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 시가화예정용지의 역할을 재정립하고 인구지표에 의존하여 단계별 총량을 산정하도록 되어있는 현행 규정을 개선함

○ 대규모 개발사업의 추진이 점점 어려워지는 상황에서 시가화예정용지의 역할을 계획입지에 대한 성장관리수단으로만 한정하는 것은 시대 흐름에 역행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음

○ 시가화예정용지의 역할을 대규모 개발사업이 아닌 소규모 개별입지의 총량과 개발시점을 관리하는 수단으로 재정립할 필요가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 단계별 총량 산정 시 인구가 아닌 개발행위허가 건수에 기초하는 것이 보다 실효성이 높다고 할 수 있음

○ 시가화예정용지의 무분별한 지정으로 인한 난개발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기반 시설 용량에 대한 분석이 항상 뒷받침되어야 하는 것은 물론이며, 단계별 목표량에 도달하지 못한 시가화예정용지 물량에 대해서는 일몰제를 적용하도록 하는 규정을 「도시‧군기본계획수립지침」에 신설할 필요가 있음

❏ 현재 우리나라에서 시행 중인 여러 가지 성장관리정책을 상호 연계하여 운영할 수 있는 통합지침을 마련함

○ 미국의 주 정부나 하위 정부에서는 하나의 성장관리기법에 의존하기보다 도시성 장경계, 성장단계프로그램, 적정기반시설조례, 자본증진계획 등 다양한 성장 관리기법을 서로 연계하여 통합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경우가 많음

○ 도시성장관리에 있어 정책 간의 수직적‧수평적 일관성의 확보가 매우 중요하다는 점을 고려할 때 시가화예정용지, 기반시설부담구역, 성장관리방안, 개발행위 허가 등 우리나라의 비시가화지역 관리제도 역시 통합적으로 운영될 필요가 있음

○ 이를 위해 현행 「기반시설연동제운영지침」, 「성장관리방안수립지침」, 「개발행 위허가운영지침」을 통합하거나, 해당 지침은 현행과 같이 유지하되 각 제도의 통합적 운영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담고 있는 「비시가화지역의 성장관리에 관한 통합지침(가제)」을 별도로 마련하는 방안을 고려해 볼 수 있음

❏ 비시가화지역에 대한 종합적인 기반시설 공급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하는 법적근거를 마련함

○ 비시가화지역에서의 개발행위 불허에 대한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시‧군별로 장기적인 기반시설 공급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으며, 향후 개발업자에게 신규 개발에 대한 추가적인 기반시설 설치비용을 부담시킬 때에도 이와 같은 기반시설 공급계획에 근거해야 함

○ 이를 위해 시‧군별로 자체적인 기반시설 공급계획을 수립할 수 있는 법적 근거를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마련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도시‧군기본 계획의 부문별 계획으로 포함시킬 경우 관련 규정을 개정하여 ‘기반시설’, ‘공원‧

녹지’, ‘경제‧산업‧사회‧문화의 개발 및 진흥’ 부문을 하나의 계획항목으로 통합할 필요가 있음

○ 이와 더불어 기반시설 공급계획에 따라 도시‧군관리계획시설 결정을 하는 경우 이에 대한 단계별 집행계획을 수립하고, 관련 내용을 중기지방재정계획에 반영 하도록 하는 강제조항을 마련하는 것도 필요함

❏ 성장관리방안의 실효성 제고를 위해 성장관리지역의 설정방법론과 인센티브 제공방안에 관한 규정을 신설함

○ 현행 「성장관리방안수립지침」에는 성장관리지역 설정 시 인구나 개발행위허가 등의 자료를 활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기는 하나, 어떻게 활용하면 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방법론을 담고 있지는 않음

○ 더군다나 현행 지침에 따르면 성장관리지역에 대해 건폐율‧용적률 등 밀도 규제를 완화해 주는 인센티브만 제공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이는 유사한 목적을 지닌 공장입지유도지구에 비해서도 인센티브가 부족한 것임

○ 성장관리방안의 실효성 제고를 위해서는 본 연구에서 제시한 성장관리지역의 설정방법론을 지침 상에 예시적으로 제시하여 일선 시‧군에서 참고할 수 있도록 할 뿐 아니라, 성장관리지역에 입지하는 사업자에 대해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규정도 마련할 필요가 있음

R E F E R E N C E

참고문헌

1. 국내문헌

감사원. 2011. 「택지개발사업 추진실태」. 서울: 감사원.

국토해양부. 2008. 「기반시설부담구역제도 시행 및 운영활성화를 위한 연구」. 경기:

국토해양부.

국토해양부. 2009. 「비도시지역 체계적 관리방안」. 경기: 국토해양부.

