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주요 선진국에서는 만성통증 관리를 위한 지역사회 기반 프로그램을 성공적으로 운영 중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앞서 다룬 미국과 캐나다의 사례에 비추어 우리나라

환경에 적합한 지역사회 기반 프로그램 운영에 대해 제언하고자 한다.

1)

만 성 통 증 관 리 의 인 식 제 고

우리나라의 경우 만성통증 환자들의 통증관리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실정이다. 통 증의 제거 및 감소가 중요한 치료목표 중 하나이지만 더 나아가 일상생활에 적응할

수 있도록 신체 및 심리사회적 기능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이러한 인식을 제고하 기 위해서는 치료를 제공하는 의료진을 비롯해, 보건센터, 대학의 역할이 중요하다.

의료진은 내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만성통증의 통합적 관리가 필요함을 알리고, 보건 센터나 대학의 전문가들이 지역사회의 재정적인 도움을 받아 정기적으로 만성통증 환

자들을 위한 심화된 교육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

2)

만 성 통 증 관 리 전 문 가 양 성

우리나라의 경우 만성통증을 관리하는 방법은 주로 의학적인 개입에 제한된 실정

이다. 만성통증의 특징 상 주요 선진국의 경우와 같이 다학제적인 접근이 이루어져야 하나 우리나라에는 의료 전문가 외에 만성통증을 전문적으로 다룰 수 있는 인력이 부

족한 실정이다. 전문가의 부족은 만성통증 관리에 대한 인식의 부족에서도 기인하는 부분이 적지 않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앞서 언급한 만성통증 관리의 인식제고와 더

불어 전문가를 중심으로 다양한 방법(워크샵, 온라인 강의)을 통해 지역사회가 주체가 되어 만성통증을 관리할 수 있는 인력을 양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3)

지 역 사 회 상 담 기 관 과 협 력

만성통증 관리에서 강조되어야 하는 것 중 하나는 적극적인 자기관리이다. 특히

만성통증환자의 경우 만성통증을 앓게 되면 종종 정신적인 고통과 더불어 무기력해지 기 쉬워 통증에 대해 적극적인 관리가 힘들어진다. 만성통증을 적극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정신적 고통이나 무기력감을 먼저 해결해야 하는 경우가 있어 지역 사회 상담기관과의 협력이 중요하다. 앞서 언급한 통합적 만성통증 관리에 대한 인식

제고, 만성통증에 대한 전문성을 가진 상담사를 양성하는 것에 더해 지역사회의 재정 적 지원, 특히 바우처 사업이나 참여하는 기관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으로 인해 치료

제공자나 환자들의 동기를 활성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4)

사 업 주 체 의 통 합

우리나라의 경우 만성질환을 대상으로 한 지역사회 관리는 분절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중앙정부, 보험자, 시군구 등 사업주체가 달라 환자에 대해 유기

적으로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고, 또한 이에 대한 평가나 질 관리에 대해서도 제 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만성통증

의 지역사회 관리 또한 크게 다르지 않다. 따라서 앞으로 효과적인 만성통증의 관리 를 위해서는 사업주체를 일원화 해 체계적이고 통합적인 운영이 필요하다.

4. 결 론

만성통증은 환자에게 상당한 고통과 비용을 야기하며, 환자 개인을 넘어 가족, 지 역사회, 직장, 건강돌봄체계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친다. 의학적인 진단

과 수술기법, 약물 등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접근법들은 대부분의 만성통증환 자에게 완벽한 해결책을 제공하지 못했고 이 중 많은 환자들은 통증제거를 위해 고군

분투하고 있다. 이에 주요 선진국에서는 만성통증을 다학제가 참여하는 통합적인 형 태로 관리하고 있으나 우리나라는 이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상태이다. 주요 선진국이

취하는 접근방법들을 뒤따라가기에는 여러 제약들이 있는 것은 사실이나 우리나라 상 황에 맞게 차근차근 단계를 밟아나간다면 가까운 미래에 통합적인 만성통증 관리 서

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참고문헌

교육과학기술부 (2012). 지방대학 발전 방안(시안).

교육부 (2013a). 지방거점대학 육성 및 특성화 방안 연구: 지방대학 육성방안을 중

심으로.

교육부 (2013b). 고등교육 종합발전 방안(시안).

국가정보화 기본법.

권정만, 김선경 (2014). 도시재생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의 의의와 한계: 도

심정책적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지적정보학회, 16(1), 83-101.

김륜희, 이종근, 이삼수 (2015). 도시재생사업의 모니터링 및 평가방안 연구: 선도 지역을 사례로. LHI Journal, 6(1), 1-9.

김세나 (2013). 지자체와 지역대학 간 협력사업 활성화 방안. 대구경북연구원.

김영주, 박남희 (2012). 지속가능한 커뮤니티 관점에서 본 일본의 마을만들기 사례

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0(4), 133-146.

김철영 (2013). 대학과 지역의 협력을 통한 지역사회 활성화 방향에 관한 연구. 한 국도시설계학회지, 14(5), 65-78.

