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2절 개선 방안과 제언

2. 정책 제언

사회보장 영역의 정책조정기제를 개선한다는 것은 정책의 결정, 집행, 평가, 환류 등 일련의 정책 과정을 개선한다는 것이며, 이를 통해서 정책 내용과 정책의 의해 제공되는 사회보장 급여·서비스의 질을 제고하는 것 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정책조정기제의 개선 방안이 제대로 작 동할 수 있는 기반과 환경을 조성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사회보장정책의 합리적 결정과 효과적 조정의 출발은 사회보장정책을 담당하는 중앙행정기관(부처)의 역할 정립이다. 전문부처주의 확립, 부처

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 개별 부처 업무는 장관의 통솔 범위를 고려하 여 부처 단위의 책임행정이 이루어지도록 소관 기능의 적정화가 선행되 어야 한다. 통솔 범위의 적정화는 정책 일관성 제고와 정책조정 수요 감 소로 연계될 가능성이 높다. 통솔 범위의 적정화를 위한 근본적인 방안은 사회보장정책 담당 부처를 포함한 중앙정부 전체 부처를 재편하는 것이 나, 부처의 개편을 동반하지 않은 경우에도 소관 업무 및 통솔 범위 적정 화는 현재 개별 부처가 담당하고 있는 업무를 조정하는 것이다. 사회보장 정책 영역에서 소관 업무와 기능 조정의 검토 대상은 일자리 사업, 고용 지원, 근로빈곤층에 대한 복지·고용 연계 서비스, 여성·가족, 다문화 가 정, 아동·청소년, 노인 등 대상자별 사회서비스, 보육과 유아교육 등 영유 아·아동 돌봄서비스, 장애인·노인 대상의 성인돌봄 등이다.

전문부처주의 확립과 더불어 사회보장정책 전반의 정책조정과 관련하 여 보건복지부의 복수 차관 도입을 긍정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보건 복지부는 현재 (공공)보건의료, 공공부조, 사회보험, 사회서비스 등의 업 무를 전담하고 있으며, 향후 이러한 업무들이 급격하게 증가할 것이다.

또한 보건복지부는 신(新)사회 위험에 대한 대응, 저출산 현상과 인구 고 령화 등 미래사회를 대비하기 위한 국가 프로젝트를 주도하는 부서로 확 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향후 보건복지부는 업무 영역의 확장으로 장관의 통솔 범위가 확대될 것이며, 복수 차관제 도입은 부처의 소관 업무와 장 관의 통솔 범위 적정화를 위한 방안이다. 사회보장, 저출산, 고령사회 대 비 등 국가적 차원의 의제 설정(agenda setting)과 정책 문제에 대한 능 동적 대응을 위해서는 특정 정책을 전담하는 차관보의 신설도 동시에 고 려할 필요가 있다.

이 교차하는 영역에서 현재의 관계장관회의를 재편하는 것이다. 관계장 관회의를 통한 정책조정이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예산편성권의 분 권화가 동반되어야 한다. 예산이란 정책의 숫자적 표현이라는 점에서 예 산은 정책결정과 조정 결과의 종속변수이다. 그러나 실제는 예산 부처가 예산편성권을 매개로 정책조정권을 행사하는 것이 관행이었고, 정책조정 은 예산 편성권에 종속되는 양상을 보였다. 이러한 관행을 탈피하고 부처 간 수평적 그리고 자발적인 정책협의를 촉진하기 위해서는 관계장관회의 에서 논의하여 조정·결정한 결과가 예산편성에 반영되어야 한다.

예산편성권의 분권화는 예산 부처는 정부 예산의 총규모와 영역별 배 분을 담당하고, 관계장관회의에서 논의를 거쳐 해당 분야 선임 장관(또는 부총리)은 영역 내 예산 배분을 담당하며, 개별 부처의 장관은 부처에 배 분된 예산을 편성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예산편성권의 분권화가 이루어 진다고 하더라도 예산 부처의 영향력은 지속될 것이다. 예산편성권을 활 용한 정책조정은 중립성 확보가 전제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예산 부 처는 자체 이해관계가 없도록 다른 소관 업무가 없는 정책기획·예산편성 만을 전담하는 조직으로 개편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권용식. (2016). 중앙부처의 정책조정에 관한 연구: 정책조정 결과에 대한 조정 주체요인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보, 25(1), 89-127.

