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벤처농기업의 실태

3. 벤처농기업의 운영실태와 문제점

3.1. 벤처농기업 운영실태

3.1.1. 일반현황

설문조사에 응답한 42개 업체의 설립 연도, 창업자본금, 소재지, 업체형태, 주 업종 등 일반적인 특성은 <표 3-8>과 같다.

즉, 응답업체의 69.2%가 외환위기를 거치면서 벤처창업 열기가 확산되는 시기인 1998년 이후에 창업되었다. 창업자금의 규모별로는 이들 업체의 41.2%가 1억 원 미만의 자본금으로 창업하였으며, 5억 원 이상의 창업자본금을 가진 업체는 10.5%에 불과하였다.21

또한 조사업체의 50%가 읍․면 지역에 위치하고 있어 69%가 수도 권에 집중하고 있는 중소기업청의 벤처인증업체와 큰 대조를 보이고 있다. 사업형태별로는 56.4%가 주식회사 형태로 설립되었고, 농업법 인체가 10.2%를 차지하고 있다.

21 중소기업청(2001년)에서 실시한 조사결과에서는 1억 원 미만의 창업자 본금을 가진 벤처인증업체는 11.5%에 지나지 않으나 60.2%는 5억 원 이상의 창업자본금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업종별로는 농산물가공 및 유통업이 52.4%, 농업생산과 농업

있는데 농업생산 부문의 경우 벤처기업으로 인증 받기 어렵기 때문 인 것으로 이해된다.

가. 창업유형

벤처농기업이 창업 후 성장․발전단계에 접어든 시기를 보면, 창 업 후 3년이 지난 업체의 92.9%, 창업 후 3년 이내 업체의 76%, 창업 후 2년 이내 업체의 73.7%, 창업 후 1년 이내 업체의 33.3%가 성장․

발전단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나 대부분 벤처농기업의 본격적인 매출 과 순이익이 발생하는 시점이 창업 후 3년 전․후임을 알 수 있다.

벤처농기업의 창업자본금 현황을 보면, 농업투입재산업분야 업체 의 55.6%가 1억 원 미만의 창업자본금을 보유한 반면, 가공 및 유통 산업분야 업체의 68.2%가 1억 원 이상의 창업자본금을 보유한 것으 로나 나타나 두 업종간의 창업자본금 규모가 차이를 보이고 있다.

그림 3-2. 벤처농기업의 성장․발전단계 진입시기

창업시기

창업단계 성장․발전단계

1년이내 2년이내 3년이내 3년이후

(33.3%)

(73.7%) (76.0%)

(92.9%) (7.1%)

(24.0%)

(26.3%)

(66.7%)

한편, 대도시에 위치하고 있는 업체의 54.5%가 1억 원 미만의 창

농업생산 2(28.6) 2(28.6) 2(28.6) 1(14.2) 0(0.0) 7(100.0) 농업투입재

산업 1(11.1) 4(44.5) 2(22.2) 1(11.1) 1(11.1) 9(100.0) 가공 및 유

통산업 2(9.1) 5(22.7) 10(45.5) 1(4.5) 4(18.2) 22(100.0) 농업관련

서비스 0(0.0) 0(0.0) 0(0.0) 1(100.0) 0(0.0) 1(100.0) 소

재지 별

대도시

(광역시) 2(18.2) 4(36.3) 3(27.3) 2(18.2) 0(0.0) 11(100.0) 중․소도시 0(0.0) 4(40.0) 3(30.0) 1(10.0) 2(20.0) 10(100.0) 읍․면 3(16.7) 3(16.7) 8(44.4) 1(5.5) 3(16.7) 18(100.0) 합 계 5(12.8) 11(28.2) 14(35.9) 4(10.3) 5(12.8) 39(100.0)

농업생산 4(57.1) 1(14.3) 2(28.6) 0(0.0) 7(100.0) 농업투입재 산업 1(11.1) 8(88.9) 0(0.0) 0(0.0) 9(100.0) 가공 및 유통산업 7(31.8) 12(54.6) 2(9.1) 1(4.5) 22(100.0) 농업관련 서비스 0(0.0) 1(100.0) 0(0.0) 0(0.0) 1(100.0) 합 계 12(30.8) 22(56.4) 4(10.3) 1(2.5) 39(100.0)

