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전성기(1980년대 중반~80년대 후반)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7-41)

지역 극단명 작품 내용 기타 부산 자갈치 복지에서 성지로 형제복지원 사건 86년 3월 창단

청주 우리춤 연구회

행복은 성적순이

아니잖아요 교육관련 무용극 84년 창단

서울 현장 횃불 노동극 88년 1월 창단

서울 한두레 한춤 통일 큰 춤 74년 창단

서울 한강 대결 분단문제 88년 2월 창단

대구 탈 이땅은 니캉 내캉 거창 양민 학살사건 83년 12월 창단

대구 처용 터울 봉산탈춤 미얄과장을

변용한 민초이야기 80년 4월 창단

마산 베꾸마당 말뫼뻘 사람들 공해 문제 86년 7월 창단

광주 토박이 금희의 5월 광주 80년 5월 83년 12월 창단

서울 새뚝이 양아치 넝마주이를 통해 본

우리 사회 86년 2월 창단 진주 큰들 우리 땅에 우리가

간다 노동 문제 84년 창단

제주도 한라산 향파두리 놀이 삼별초의 대몽항쟁속

의 민중 87년 8월 창단 대전 얼카뎅이 흰고개 검은고개

목마른 고개넘어 서산간척지 토지문제 85년 3월 창단 서울 미얄 꽃다운 이내 청춘 기생관광과 매춘 등

여성 문제 88년 1월 창단 광주 신명 일어서는 사람들 광주 80년 5월 82년 7월 창단

서울 아리랑 갑오세 가보세 동학농민운동 86년 6월 창단

지역 극단명 작품 내용 기타

서울 현장 노동의 새벽 노동 문제

(해고노동자)

서울 한두레 아버지의 행군 노동 문제 (노동탄압) 서울 민요연구회 모두들 여기

모였구나 민요 판굿 84년 6월 창단

서울 한강 밝은 햇살 노동문제

<표-2> 제2회 민족극 한마당 참가 작품 (1989. 3. 6. ~ 5. 10. 예술극장 한마당, 연우 소극장)

서울 춤패 디딤 반전반핵 춤판 반전반핵 춤극 88년 창단 대구 탈 미국, 미국, 미국 부산미문화원방화사건

과 미군기지

광주 신명 황토바람 농민문제

부산 자갈치 주먹밥 주먹손 노동문제(민주노조 투 쟁과정)

제주 한라산 한라산 4.3민중항쟁

대전 얼카뎅이 바람 서산 정죽리

토지반환 싸움

청주 열림터 청남대공화국 대청댐 수몰민 이야기 춘천 삭주벌 이땅이 뉘땅인데 수입개방 압력과 팀스

피리트 훈련

안양 큰힘 마침내 가리라 노 동문제( 외국자 본의

특혜문제) 89년 2월 창단

서울 연우무대 4월9일 인혁당사건

서울 아리랑 불감증 분단 모순

대구 떼풀이 먹이사슬 한반도 핵문제

광주 토박이 부미방 부산 미문화원

방화사건

지역 극단명 작품 내용 기타

서울 한강 골리앗,

그보다 더 높이

울산현대중공업 골리

앗크레인 투쟁 무대극

서울 아리랑 점아 점아 콩점아 망자혼례굿(통일) 대구 탈 골프 공화국 선산군 골프장건립과

관련한 공해문제 부산 새벽 언론풀이‘나랏님

말미’ 언론 문제

청주 민족 춤패 황소울음 농민 문제

<표-3> 제3회 민족극 한마당 참가 작품(1990. 10. 18. ~ 11. 11. 대구 예술마당 솔)

서울 현장 진짜 노동자 노동 문제

부산 자갈치 뒷기미 병신굿 경남양산 산업폐기물 매립장 설치반대투쟁 제주 한라산 백조일손 제주 4· 3항쟁

대전 우금치 호미풀이 농민 문제

대구 ‘처용’

‘한사랑’ 벽 국가보안법의 허구성 무대극,

2개 극단 공동작 1988년부터 1990년까지 3회에 걸친 ‘민족극 한마당’의 경향을 살펴보면 제1회 의 경우, 분단과 관련된 민족 문제는 〈한춤〉 〈대결〉〈이 땅은 니캉 내캉〉등 3편, 역 사문제는〈금희의 5월〉〈향파두리 놀이〉〈일어서는 사람들〉〈갑오세 가보세〉 등 4편으로 5·18 광주 문제와 삼별초의 대몽항쟁, 동학농민운동 등을 소재로 하고 있다.