김철영 (2013). 대학과 지역의 협력을 통한 지역사회 활성화 방향에 관한 연구: 일

본의 대학과 지역이 연계하는 마을 만들기 추진실태를 중심으로. 한국도시설 계학회지, 14(5), 65-78.

김혜천 (2013). 한국적 도시재생의 개념과 유형, 정책방향에 관한 연구. 도시행정 학보, 26(3), 1-22.

김희삼 (2009. 4). “지역대학 문제의 분석과 시사점”. KDI정책포럼, 제211호.

대학교육협의회 (2013). 제42회 대학교육 정책포럼: 지역대학, 어떻게 육성할 것 인가?

문경원 (2005). 대전시의 고용 및 인적자원개발정책. https://www.google.co.kr/u rl?sa=t&rct=j&q=&esrc=s&source=web&cd=4&ved=0ahUKEwi5h-6

rwrfJAhWBJZQKHR4SALEQFgg3MAM&url=https%3A%2F%2Fwww.nh rd.net%2Fboard%2Fdownload.do%3FboardId%3DBBS_0000012%26file

Sid%3D789%26dataSid%3D21941&usg=AFQjCNGl99KNHjUTPGvnG_g EnGafSL61nA&bvm=bv.108194040,d.dGo&cad=rjt. 2015. 11. 30. 자료 얻음

박경국 (2001). 충북지역개발과 대학의 역할. 학술세미나, 13-41.

박노동 (2012). 대전시와 대학의 협력방안에 관한 연구. 대전발전연구원.

서형준 (2014). 정보격차 연구에 대한 비판적 논의. 한국컨텐츠학회논문지, 14(1 1), 657-666.

손승남 (2015). 지역사회 평생교육기관으로서 대학의 역할과 과제. 교양교육연구, 19(3), 71-96.

염홍철 (2004). 교육환경 변화에 따른 지방자치단체의 바람직한 대학협력 방향. 대 학교육, 131, 5-7.

윤영채 (2004). 지식기반사회에 있어서 지방대학과 지방정부간 협력방안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15(4), 173-188.

윤학로, 김점석 (2004). 문학관 설립을 위한 대학과 지방자치단체의 협력에 관한

연구. 프랑스문화예술연구, 6(3), 345-368.

이명훈, 김수연, 조미정, 황지욱 (2013). 한·일 도시재생 특별법 비교를 통한 개선

방향 연구. 국토계획, 48(6), 495-520.

이소영 (2014). 지방자치단체의 ODA 사업추진방향.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이수정, 원용아, 이용철, 박인철 (2010). 대학의 사회봉사 기능이 인지도 및 교육성 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열린교육연구, 18(3), 1-26.

이애련 (2010). 대학의 지역사회봉사활동 활성화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교양학회 지, 19, 61-80.

이연수 (2014). 대학박물관 관람객을 통한 지역사회 역할 증대. 고문화, 83,

139-159.

이창호 (2013).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제정 의의와 향후 과제,

이슈와 논점. 국회입법조사처, 제677호.

임재해 (2001). 지역축제 발전을 위한 지역사회와 지역대학의 역할. 비교민속학, 2 0, 151-201.

장우권 (2009). 대학도서관의 지역사회연대와 서비스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 정 보학회지, 40(1), 23-45.

정선기 (2005). 대전지역의 인적자원개발의 현황과 과제. 직업과 인력개발, 2005

(겨울), 134-141.

천현숙, 2008, 커뮤니티재생과 거버넌스. 건축, 52(7), 34-36.

최영훈, 백종윤(2009). 대학과 지역발전의 관계: 16개 광역자치단체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425-441.

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7). 지역사회와 지역대학의 상생방안. 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국내학술회의 발표문집.

한광식 (2015. 11. 23). 지역경쟁력 강화를 위한 대학과 지방자치단체의 역할. 김

포미래신문. http://www.gimpo.com/news/articleView.html?idxno=34712 한국경제신문사 (2014). 경제용어사전.

한국국제협력단 (2015). 국제개발협력 용어집. http://www.koica.go.kr/

한국정보화진흥원 (2015). 사회 통합을 위한 정보격차 해소전략. 제35회 KISTEP수 요포럼.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2). 고등교육 충원율 전망. KRIVET Issue Brief, 1, 1-4.

Hazelkorn, E. (2006). Government Support for Universities: Industry Coope

ration. OECD Workshop in Tomsk State University

정책연구보고서 2015-66

대전광역시와 지역대학 협력방안 연구

발행인 유 재 일

발행일 2015년 11월 30일

발행처 대전발전연구원

302-846 대전광역시 중구 중앙로 85(선화동 287-2)

전화: 042-530-3523 팩스: 042-530-3528

홈페이지 : http://www.djdi.re.kr

인쇄: ○○○○○ TEL 042-○-○ FAX 042-○-○

이 보고서의 내용은 연구책임자의 견해로서 대전광역시의 정책적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출처를 밝히는 한 자유로이 인용할 수 있으나 무단 전재나 복제는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