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첫째, 본 연구는 S시 대사증후군 환자로 프로그램 참여자를 한정하였다. 따 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대상자를 확대하여 연구결과의 일반화 가능성을 넓히려 는 시도가 필요하다.

둘째, NCEP ATP Ⅲ는 대사증후군 대상자에게 6개월 이상의 중재를 권고하 고 있다. 반면에 본 연구는 4개월으로 비교적 단기간 수행되어 대사증후군 관 련 생리 지표의 개선효과를 보기에는 기간이 다소 짧았다. 생활습관의 유지를 위해서는 더 장기적인 지원이 필요하며 변화된 습관 유지를 위한 사후관리 시 스템의 개발과 활용과 유용성에 관한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본 연구의 생리 지표 중 수축기․이완기 혈압은 대상자의 감정과 환 경, 흡연, 카페인 섭취 등에 영향을 받는 변수이므로 측정 값의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추후 연구는 관련 변인에 대한 엄격한 실험 통제가 필요할 것 이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평상시 자가 혈압 측정 값을 활용하는 방안을 고 려할 수 있다.

넷째, 본 연구의 생리적 지표 중 중성지방, 공복혈당과 같은 혈액검사 결과

는 대상자의 식이 상태나 공복 여부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추후 연구 는 이를 통제하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다섯째, 본 연구는 객관적 측정이 가능한 양적 데이터만을 분석의 대상으로 한정하였다. 그러나 자기효능감의 증진과 이를 통한 영구적인 생활습관 개선은 개인의 인식, 의지, 판단 등 심리적․정서적 측면의 질적 경험과 해석이 요구된 다. 이러한 관점에서 향후 연구는 현상학에 기반을 둔 질적 접근을 병행할 필 요가 있다.

여섯째, 본 연구에서 제안한 대사증후군 노인의 생활습관 중재프로그램은 다 양한 형태로 변형되거나 재정의할 수 있다. 추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측면을 고 려하여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그 효과를 지속해서 보고할 것이다. 이를 통해 더 욱 실효적이고 실용적 프로그램으로 보완 및 확산시켜 나갈 필요가 있다.

참고문헌

강세원(2007). 대사증후군 대상자의 생활습관 평가 도구 개발. 연세대학교 박사 학위 논문, 서울.

강지순 (2011). 대사증후군 대상자를 위한 웹 기반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경희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서울.

강지순, 강현숙, 윤은경, 최현림 (2012). 대사증후군 대상자의 건강 행위 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성인간호학회지, 24(2), 191-199.

권상민 (2012). 허약 노인을 위한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계명 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대구.

김금자 (2010). 범이론적 모델에 근거한 횡학제간 심장재활 프로그램이 건강 행 위 자기효능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서울.

김미경, 박정현 (2012). 대사증후군. 대한의사협회지, 55(10), 1005-1013.

김봉정 (2013). 일 농촌 지역 노인의 대사증후군 유병률과 관련 요인. 지역사회 간호학회, 24(2), 225-235.

김현태, 김남정 (2012). 필라테스 매트 운동이 근위축 비만 노인의 심혈관질환 위 험요인과 염증 반응지표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51(4), 407-417.

김형준, 이만균, 성순창 (2010). 댄스스포츠 트레이닝이 노인 여성의 신체구성, 혈중 지질 및 인슐린 저항성에 미치는 영향. 운동과학, 19(3), 321-330.

김희선, 윤석준, 이건세, 김형수, 오상우, 유호신, 박동림 (2011). 지역사회 대상의 대사증후군 자가관리 프로그램 중재효과. 건강증진학회지, 28(2), 51-62.

노재경 (2012). 노령인구의 비만 및 대사증후군 분류에 따른 운동 및 영양섭취 실태조사. Korean Journal of Obesity, 21(4), 236-244.

노종철, 강설중, 백운효 (2010). 24주간 운동이 고령 여성의 신체기능 체력과 심 혈관질환 위험인자에 미치는 영향. 한국발육발달학회지, 18(1). 93-98.

대한가정의학회, (2015). ‘대한민국 성인에서 대사증후군의 예방 및 치료’ 임상 진료지침. 대한가정의학회, 5(3) 375-420.

대한비만학회 (2012). 비만 치료지침 2012. Retrieved January 19, 2017, from http://www.kosso.or.kr/general/board/list.html?num=72&start=0&sort=to pdesc,num desc&code=general_03&key=&keyword=

류혜진, 최경묵 (2014). 비만 관련 질환 매개자로서의 아디포카인. 대한비만학회 지, 22(1), 1-6.

박미경 (2016). 취약계층 대사증후군 여성 노인을 위한 자가관리강화프로그램의 효과. 대구 카톨릭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대구.

박상갑, 권유찬, 김은희 (2005). 복합운동이 고령여성의 신체구성과 체력에 미치 는 영향. 한국스포츠리서치, 16(2), 109-116.

박서은 (2016). 한국 성인의 연령층별 대사증후군 예측요인: 건강행태와 생활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서울.

박수정, 전유나, 김창근 (2017). 규칙적인 걷기운동이 과체중 남성 노인의 혈중 Irisin 및 FGF-21 농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6(5), 1137-1148.

박은심 (2014). 자기조절 프로그램이 대사 증후군 환자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 학교 박사학위 논문, 서울.

송낙훈 (2014). 12주간의 탄성 밴드 운동이 고혈압 노인 여성의 동맥 맥파속도 에 미치는 영향. 한국웰니스학회, 9(2), 169-177.

