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연구에 참여하는 대상자를 윤리적으로 보호하기 위해 A대학교 병원 기관 생명윤리위원회(Institute Review Board: IRB)에 연구계획서를 제출하여 승인 을 받고 연구를 진행하였다(AJIRB-MED-SUR-18-059: 부록 1).

경기도 S시 J 보건소와 S 보건소의 담당 팀장과 담당자에게 연구의 절차와 목적을 설명한 후 협조를 구했다. 또한, 연구시작 전에 참여자에게 연구의 목적 과 절차를 설명하고 연구 과정 중 원치 않으면 언제든지 참여 의사를 철회할 수 있음을 알려주었다. 그리고 연구에 참여하지 않거나 중도에 참여를 철회하 더라도 어떠한 불이익도 없다는 것을 설명하였다. 연구 과정에서 얻어진 모든 자료는 익명으로 처리되고 연구용으로만 사용되며 그 어떠한 개인정보도 공개 되지 않음을 설명하고 서면 동의를 받은 후 진행하였다(부록 2).

혈액검사를 위해 채취한 혈액검체는 의뢰한 기관의 규정에 따라 임상병리실 에서 7일 보관 후 폐기하였다. 모든 검체 폐기는 기관의 지침규정에 따랐으며 실험이 종료된 후 본 연구자는 임상병리실 담당자를 통하여 검체물이 최종 폐 기상태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모든 검체는 참여에 동의하고 연구 목적을 이해하며 채혈을 허용한 것으로 연구 용도만 사용하였다. 대상자의 혈액 및 혈액검사 결과, 개인정보 등 모든 자료는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였다.

Ⅴ. 연구결과

A. 실험군과 대조군의 동질성 검증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동질성 검증

본 연구의 대상자는 총 63명으로 실험군 30명, 대조군 33명이다. 일반적인 특성을 살펴보면 성별분포에서 실험군의 대부분은 여성으로 29명(96.7%)이며 대조군 또한 여성이 27명(81.8%)으로 여성이 대부분이었다. 평균연령은 69.7±4.38세이었다. 동거 형태는 독거 30명(47.6%), 배우자 24명(38.1%), 자녀 9 명(14.3%) 순이었다. 교육수준은 초졸 이하 34명(54.0%), 중졸 19명(30.1%), 고 졸 이상은 9명(15,9%)이었다. 종교는 ‘있다’ 33명(52.4%), ‘없다’ 30명(47.6%)으 로 비슷하였다. 건강행태 중 흡연에 대한 질문에서 61명(96.8%)이 하지 않고 있었으며 음주 또한 51명(81%)이 하지 않는다고 응답하였다. 평소 운동 여부에 대해서는 ‘규칙적으로 한다’ 37명(58.7%), ‘불규칙적으로 한다’ 20명(31.7%), ‘안 한다’도 6명(9.5%) 순이었다. 대사증후군 위험인자 보유 수는 3개 45명(71.4%), 4개 11명(17.5%), 5개 7명(11.1%) 순이었다. 진단받은 질환에 대해서는 ‘있다’

21명(33.3%), ‘없다’는 42명(66.7%)으로 주로 퇴행성 관절염, 골다공증, 고지혈증 등 이었다. 주거형태로는 다세대주택 32명(50.8%), 아파트 24명(38.1%), 연립주 택 7명(11.1%)으로 대부분 아파트로 구성된 신도시가 아닌 구시가지에 거주함 을 알 수 있다. 한 달 동안 자신을 위해 쓰는 용돈은 ‘30만원 이하’ 26명 (39.3%), ‘40만원 이하’ 17명(27%), ‘50만원 이하’ 20명(31.7%)으로 조사되었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동질성을 분석한 결과 두 집단은 통계 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이 동질한 것으로 나타났다(표 3).

표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동질성 검증 성별 여성 56(88.9) 29(96.7) 27(81.8)

3.50 .061 남성 7(11.1) 1(3.3) 6(18.2)

연령(세) 69.7±4.3 69.24±3.5 70.26±4.9 .940 .351

동거 여부

독거 30(47.6) 11(36.7) 19(57.6)

- .068*

배우자 24(38.1) 16(53.3) 8(24.2)

자녀 9(14.3) 3(10) 6(18.2)

교육 정도

초졸 이하 34(54.0) 17(56.7) 17(51.5)

- .888*

중졸 19(30.1) 8(26.7) 11(33.3) 고졸 이상 10(15.9) 5(16.6) 5(15.2) 종교 33(52.4) 17(56.7) 16(48.5)

4.22 .346 30(47.6) 13(43.3) 17(51.5)

흡연 2(3.2) 1(3.3) 1(3.0)

- 1.00*

아니오 61(96.8) 29(96.7) 32(97)

음주 12(19.0) 8(26.7) 4(12.1)

2.15 .126 아니오 51(81.0) 22(73.3) 29(87.9)

운동

안한다 6(9.5) 4(13.3) 2(6.1)

- .308*

불규칙적 20(31.7) 7(23.3) 13(39.4) 규칙적 37(58.7) 19(63.3) 18(54.4) 대사증후군

위험인자 보유 수

3개 45(71.4) 24(80.0) 21(63.6)

4.64 .085 4개 11(17.5) 2((6.7) 9(27.3)

5개 7(11.1) 4(13.3) 3(9.1) 진단 질환 21(33.3) 12(40) 9(27.3)

1.14 .285 42(66.7) 18(60) 24(72.7)

주거형태

아파트 24(38.1) 16(53.3) 8(24.2)

7.33 0.62 다세대주택 32(50.8) 11(36.7) 21(63.6)

연립주택 7(11.1) 3(10) 4(12.2)

한 달 용돈

30만원 이하 26(39.3) 12(40.0) 14(42.4)

070 .966 30-40만원 17((27.0) 8(26.6) 9(27.3)

40-50만원 20(31.7) 10((33.3) 10(30.3)

* Fisher’s exact test

2. 실험군과 대조군 종속변수의 사전 동질성 검증

(A) 실험군과 대조군 자기효능감 동질성 검증

연구 대상자의 종속변수인 일반적 자기효능감, 구체적 자기효능감에 관한 동질 성 검증결과는 표 4와 같다. 일반적 자기효능감에 대한 평균은 실험군 71.23점 (±11.60), 대조군 71.88점(±11.84)으로 점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t=-0.22 p=.825). 구체적 자기효능감에 대한 평균은 실험군 70.96점(±11.74), 대조 군 71.79점(±12.09)으로 점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t=-.273 p=.786).

