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3장

I. 제품경쟁력 결정에 대한 일반적 고찰

2. 제품경쟁력

일반적으로 경쟁력(competitiveness)이라면 Porter(1990)에 의해 정 의된 국가경쟁력을 주로 지칭한다. Porter는 국가 차원에서 유일하 게 의미 있는 경쟁력의 개념은 국가의 생산성(national productivity) 이라고 했다. 미시적 단위에서는 산업경쟁력(industry competitive-ness), 기업경쟁력(firm competitiveness), 제품경쟁력(product com-petitiveness)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제품경쟁력에 관한 기존 연구는 가격경쟁력과 비가격경쟁력으 로 나누어 구분할 수 있으며. 최근에는 기술경쟁력을 품질과 구분 하여 별도로 구분하기도 한다.

68 중국시장에서의 한국제품경쟁력 실태조사

(1) 가격경쟁력

가격은 소비자가 경쟁관계에 있는 여러 제품들 중에서 어떤 것 을 고를 것인가를 결정짓게 하는데 소비자는 당연히 효용이 가장 크다고 생각하는 제품을 선택하게 된다(유필화, 1998). 가격경쟁력 은 소비자 입장에서 볼 때 어떤 제품을 구매할 것인가를 결정하 는 데 매우 중요한 요인이다. 소비자는 제품이 주는 효용이 가격 보다 클 때만 그 제품을 구매할 것이다. 또한 경쟁제품 중에서 어 떤 제품을 선택할 것인가 하는 데도 중요한 기준이 된다. 가격을 구매결정 기준으로 고려할 때 중요한 전제가 되는 것은 경쟁제품 의 품질수준이 모두 동일해야 한다는 것이다. 만일 차별화된 제품 군이 존재한다면 최적가격은 가장 저렴한 제품에서 달성된다고 보기 어렵게 된다. 저원가의 특성을 가지는 제품군은 시장에서 원 가우위(cost leadership) 전략을 표방하게 된다(porter, 1990). 원가우 위 전략은 가격 면에서 경쟁상품에 대해 우위를 가지는 것인데, 규모의 경제, 생산공정의 혁신, 조달 및 유통 등 가치사슬 전반에 걸쳐 저원가 체제를 갖춤으로써 제품을 저렴한 가격으로 소비자 에게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2) 비가격경쟁력

비가격경쟁력은 제품의 질적 경쟁력, 즉 품질에 의한 경쟁을 의 미하는데(Hritolf grupp, 1998) 품질에 관한 다양한 정의가 존재한다.

한국산업규격(KS, 산업자원부산하 기술표준원)의 정의에 의하면, 품 질은 “물품 또는 서비스가 사용목적으로 만족시키고 있는지의 여 부를 결정하기 위한 평가 대상이 되는 기능 전체”라고 정의한다.

국제표준화기구(ISO)는 품질은 “제품이나 서비스가 지니고 있는 명시적 또는 묵시적 요구를 만족시키는 능력에 관계되는 특징 및

특성”으로 정의하고 있다. 결국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기능 을 갖춘 제품은 품질이 우수한 제품이라고 할 수 있다.

품질경쟁력은 품질을 구성하는 요소들에 의해 결정된다. 품질 을 구성하는 요소들은 품질의 범주 규정에 따라 다양해지는데, Garvin(1987)은 품질의 구성요소를 성능, 특징, 신뢰성, 일치성, 내 구성, 서비스 가능성, 기호, 인지도 등의 8가지 측면으로 분류하고 있다. 이처럼 품질경쟁력은 단순히 제품이 견고한 것만을 의미하 는 것은 아니며 시장의 소비자들이 요구하는 품질속성을 충족시 켜 주어야 한다. 품질과 가격의 두 가지 다른 개념을 혼합한 ‘감당 할만한 값어치(affordable worth)'가 제품경쟁력을 결정한다고 할 수 있다(박재홍, 1996).

제품차별화 전략이란 소비자에게 높은 가치를 제공하기 위해 제품의 질적인 차별성과 서비스를 창출하도록 제품의 품질, 유통, 애프터서비스 등의 질적 수준을 높이는 것이다.

이러한 제품군은 시장에서 제품차별화(product differntiation) 전 략을 추구하여 경쟁제품에 비해 가격 이외의 면에서 소비자의 욕 구를 충족시키는 특성을 갖게 된다.

(3) 기술경쟁력

기술은 품질을 결정하는 주요 요인 중의 하나로 간주되며 기술 집약적 제품의 경우에는 기술수준이 품질의 결정요인으로 간주된 다. 기술경쟁력은 최근 기술 또는 연구개발 집약적 IT제품이 급증 함으로써 제품경쟁력 중 품질경쟁력을 대체하는 개념으로 쓰이기 도 한다(황성웅, 2004). 제품수준에서 기술경쟁력을 따질 경우에는 제품이 시장에서 성공하기 위해 구비한 기술능력을 의미한다. 제 품시장을 기술수준에 따라 두 가지로 분류할 때 혁신적 기술이

70 중국시장에서의 한국제품경쟁력 실태조사

주요 경쟁력이 되는 기술집약적 제품군 시장과 기술집약도가 낮 은 제품군 시장으로 구분할 수 있다. 기술경쟁력이 중시되는 제품 은 다시 R&D집약도가 평균 3.5~8.5% 이상인 경우 하이테크제 품(high-level product)과 기술혁신제품(leading-edge product)으로 구 분된다(Hariolf Grupp, 1998). 이와 같이 현재 제품의 경쟁력의 주요 결정요인으로 기술요인이 중시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