의 중요역할과 혁신적인 팀 분위기, 석사학위 논문, 한국과학기술원.

한국과학기술원(1993), 정부출연연구소와 민간연구소간의 연구환경, 연구관리체계 및 연구생 산성 비교연구.

한국원자력산업회의(2001). 원자력연감.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1994), R&D 평가의 방법과 적용 (1), 기술관리, 135호, pp77-81.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1994), R&D 평가의 방법과 적용 (2), 기술관리, 136호, pp50-55.

황규대 외(2001), 조직행동의 이해 : 통합적 접근법, 박영사.

황용수(1993), 정부연구개발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과학기술정책관리연구소.

허만형(2001), 통계분석론, 법문사

2. 국외 참고문헌

Alic, J. A.(1992), Beyond Spin -off, Boston : Business School Press.

Allaire. Y. & Firsirotu. M. E. (1984), “Theories of Organizational Culture”, Organizational Studies, vol. 5, No. 1, pp203-204.

Arnold, H. J. & Feldman, D. C.(1986), Organizational Behavior, McGraw-Hill, Inc., pp162-163.

Berger., J. & Cohen, B. P. and Zeldich, M. (1972), Status characteristics and social interaction,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pp241-255.

Bradford, L. P. (1976), Making Meetings Work, California: La Jolla, pp68-77.

Burns. T. and Stalker. G. M.(1961), "The Management Innovation", Tavistok Publication, London, pp.119-125.

Chiang, Jong-Tsong(1991), Form 'Mission-Oriented' to 'Diffusion-Oriented' Paradigm : the New Trend of U. S. Industrial Technology Policy, Technovation, Vol. 11, No. 6.

Cohen, L. R.(1991), “New Technology and National Economic Policy”, The Brooking Institution,

Comming, L. L. & Berger, C. J. (1976), Organization Structure : How does it influence attitudes and performance?, Organization Dynamics, pp34-59.

DuBrin, A. J. & Ireland, R. D. (1993), Management & Organization(2th eds.), South-Western, pp321.

D.L.Nelson & Quick(1997), Organizational Behvior: Foundations, Realities, and Challenges, 2nd. ed. St. Paul MN: West Publishing Company, pp.180.

Dunham, R. B. (1984), Organizational Behavior: People and Process in Management, Richard D. Irwin, Inc., pp276.

Edwin M. Hartman(1988), Conceptual Foundations of Organization Theory, Cambridge, Mass.: Ballinger Publishing.

Geothals, G. R. & Zanna, M. P. (1979), The role of social comparison in choice of shift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pp1469-1476.

Glass, F. M. (1972), "Methods of Evaluating R&D Organization", IEEE Trans. 1.

Greenberg, J. & Baron, R. A (1993), Behavior in Organizations(4th), Allyn &

Bacon, pp489

Halpin. A. W. and Crofts. D. B. (1963), “The Organizational Climate of Schoo l”, Chicago : Univ. of Chicago, Midwest Administration Center.

Hellbriegel, D., Slocum, J. W. & Woodman, R. W.(1983), Organizational Behavior(4th ed.), St. Paul, MN: West Publishing Company.

Hodge, M. H. (1963), Rate your Companies Research Productivity, Harvard Business Review, 41. 6.

Hollender, E. D. (1981), Leadership and power. in G. Lindzey & E. Aronson(Eds.), The Handbook of Social Psychology(3rd eds.), 2, New York: Random House, pp485-537.

Horwitz, Paul(1979),“Direct Government Funding of Reserch and Developmenet:

Intended and Unintended Effects on Industrial Innovation ”, Technological Innovation for a Dynamic Economy, Pergamon Press.

Jay, A. (1976), How to run a meeting,Harvard Business Review, pp43-57.

Liker. R.(1967), "The Human Organization : Its Measurement and Value", Mcgraw-Hill Inc.

Katz, D. & Kahn, R. (1978), The Socoal Psychology of Organization(2nd eds.), New-York: Wiley.

Liker, R. (1967). “Organization Behavior”, Mcgraw-Hill, New York, pp.437.

Litterer, J. A. (1966), Conflict in organization: A reexamination,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pp178-186.

Locke, E. A. & Latham, G. P.(1984), Goal Setting: A Motivational Technique that Works, Englewood Cliffs, N. J.: Prentice Hall, 18-19, pp53-54.

Liddell, W. W. &Slocum, Jr, J. W. (1976), The effects of individual role compatibility upon group performanc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pp413-426.

Maier, N. R. (1976), Assets and liabilities in group problem-solving: The need for an

integrative function, Psychological Review,pp239-249.

Manners, G. E. Jr., (1975), Another look at group size, group problem solving, and member consensu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pp715-724.

McConnell, J. D. (Fall, 1980). "Productivity Improvement in Research and Development

McConnell, J. D. (Fall, 1980). "Productivity Improvement in Research and Development

문서에서 석사학위 논문 (페이지 127-1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