영역별로 운동은 실험군 64.88점(±14.90), 대조군 72.32점(±41.69)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t=-.924, p=.359). 일상생활도 실험군 71.55점(±11.02), 대조군 71.31점(±10.53)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t=.089, p=.929). 식이요법도 실험군 71.83점(±14.23), 대조군 72.57점(±13.98)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t=-.209, p=.835). 금연도 실험군 99.33점(±2.53), 대조군 99.39(±2.42)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t=-.097, p=.923). 스트레스 관리는 실험군 72.63점(±13.20), 대조군 73.03 점(±13.80)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t=-.107, p=.915). 따라서 일반적 자 기효능감 및 구체적 자기효능감의 사전점수의 동질성이 검증되었다.

표 4. 실험군과 대조군 자기효능감 점수의 동질성 검증

(n=63)

변수 실험군(n=30) 대조군(n=33)

t p

M±SD M±SD

일반적 자기효능감 71.23±11.60 71.88±11.84 -.220 .825

구체적 자기효능감

전체평균 70.96±11.74 71.79±12.09 -.273 .786 운동 64.88±14.90 72.32±41.69 -.924 .359 일상생활 71.55±11.02 71.31±10.53 .089 .929 식이 71.83±14.23 72.57±13.98 -.209 .835 금연 99.33±2.53 99.39±2.42 -.097 .923 스트레스 관리 72.63±13.20 73.03±13.80 -.107 .915

(B) 실험군과 대조군 생활습관 동질성 검증

연구 대상자의 종속변수인 생활습관에 관한 결과는 표 5와 같다. 생활습관은 신체활동과 체중조절, 식습관, 음주와 흡연, 스트레스, 수면과 휴식, 건강검진의 6개 하부 영역으로 분류된다. 영역별로 살펴보면 신체활동과 체중조절(t=-1.44, p=.154), 식습관(t=-0.74, p=.457), 음주와 흡연(t=0.31, p=.754), 스트레스(t=-1.64 p=.105), 수면과 휴식(t=1.65, p=.103). 건강검진(t=-0.75, p=.454)으로 6개 영역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생활습관의 전체평균은 실험군 2.65점(±.29), 대조군 2.73점(±.55)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t=-.719, p=.475). 따 라서 생활습관 사전점수의 동질성이 검증되었다.

표 5. 실험군과 대조군 생활습관 점수의 동질성 검증

(n=63)

변수 실험군 (n=30)

대조군 (n=33) t

M±SD M±SD

전체평균 2.65±0.29 2.73±0.55 -.72 .475

신체활동과 체중조절 2.22±0.46 2.46±0.86 -1.44 .154.

식습관 2.60±0.39 2.69±0.57 -.74 .457

음주와 흡연 3.41±0.78 3.35±0.77 .31 .754

스트레스 2.78±0.68 3.06±0.62 -1.64 .105

수면과 휴식 3.06±0.73 2.75±0.74 1.65 .103

건강검진 2.67±0.59 2.80±0.73 -.75 .454

(C) 실험군과 대조군 대사증후군 생리적 지표 동질성 검증

연구 대상자의 종속변수인 대사증후군 생리적 지표에 관한 동질성 검증결과는 표 6과 같다. 허리둘레 측정값은 실험군 93.17cm(±6.98), 대조군 90.69cm(±6.79)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t=1.42, p=.160). 수축기 혈압도 실험군 140.0mmHg(±9.20), 대조군 137.87mmHg(±23.02)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t=0.47, p=.639). 이완기

혈압도 실험군 85.40mmHg(±7.73), 대조군 87.51mmHg(±4.89)으로 유의한 차이 가 없었다(t=-1.30, p=.195). 공복혈당도 실험군 107.30mg/dL(±13.26), 대조군 112.51mg/dL(±17.50)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t=-1.32, p=.191). 중성지방도 실험군 134.13mg/dL(±56.12), 대조군 151.33mg/dL(±14.01)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t=-1.07, p=.093). 고밀도 콜레스테롤도 실험군 61.30mg/dL(±11.42mg), 대조군 62.87mg/dL(±14.41)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t=0.16, p=.873). 따라서 대사증후군 생리적 지표의 사전 측정값의 동질성은 검 증 되었다.

표 6. 실험군과 대조군 대사 증후군 생리적 지표의 동질성 검증

(n=63)

변수 실험군 (n=30) 대조군(n=33)

t p

M±SD M±SD

허리둘레(cm) 93.17±6.98 90.69±6.79 1.42 .160 수축기혈압(mmHg) 140.0±9.20 137.87±23.02 .47 .639 이완기혈압(mmHg) 85.40±7.73 87.51±4.89 -1.30 .195 공복혈당(mg/dL) 107.30±13.26 112.51±17.50 -1.32 .191 중성지방(mg/dL) 134.13±56.12 151.33±14.01 -1.70 .093 고밀도콜레스테롤(mg/dL) 61.30±11.42 62.87±14.41 .16 .8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