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도시재생에서 지역대학의 역할-거버넌스적 접근의 필요성

이처럼 도시재생특별법에 근거하여 볼 때 도시재생은 물리적 위주의 재생에서 나 아가 사회, 문화적 기능을 기반으로 한 실질적인 도시재생의 방향성을 갖는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지역의 다양한 참여주체를 중심으로 한 사회참여적 측면의 강화 등 거버넌스적 기반의 도시재생으로서의 정책방향을 갖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도시재생특별법’은 계획적이고 종합적인 도시재생 추진체제를 구축하고, 민간 및 정부사업들에 대한 지원을 통해 실질적인 도시재생의 활성화로 지속적 경제성장과 사

회적 통합을 이루는데 제정목적을 두고 있다. 새로운 법률의 제정과 함께 법리적 충 돌과 사업운용상의 혼선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는 단순 제도적 차원뿐만 아니라 환경

적, 조직적, 사회 참여적 차원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도시주거환경의 슬로시티 패러다임의 확산으로 지속가능한 커뮤니티가 부각 되어 오면서 도심 재생 및 지역 커뮤니티 내 주민들 간의 사회적 상호작용 향상으로

커뮤니티 의식을 높이는 것과 같은 공동체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김영주・박남희, 2012). 이러한 지역 커뮤니티의 강조는 지역 거버넌스의 개념과도 일맥 상통하는 것

으로 보여 진다. 거버넌스는 ‘개인이나 조직이 자신의 이해와 복지 등에 영향을 미치 는 결정에 대해 실질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방법을 조정하거나 결정하는 일련이 구

조와 과정’을 의미한다. 도시재생이나 커뮤니티 재생은 일정한 지역적 범위에서 이루 어지는 것이므로 지역 거버넌스로 파악할 수 있다. 특히 생활권단위에서 주민이 주체

적 의식을 갖고 상향식에 의한 재생을 시도하는 것을 커뮤니티 재생이라 할 수 있는 데, 이때 거버넌스형 도시재생에서 중요한 특징은 ‘참여성’, ‘자율성’, ‘상호의존성’으 로 제시한다(천현숙, 2008).

먼저 참여성은 관련 이슈에 이해관계를 가지고 있는 당사자의 이해가 얼마나 거버 넌스 구조에 반영되어 있는지 여부를 의미하며, 자율성은 거버넌스를 구성하는 주체

들이 적절한 대표성을 가지고 지속적으로 스스로를 시스템에 적응하여, 전체 시스템 이 유기체적인 생명력을 가지는 것이다. 상호의존성은 구성원들이 서로 신뢰관계 속

에서 활발한 의사소통이 지속적으로 가능한 정도를 의미한다.

이처럼 오늘날의 도시재생의 방향성에서 지속가능한 도시의 재생을 위해서는 지역

커뮤니티의 기능의 강화와 활성화방안이 중요하다. 특히 지역의 중요한 도시재생 참 여 주체로서 대학의 역할방안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지역거버넌스 관점이 요구되는 바

이다. 이를 위해서는 앞서 검토한 지역거버넌스 접근 프래임인 참여성, 자율성, 상호 의존성의 세부 관점에서 대학의 역할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제6장. 지자체와 지역소재 대학간 협력방안

- 정보 격 차 (Digital Divide) 해 소 를 중 심으 로

-충남대학교 김성원

1. 서 론

1)

연 구 배 경

정보화사회의 성숙과 지식사회로의 전이로 사회구성원들의 정보활용능력은 구성원

이 속한 소집단, 그러한 소집단으로 구성되는 지역사회, 그리고 궁극적으로는 사회전 체의 경쟁력을 가름짓는 중요한 요소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사회구성원들의 정보활용

능력의 증진은 이의 주된 저해요인인 정보격차(Digital Divide)의 해소를 통해 달성될 수 있다. 정보격차의 해소를 통해 사회구성원의 정보활용능력을 제고시키고, 궁극적으

로 구성원들의 경쟁력을 제고시키는 것은 지식정보화 사회에서 지역의 경쟁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중요한 정책과제이다. 또한 이러한 정책과제는 지역의 지자체와 소재

대학간의 협력을 통해 더욱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2)

연 구 의 필 요 성

사회구성원의 정보활용능력 증진의 기반이 되는 정보격차의 해소문제는 다양한

주체들에 의해 인식되고 있으며, 그 해결을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경주되고 있다. 개 별 주체들은 각자의 영역에서 정보격차의 해소를 위한 다양한 활동들을 수행하고 있

다, 이러한 관련 주체들의 노력이 통합적인 협력체계 아래에서 수행될 수 있다면 정 보격차의 해소에 더욱 효율적으로 기능할 수 있다. 관련 주체가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협력체계의 구축과 추진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3)

연 구 목 적

본 연구에서는 정보격차 해소를 위해 각 주체들이 수행하고 있는 활동간의 협력방 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특히 주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지방

자치단체와 지역소재 대학간의 협력방안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궁 극적으로는 정보격차의 해소 및 이를 통한 사회통합에 기여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