국무조정실. (2007a). 정책조정백서(1998년~2006년).

__________. (2007b). 생생리포트: 노무현 정부 정책갈등과 조정.

김경희. (2007). 국가인적자원개발정책의 총괄·조정기제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25(1), 209-233.

김근세, 유홍림, 송석휘, 박현신. (2014). 대부처주의 정부기관의 효과분석: 교육 과학기술부 공무원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 23(1), 91-123.

김병섭, 박광국, 조경호. (2000), 조직의 이해와 관리, 대영문화사.

김상묵. (2009). 고용정책분야의 개방형 정책조정(OMC)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 과학학회보, 13(2), 203-231.

_______. (2012). 개방형 조정방식과 ICT 거버넌스.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15(3), 129-152.

김상봉, 이상길. (2007). 국가R&D사업 정책조정과정에 있어서 정부부처 간 갈 등조정에 관한 연구. 정책분석평가학회보, 17(3), 161-192.

김인자, 박형준, 홍세호, 구민경. (2013). 관료정치모형을 통한 신약개발 정부 R&D사업 정책조정 사례분석. 정책분석평가학회보, 23(2), 29-62.

김종문. (2003). 국무조정실의 정책조정 실태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김형빈, 강성권. (2007). 지방정부 정책조정기능 강화방안. 지방정부연구, 11(1), 159-184.

남찬섭, 조대엽. (2013). 장애정책조정기구의 특성과 공공성의 재구성. 한국사회, 14(1), 133-179.

대한민국정부. (2011). 2011-2015 제2차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새로마지플랜 2015.

대한민국정부. (2016). 2016-2020 제3차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브릿지플랜 2020.

모미순. (2000). 정보통신정책 형성과정에 있어서 부처 간 정책갈등과 조정에 관한 연구: 정보화촉진기본법 제정과정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박광국, 채경진. (2011). 다문화정책에서의 네트워크 분석: 부처별 기능비교를 통한 효율적 다문화정책 체계구축. 한국행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박석희, 이종원. (2008). 정책갈등 상황에서의 관료정치 전략 분석. 한국행정연구, 17(2), 59-87.

박재공. (2005). 정책갈등의 원인과 갈등관리 방법. 사회과학논집, 10(3), 1-29.

박재희. (1997). 영국의 중앙정부조직. 한국행정연구원.

______. (2000a). 부처 간 갈등과 정책조정력 강화방안. 한국행정연구, 9(4), 5-24.

______. (2000b). 정책결정시스템과 정책조정. KIPA 연구보고. 한국행정연구원.

______. (2004). 중앙행정부처의 갈등관리 방안. KIPA 연구보고. 한국행정연구원.

박정택. (2004). 부처 간 정책갈등과 조정에 관한 연구: 과학기술기본법 제정과정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______. (2005). 부처 간 정책갈등과 조정에 관한 연구: 과학기술기본법 제정과 정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서원석. (2011). 선진 각국의 정부조직 관리체계 연구. 한국행정연구원.

서진완, 윤상호. (2007). 정책평가와 정책조정의 변화: 테마마을 사업 사례. 한국 정책과학학회보, 11(1), 1-31.

성지은, 송위진. (2008). 정책 조정의 새로운 접근 : 정책 통합. STEPI Working Paper Series (WP 2008-01).

성지은, 송위진, 장영배, 정병걸, 한재각. (2009). 통합적 혁신정책을 위한 정책조

안광일. (1994). 정부갈등관리론. 대명출판사.

유종상, 하민철. (2010). 국무총리실의 정책조정 성과 연구: 「정책조정백서」의 조정과제와 조정전략을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보, 19(3), 345-379.

윤광재. (2004). 주요제국의 행정제도 동향조사: 미국의 연방정부 조직. 한국행정 연구원.