김대종ㆍ구형수. 2011. 「시공간패턴분석을 통한 토지이용변화 예측 및 활용방안 연구」.

경기: 국토연구원.

김대종ㆍ임은선ㆍ구형수. 2013. 「토지수요 모니터링 및 비축토지 선정방안 연구」. 세종:

국토해양부.

김동근ㆍ김상조ㆍ김성수ㆍ이병재ㆍ구형수ㆍ이태웅. 2014. 「도시계획 규제방식 전환에 대응하기 위한 비도시지역 개발행위허가에 관한 연구」. 경기: 국토연구원.

김상조ㆍ박세훈ㆍ이진희. 2010. 「도시성장관리를 고려한 기반시설부담구역제도 개선 방안 연구」. 경기: 국토연구원.

김성수ㆍ김은정ㆍ이범현ㆍ구형수. 2014. 「저성장 시대에 대응한 도시기본계획제도 개선 방안 연구」. 경기: 국토연구원.

김용학ㆍ엄수원. 2000. 「수도권의 난개발 실태와 토지이용 합리화 방안에 관한 연구」.

경기: 한국토지공사 연구개발처.

김은란ㆍ김상조ㆍ박세훈ㆍ박근현. 2013. “비시가화지역 성장관리제도 효율적 운용방안

윤동순ㆍ최민섭. 2014. “비도시지역의 효율적 관리방안: 계획관리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6(1): 1-26.

이시철. 2002. “토지이용규제의 ‘균형’관점에서 본 성장관리와 녹지확보”. 「토지연구」.

13(2): 81-101.

이양재ㆍ조상운ㆍ맹다미,ㆍ고태경. 1996. 「서울시 성장관리기법의 도입에 관한 연구:

토지이용규제제도를 중심으로」. 서울: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이외희ㆍ이봉석ㆍ이지은. 2007. 「관리지역세분화에 따른 비도시지역의 관리방안」. 경 기: 경기개발연구원.

이외희ㆍ임지현. 2014. 「비시가화구역 성장관리방안 제도시행에 따른 경기도 대응방안」.

경기: 경기개발연구원.

이성룡. 2005. 「용도지역 변경을 수반한 지구단위계획 운영방안」. 경기: 경기개발연구원.

이성룡ㆍ이외희ㆍ김군수ㆍ박성훈ㆍ안화연. 2009. 「공장 난개발의 원인과 대책」. 경기:

경기개발연구원.

이왕기. 2011. 「강화군 개발행위허가제 운용에 관한 연구」. 인천: 인천발전연구원.

이홍석. 2014. 「국가산업단지사업 평가」. 서울: 국회예산정책처.

임종한. 2014. 「환경피해지역(거물대리, 초원지3리) 환경역학조사」. 경기: 김포시청.

정의철ㆍ이창무. 2004. “잠재개발밀도가 지가에 미치는 영향 분석”. 「국토계획」. 29(3):

117-130.

조준범. 2014. “인구감소 지역의 난개발 수준과 경향에 관한 연구: 전라남도 읍면동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6(4): 15-34.

조철주. 2003. “성장관리의 구성요소와 운영: 미국 플로리다 주의 경우”. 「충북개발연구」.

14(1): 121-136.

채성주. 2012. 「충청북도 개별입지 공장실태 및 관리방향」. 충북: 충북발전연구원.

조철주. 2006. “성장관리기법 및 구조”. 최상철(편). 「성장관리의 이론과 실제」. 서울:

동서문화사.

2. 국외문헌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2006.

Planning and Urban Design Standards

. Hoboken, New Jersey: John Wiley & Sons, Inc.

Anderson. H. A. 1999.

Use and Implementation of Urban Growth Boundaries: An Analysis Prepared by the Center for Regional and Neighborhood Action.

http://www.colorado.edu/conflict/5010/crna-ugbreport.pdf.

Anthony, J. 2004. “Do State Growth Management Regulations Reduce Sprawl?”.

Urban Affairs Review

. 39(3): 376-397.

Clarion Associates. 2000.

Growth Management Tools Workbook

. Park County, Colorado.

http://co-parkcounty.civicplus.com/documentcenter/home/view/306.

Couch, C., Leontidou, L. and Petschel-Held, G.(ed.) 2007.

Urban Sprawl in Europe:

Landscapes, Land-Use Change & Policy

. Oxford: Blackwell.

DeGrove, J. M. 1992.

The New Frontier for Land Policy Planning and Growth Management in the States

. Cambridge, MA: Lincoln Institute of Land Policy.