송경자(2001). 자기효능 강화 심장 재활 프로그램이 자기효능, 건강 행위와 삶 의 질에 미치는 효과.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서울.

송효정, 박형근, 좌승훈, 문수희, 김세희, 신주연, 한지윤, 이지은, 장미영, 현은 희 (2017). 지역사회 거주 노인을 위한 스스로 근 관절 관리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기초간호학회, 19(3), 191-197.

신세훈 (2009). 노인종합복지관 여가프로그램 참여 노인의 신체활동량, 체력과 대사증후군 위험 요인 분석. 전남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광주.

신원태, 이중원 (2012). 운동 유형이 당뇨병 여성 노인의 혈중 염증 지표에 미 치는 영향. 한국웰니스학회지, 17(1), 201-208.

안의수, 노동인 (2010). 저항성 운동이 고혈압 전 단계 및 고혈압 환자의 동맥 경직도에 미치는 영향. 운동생리학회지, 19(3), 301-310.

양상훈, 김종식 (2014). 야외운동기구를 이용한 운동 프로그램이 노인들의 활동 체력, 대사증후군 위험인자 및 염증 인자에 미치는 영향. 한국운동생리학 회, 23(3), 229-240.

엄선옥, 이인숙 (2017). 건강 코칭 프로그램이 빈곤계층 고혈압 대상자의 자기 효능감, 건강행위 실천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대한간호학회지, 47(3), 380-391.

오두남, 김선호 (2015). 지역사회 재가 노인의 대사증후군과 우울의 관계. 한국 콘텐츠학회지, 15(8), 336-344.

오의금, 김수현, 현사생, 강명숙, 방소연 (2007). 대사증후군 중재연구 논문 분 석. 대한간호학회지, 37(1), 72-80.

유갑숙 (2018). 12주간의 요가운동이 고령 여성의 대사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익산.

유정은, 조영혜, 구현경, 김보영, 윤영주 (2014). 중년 건강검진 수진자에서 대사 증후군과 한방 비만 변증의 관련성. 대한한의학회지, 35(1) 124-134.

윤정미 (2018). 대사증후군 노인을 위한 건강생성이론 기반 통합성 강화 프로그 램의 효과. 부산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부산.

이건아, 최혜영, 양숙자 (2015). 대사증후군에 대한 식이와 운동 효과에 대한 메 타분석. 대한간호학회지, 45(4), 483-494.

이육, 이용수, 한아름, 김시영 (2012). 실버 에어로빅스 운동이 노인 여성의 대 사증후군 위험인자, 골밀도 및 노인활동 체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 학학회지, 21(1), 1155-1164.

이은희, (2010). 노인 대사증후군 관리를 위한 TLC(Therapeutic Lifestyle Change)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건강검진센터 방문 검진 노인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서울.

이정아, 이진석, 박종헌 (2012). 노인의 대사증후군 인지 및 신체활동 실천 요 인. 보건교육 건강증진학회지, 29(5), 61-75.

이춘지 (2014). 여성 노인의 자기효능자원을 이용한 필라테스 운동 프로그램의 효과. 경북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대구.

임주원, 김소연, 계소신, 조비룡 (2011). 한국 노인에서 비만, 복부비만과 대사증 후군의 유병률, 대한가정의학회, 32(2), 128-134.

전종귀, 이왕록, 박희근, 윤아람, 정선효 (2010). 24주간의 수중운동이 노인의 신 체조성, 건강 관련 체력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운동학학술지, 12(3) 25-33.

정시내 (2007). 노인운동 프로그램 참여자의 피드백 제공에 따른 운동 자기효능 감과 운동 의사결정 균형의 변화. 국민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서울.

정영호, 고숙자, 김은주 (2013). 효과적인 만성질환 관리방안 연구. 서울: 한국보 건사회연구원.

정일영 (2017). 사회적 지지와 자기효능감이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웰니스학회지, 12(4), 423-438.

정재훈, 최윤선, 김선미, 최선영, 김정은, 김이연, 김은영, 이희열, 정지훈, 진로 사 (2014). 한국 성인에서 신체활동상태와 이상지질혈증과의 연관성. 대 한임상노인의학회, 15(1) 35-44.

조정현 (2012). 복부비만 여성을 위한 자기결정성 이론 기반 동기강화 체중감소 프로그램 효과. 고려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서울

차은석, 신윤아, 김희영 (2008). 과체중 및 비만 대학생의 체력증진을 위한 자기 효능이론 기반 운동프로그램의 효과검증, 지역사회간호학회지, 19(4) 704-714

통계청 (2016). 2016년 연령별 성별 대사증후군 위험요인 보유개수별 현황.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350&tblId=DT_35007_N136&c onn_path=I3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5). 2014년 노인실태조사.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지질동맥경화학회 (2015). 2015 이상지질혈증 치료지침. 한국지질동맥경화 학회지, 4(1), 61-92.

한수정 (2013). 간호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전공만족도가 진로 태도성숙 에 미치는 영향. 성인간호학회지, 25(5), 559-566.

한태경 (2008). 운동 트레이닝 강도가 복부 비만 여성의 대사성 위험인자에 미 치는 영향. 한국운동영양학회지, 14(4), 219-225.

현사생 (2009). 농촌 지역 대사증후군 대상자를 위한 자가관리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서울.

황선욱 (2011). 노인 대사증후군의 원인과 치료. 대한임상노인의학회지, 12, 118-124.

한국영양학회 (2010). 한국인 영양섭취기준. 한국영양학회: 서울.

Bandura, 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2), 191-215.

Bandura, 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2), 191-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