윤석준, 오인환, 김영애, 변주영, 윤지현, 서혜영. (2013). OECD 국가의 보건의 료 행정조직의 조직현황과 의사의 참여방식에 관한 연구. 대한의사협회 의 료정책연구소 연구보고서.

이달곤, 전주상. (2002). 지방자치단체장의 갈등조정:서울시 ‘시민과 시장의 토 요데이트 분석’. 행정논총, 40(3), 1-24.

이대영, 함영진. (2014). 의료비 국가지원 사업의 정책조정을 위한 시론적 연구.

한국정책학회 동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이민창, 오시영, 서정훈. (2015). 국회 입법과정상 정책조정기능 개선 방안: 핀란 드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거버넌스학회보, 22(1), 55-80.

이석환, 조주연, 장봉진. (2015). 외국의 사회정책 협력‧조정체계 조사‧분석연구.

한국행정학회.

이성우. (1993a). 행정부의 정책조정체계 연구. KIPA 연구보고. 한국행정연구원.

이성우. (1993b). 한국의 정책조정체계: 평가와 대안. 한국행정연구, 2(4), 5-22.

이송호. (2001). 미국과 프랑스의 정책조정시스템 비교. 행정논총, 39(2), 69-102.

______. (2003). 관계장관회의의 구성과 운영에 관한 비교연구: 영국, 프랑스, 미국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14(3), 69-97.

______. (2009). 부처간 정책조정기구들의 비교평가와 유효조건 탐색. 경찰대학 논문집, 29, 411-450.

______. (2012). 분석적 정책조정의 절차와 논리에 관한 탐색. 한국행정연구, 21(1), 1-37.

이원희, 정정화, 금현섭. (2008). 사회투자 활성화를 위한 보건복지 거버넌스 재 정립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학회/한국행정연구원.

이지호, 이덕로. (2013). 근로빈곤층 취업지원사업을 둘러싼 부처 간 갈등과 조 정에 관한 연구. 현대사회와 행정, 23(1), 24-52.

이창길. (2006). 우리나라 중앙부처 정책조정 네트워크의 구조 분석. 한국행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임도빈. (2004). 정부조직의 재설계: 최고조정체계를 중심으로. 행정논총, 42(3), 1-24.

재정정보공개시스템. (2017). http://www.openfiscaldata.go.kr에서 2017.

9. 20. 인출.

전영한. (2009). 국가운영시스템의 변화와 과제: 정책조정시스템, 정책&지식 포럼 (2009:10.26자): 1-22. 한국정책지식센터(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미출간 논문.

전영한, 윤영근, 윤주철. (2012). 국정운영 및 정책조정 거버넌스에 관한 연구.

(사)한국정책학회 용역과제 연구보고서.

정정길. (1993). 바람직한 대통령의 정책관리: 경제정책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27(1).

정정길, 최종원, 이시원, 정준금, 정광호. (2014). 정책학원론. 대명출판사.

주재복. (2001). 지방정부 간 정책갈등의 조정과정과 협력규칙. 한국정책학회보, 10(1), 141-163.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법률 제15333호 (2017).

최웅선, 이용모, 주운현. (2012). 중앙정부의 다문화정책 조정에 관한 연구; 한국과 독일의 다문화정책 비교를 중심으로. 한·독사회과학논총, 22(1), 33-70.

하민철. (2013). 국무총리실의 정책조정 성과와 함의. 디지털정책연구, 11(3), 73-83.

홍성우. (2009). 네트워크 거버넌스에서의 정책조정수단 분석: 유럽연합 연구개

Alexander, E. R. (1995). How Organizations Act Together:

Interorganizational Coordination in Theory and Practice.

Luxembourg: Gordon and Breach Science Publishers SA.

Baranek, P., Veillard, J., & Wright, J. (2012). Benchmarking Health Care in Federal Systems: the Canadian Experience.

Dunn, W. N. (1981). Public Policy Analysis: An Introdution. Englewood Cliffs. N. J.: Prentice Hall, Inc.

Jennings, E. T. (1994). Building Bridges in the Intergovernmental

Jennings, E. T. (1994). Building Bridges in the Intergovernment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