DeGrove, J. M. and Metzger, P. M. 1993. “Growth Management and the Integrated Roles of State, Regional, and Local Government”. in Stein. J. M.(ed.).

Growth Management: The Planning Challenge of the 1990s.

Newbury Park: Sage Publications.

Ewing, R. 1997. “Is Los Angeles–Style Sprawl Desirable?”.

Journal of the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 63(1): 107-126.

Fahrig. L. 2003. “Effects of Habitat Fragmentation on Biodiversity”.

Annual Review of Ecology, Evolution, and Systematics

. 34: 487-515.

Forman, R. T. T. 1995.

Landscape Mosaic: The ecology of landscapes and regions

.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Freilich, R. H. 1999,

From Sprawl to Smart Growth: Successful Legal, Planning,

and Environmental Systems

. Chicago: American Bar Association.

Harvey, E. O. and Clark, W. 1965. “The Nature and Economics of Urban Sprawl”.

Land Economics

. 41(1): 1-9.

Kelly, E. D. 1993.

Managing Community Growth: Policies, Techniques, and Impacts

. Westport, CT: Praeger.

Maryland Office of Planning. 1997.

Smart Growth: Designating Priority Funding Areas

. http://www.mdp.state.md.us/pdf/ourproducts/publications/modelsguideline s/pfa.pdf.

McKee, D. L. and Smith, G. H. 1972. “Environmental Diseconomies in Suburban Expansion”.

American Journal of Economics and Sociology

. 31(2): 181-188.

Nelson, A. C. and Duncan, J. B. 1995.

Growth Management Principles and Practices

. Chicago: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New Hampshire Department of Environmental Services. 2008.

Innovative Land Use Planning Techniques: A Handbook for Sustainable Development

. http://des.

nh.gov/organization/divisions/water/wmb/repp/documents/ilupt_complete_

handbook.pdf.

Schiffman. I. 2001.

Alternative Techniques for Managing Smart Growth

. Berkeley, CA: Berkely Public Policy Press.

Siedentop. S. and Fina. S. 2008. “Urban Sprawl Beyond Growth: From a Growth to a Decline Perspective on the Cost of Sprawl”,

44th ISOCARP Congress

, Dalian, China, 19-23 September 2008.

Village of Deforest. 2011.

Blueprint Deforest: Village of Deforest Comprehensive Plan.

Washington State Department of Commerce. 2014.

Capital Facilities Planning Guidebook: Comprehensive Planning under the Growth Management Act

. http://www.commerce.wa.gov/documents/cfp-guidebook-final-draft.pdf Wilson, E. H., Hurd, J .D., Civco, D. L., Prisloe, S. and Arnold, C. 2003. “Development

of a Geospatial Model to Quantify”, Describe and Map Urban Growth.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 86(3): 275-285.

S U M M A R Y

SUMMARY

Keywords: Shrinkage Sprawl, Growth Management Policies

As urban financial problems due to low growth is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growth management policies that address the timing and costs of new development is being emphasized. With such a background, this study aimed to redefine the role of growth management policies of Korea as well as reform it. This study found that ‘shrinkage sprawl’ was becoming increasingly common in Korea and it was putting a strain on municipal finances. However, our policies have limitations in dealing with those changes because they don't fit together as well as still presuppose sustained growth.

Some of the available solutions are as follows. First, we need to improve the methods to measure the phased amount of pre-urban land. Second, we need to prepare integrated guidelines including all our growth management policies.

Third, we need to prepare a legal basis for set up an integrated public facilities plan. Fourth, we need to invent new criteria to designate growth management areas. Finally, we need to provide incentives for businesses that locate within these areas.

국토연 2015-05

비시가화지역 성장관리정책의 실효성 제고방안 연구

지 은 이 구형수 발 행 인 김동주 발 행 처 국토연구원 출판등록 제25100-1994-2 인 쇄 2015년 7월 1일 발 행 2015년 7월 1일

주 소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시민대로 254 전 화 031-380-0114

팩 스 031-380-0470 가 격 7,000원

ISBN 979-11-85948-76-8

한국학술진흥재단 연구분야 분류코드 B170300 홈페이지 http://www.krihs.re.kr

Ⓒ 2015, 국토연구원

이 연구보고서의 내용은 국토연구원의 자체 연구물로서 정부의 정책이나 견해와는 상관없습니다.

비시가화지역 성장관리정책의 실효성 제고방안 연구

연구의 개요

우리나라의 도시스프롤 실태와 원인 미국의 성장관리정책과 시사점

우리나라의 성장관리정책 현황과 개선방향 비시가화지역 성장관리정책의 실효성 제고방안 결론과 정책제언

제1장 제2장 제3장 제4장 제5장 제6장

값 7,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