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재량적 발생액 추정

재량적 발생액은 경영자의 추정과 회계방법의 선택에 따라 그 금 액이 달라진다. 그러나 재량적 발생액과 비재량적 발생액은 재무제 표에 공시되지 않으므로 추정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재량적 23)회계투명성에 대한 정의와 의미를 제시한 연구는 이근수(2001), Bhattacharya et al.(2002), Vishwanath and Kaufmann(2001) 등이 있으며,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박 종성・이은철(2003), 황인태(2007)는 외환위기 이후 회계제도 개혁 등으로 회계투 명성이 개선되었는지를 실증분석하기 위하여 재량적 발생액을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회계제도 개선이후의 기간에서 재량적 발생액이 유의적으로 낮음을 보여 회계제도 개선으로 인해 이익조정의 성향이 감소하였음을 보여주었다. 24)이익조정 또는 이익관리(earnings management)는 이익조작(earnings manipulation)

또는 회계분식이란 용어와 구분되지 않고 사용되어 왔으나, 조작의 의미는 일반적 으로 인정된 회계원칙을 위반하면서 회계이익을 조작하는 것으로 구분되어 사용 되기도 한다. 따라서 이익조정란 일반적으로 인정된 회계원칙의 범위 내에서 경영 자가 원하는 수준에서 회계이익을 관리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익유연화가 , 경영자보상가설, 경영권지배구조가설, 정치적비용가설, 법인세유연화가설, 영정책관련가설 등과 관련지어 세분화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이를 구 분하지 않고 모두 통칭하여 이익조정이라 한다.

발생은 객관적으로 측정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측정오차의 문제 를 피할 수 없으며, 이를 위해 여러 가지 모형이 제시되어 왔다.25) 본 연구에서는 수정-Jones모형(Dechow et al. 1995)을 이용하여 재 량적 발생액(이후 DACM)을 연도별・산업별로 추정한다. Dechow et al.(1995)은 이 모형이 이익조정에 대한 검증력이 가장 우수하다고 주장하였으며, 구체적으로 Dechow 등(1995)은 Jones모형에서 매출 액이 이익조정의 수단으로 사용되지 않는다는 가정을 완화하여 재 량적 발생액의 계산 시 매출액의 변화에서 신용매출 변화분을 차감 하여 재량적 발생액을 추정하였다.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으며 재량적 발생액은 식 (1)의 회귀모형으로 설명되지 않는 부분인 잔차 항을 의미한다.

25)기존의 연구들에서는 비재량적 발생액(NDACC)이 매기간 일정하다는 가정에 기 초하여 이익조정이 없으리라고 여겨지는 일정기간 동안의 총발생액(T ACC)의 평 균값을 NDACC의 추정치로 이용하거나(Healy 1985), 직전연도의 발생액을 이번 연도의 NDACC의 추정치로 사용한 바 있다( DeAngelo 1986). 또한 Dechow Sloan(1991)은 동일 산업에 속한 타 기업들의 발생액 중위수를 NDACC의 추정치 로 계산하기도 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들은 기업의 경영활동이나 경제적 환경이 변화될 때 부정확한 추정이 될 수 있다는 문제점과 개별기업의 특성이 반영될 수 없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Jones(1991)는 개별기업의 영업활동과 경 제적 여건변화를 반영하기 위하여 본문의 식(1)에서 매출채권을 고려하지 않은 모형으로 재량적 발생액을 추정하고자 하였으며, 이후 Dechow (1995)Jones 모형에서 매출액이 이익조정의 수단으로 사용되지 않는다는 가정을 완화하여 재 량적 발생액(DACC)의 계산 시 매출액의 변화에서 신용매출변화분을 차감하여 재량적 발생액을 추정하도록 식을 수정하였다.[󰡔자본시장에서의 회계정보 유용 󰡕 (2003)] 이후 Kothari et al.(2005)은 성과대응 재량발생액을 분석에 이용함으 로써 추론에 의한 오류문제를 극복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으나, 이상의 이익조정 연구에서 정확히 어떠한 모형이 가장 우수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지는 쉽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 여러 국내와 국외의 여러 이익조정연구에서 가장 많이 보편적으로 사용된 수정 Jones모형을 이용하여 IFRS 적용 전후의 기업의 재 량적 발생액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160 국제회계기준 도입의 영향과 기업의 대응방안

수정 Jones모형:

 

 

 

 

 

   





(1)

TACCi, t : i기업의 t기 총발생액

△ : i기업의 t기 매출액의 증감

△ARi,t: i기업의 t기 매출채권의 증감

PPEi, t: i기업의 t기 상각대상 유형자산(토지와 건설중 인 자산은 제외)

Ai, t -1: i기업의 t-1기 자산총계

본 연구는 동일연도에 대하여 자국회계기준 적용 재무제표와 국 제회계기준(IFRS)으로 전환된 재무제표 간의 재량적 발생액의 차이를 직접적으로 검증하기 위한 것이므로 재량적 발생액 추정 시에도 이 를 구분하여 추정하였다. 즉 재량적 발생액은 영국과 호주기업의 동 일연도 재무제표에 대하여 각각의 적용 회계기준별(자 국 GAAP 또는

IFRS)로 구분한 후 업종별로 추정하였다. 이는 본 연구가 국제회계기

준 도입에 따른 재량적 발생액 변화를 분석하는 것이므로 재량적 발 생액 추정 시부터 회계기준이 재량적 발생액의 추정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통제하기 위한 것이다. 산업구분은 2007년도 표준산업분류 (SIC) 기준을 적용하였으며, <표 6-1>는 수정 Jones모형 추정 시 사용 된 영국과 호주 표본기업의 산업별 현황을 나타낸다.26)

26)재량적 발생액 추정을 위한 필요 재무자료 중 기초 또는 당기의 매출채권 계정 과목이 존재하지 않아 최종 회귀분석을 위한 표본에서 제외된 기업들이 발생하 였다. 그 결과 영국은 4개 기업, 호주는 92개 기업들이 제외되었다. 특히 호주의 경우 재량적 발생액 산출과정에서 많은 기업들이 재량적 발생액이 추정되지 못

❙표 6-1. 표본기업의 산업분포 국 가 US SIC co des(업종)

영국 호주

UK-GAAP IFRS A-GAAP A-IFRS

10-17 광업, 건설업 등 23 23 52 52

20-29 제조업(음식료, 의류, 제지 등) 23 23 53 53

30-39 제조업(전자, 기계, 화학 등) 48 48 62 62

41-49 운송업 등 13 13 47 47

50-59 도소매업 11 11 16 16

70-79 서비스업 35 35 75 75

80-89 공공서비스 13 13 35 35

최종선정 표본 166 166 340 340

332 6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