극단이 소재하고 있는 지역의 역사적 사건을 다루고 있어 이들 극단의 활동 기반이 지 역에 근거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노동극은 〈횃불〉〈우리 땅에 우리가 간 다〉등 2편이고. 농민극 〈흰고개 검은고개 목마른 고개넘어〉외에 여성, 인권, 교육, 전통 등의 소재 등을 다루고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이 되는 극단의 작품들도 〈일어서 는 사람들〉(놀이패 「신명」)〈흰고개 검은고개 목마른 고개 넘어〉(놀이패「얼카뎅 이」),〈이 땅은 니캉 내캉〉(놀이패 「탈」)으로 지역의 사회적 문제나 역사를 다루 고 있다.

제2회 민족극 한마당은 17편의 작품 중 〈노동의 새벽〉〈 아버지의 행군〉〈모두들 여기모였구나〉〈밝은 햇살〉〈주먹밥 주먹손 마침내 가리라〉 등 6편이 노동문제를 다루고 있어 가히 노동연극의 정점이 되는 시기이다.「신명」과「얼카뎅이」는 농민문 제를 가지고 참가하였다. 두 극단이 농민문제를 다루고 있는 것은 당시까지만 해도 광 주와 대전의 경제적 토대가 주변 농촌이었기 때문으로 본다. 제3회 민족극 한마당은 참가 극단이 줄어들었지만 작품은 농민 문제, 역사문제, 지역 사건, 환경 문제, 통일 문제, 정치 문제, 언론 문제 등으로 다양화 되는 전조(前兆)를 보인다.

대전의「얼카뎅이」는 제1, 2회 민족극 한마당에 토지와 관련된 농민문제를 가지고 참여하였으나, 3회 민족극 한마당에는「우금치」로 극단을 재창단하여 참여 한다. 이 는 80년대 후반 노동극이 주류를 형성하면서 내부적으로 노동문제를 다루자는 측과 농 민문제를 계속 다루어야 한다는 측의 갈등으로 재창단하여 농민문제를 지속적으로 공 연한 경우이다. 민족극 한마당 3년간의 작품은 1980년대 후반기 마당극 전성기의 대표 적인 작품들이다. 제1회 민족극한마당의 경우 필자가 참여한 <일어서는 사람들>처럼

민족극 한마당 참가 후 정기공연과 순회공연을 기획하거나 이전에 이미 극장 공연이나 현장 공연 등을 하였고, 일부 극단은 참가를 목적으로 작품을 제작한 경우도 있었다.

그러나‘제2회 민족극 한마당’의 경우 대부분의 작품이 참가 이전에 현장공연, 또는 극장공연을 마친 작품들이 주류를 이루었다. 참가작이‘노동문제’가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것도 특징이다.‘제3회 민족극 한마당’에서는 사회적 문제에 관심을 가지는 것 은 모든 극단들이 일치하지만 작품의 소재는 다양화된 경향으로 나타났다.

당시‘민족극 한마당’은 여러 의미를 지니고 있다. 먼저, 민간차원에서 이루어진 전국적 규모의 행사로서 70년대 이래 마당극의 역량을 결집하여 스스로를 평가할 수 있는 기회를 가졌다는 점. 둘째,「전국민족극운동협의회」라는 전국적인 연극 예술단 체를 조직하는 기회가 되었다는 점. 셋째, 민족극의 동숭동 공간의 공연 진출과 예술 극장「한마당」(대표 유인택. 서울 신촌) 을 개관하여 지역 극단이 서울에서 마당극을 공연할 수 있는 공연 공간이 마련된 점이다.

전국 규모의 연극제는 마당극의 전국적인 고른 성장을 의미하며, 전국에 흩어져 있 어서 교류가 쉽지 않았던 연극운동의 작품적 성과를 모아 현 단계의 수준을 평가하고 문제점을 정리해 앞으로 민족극운동의 나아갈 바를 전망해 보는 것이‘민족극 한마 당’의 중요한 목적53)이었던 것이다. 또한 이 시기는 공연윤리위원회의 공연대본 사 전심사가 완화되었고, 민주화에 대한 욕구도 폭발하여 극장에도 많은 관객들이 들었 고, 사회운동의 확장으로 노동조합, 농촌현장, 대학 등 각종 집회와 행사에서 활발한 공연들이 이루어졌다. 가히 마당극이 이 시대의 연극적 경향을 대표하는 보통명사가 될 정도로 일반화되고 상투화된 시기54)이다. 70년대에 자생적으로 발생하여 대중운동 을 발전의 동력으로 삼아왔던 그간의 마당극은 이 시기가 현실참여를 통한 사회운동성 의 정점이었고, 자생적인 발전과정을 밟아왔던 마당극 양식이 정립되는 시기가 된다.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7-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