표 3-11. 벤처농기업의 업종별 연구개발투자 현황

단위: 명, 백만원, 건수 구 분 농업생산 농업투입재

산업

가공 및 유통산업

농업관련 서비스

연구개발인력(평균) 2.6 3.7 2.5 4.0

연구개발투자비용(평균) 83.3 486.1 183.5 304

지적재산권 보유(평균)

특허권 1.3 3.0 1.7 3.0

실용신안 0.7 0.3 0.3 0.0

의장권 0.4 0.7 0.7 0.0

기 타 0.3 3.1 0.4 0.0

표 3-12. 벤처농기업의 매출액 규모별 연구개발투자 현황

단위: 명, 백만원, 건수 구 분 2억원 미만 2억원 ~

5억원 미만

5억원 ~

10억원 미만10억원 이상

연구개발인력(평균) 2.0 2.3 2.0 4.0

연구개발투자비용(평균) 217.3 216.8 73.8 378.2

지적재산권 보유(평균)

특허권 1.3 2.9 1.0 2.3

실용신안 0.3 0.2 0.7 0.5

의장권 0.4 0.1 0.0 1.5

기 타 0.1 0.3 0.7 2.0

농업생산분야의 경우 대부분 개인사업체로 창업(57.1%)하였으며, 농업투입재산업분야나 농산물가공 및 유통산업분야의 경우 각각 88.9%와 54.6%가 주식회사 형태로 창업하였다.

나. 연구개발투자 현황

벤처농기업의 업종별 연구개발투자를 보면, 농업투입재분야가 가 장 많은 투자를 하고 있으며, 농업생산분야의 업체가 가장 적은 투 자를 하고 있다.

농업투입재산업의 경우 평균 3.7명의 연구개발인력과 4억8천여 만 원의 연구개발비를 투자하여 3건의 특허권을 보유하고 있으며, 농업 생산분야의 경우 평균 2.6명의 연구개발 인력과 8천여 만원의 연구 개발비를 투자하여 1건 이상의 특허권을 취득하였다.

또한 10억 원 이상의 매출을 달성하는 기업의 경우 가장 많은 연 구개발 인력을 보유(4명)하고, 가장 많은 연구개발비를 투자(3억 8천 여 만원)하여, 특허권․의장권․기타 지적재산권을 각각 2건 정도 보 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 경영성과

벤처농기업의 매출액과 당기순이익 등 경영성과를 연구개발투자 비용별, 업종별, 설립연도별, 벤처기업인증여부별로 살펴보았다.

지금까지 5천만 원 이상의 연구개발비를 투자한 업체의 평균 매출 액(2002년 전망)과 당기순이익은 각각 3,599백만 원과 391백만 원으로 나타나 연구개발투자비가 높을수록 매출액과 순이익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업종별로 벤처농기업의 경영성과를 보면, 농업투입재산업의 매출액과 당기순이익이 각각 2,971백만 원과 370백만 원으로 가장 높 게 나타났으며, 가공 및 유통산업의 경우 각각 728백만 원과 79백만 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단, 농업관련서비스업의 경우 1개 업체

표 3-13. 연구개발투자비용별 경영성과

단위: 백만원 구 분 1천만원 미만 1천만원 ~

2천만원 미만

2천만원 ~

5천만원 미만5천만원 이상 매출액(2002년 전망액) 963.9 962.5 524.8 3,598.8 당기순이익

(2002년 전망액) 102.1 156.5 43.7 391.3

표 3-14. 업종별 경영성과

단위: 백만원 구 분 농업생산 농업투입재

산업

가공 및 유통산업

농업관련 서비스 매출액(2002년 전망액) 1,755.7 2,971.1 728.2 30.0 당기순이익

(2002년 전망액) 211.9 370.1 78.6 -149.0

표 3-15. 설립연도별 및 벤처기업 인증여부별 경영성과

단위: 백만원 구 분 설 립 연 도 벤처기업 인증여부 1990 이전 1990~1997 1998~2001 인증받음 받지못함 매출액

(2002년 전망액) 7,966.7 1,430.7 730.1 2,069.7 877.2 당기순이익

(2002년 전망액) 1,000.0 201.0 66.9 251.8 91.1

만이 조사되어 논의대상에서 제외시켰다.

1990년도 이전에 설립된 벤처농기업의 경우 모든 업체가 성장 및 발전단계에 접어들었기 때문에 가장 높은 매출액과 당기순이익을 보 이고 있으며, 최근에 설립된 벤처농기업의 경우 아직 성장단계에 이 르지 못한 업체가 많기 때문에 경영성과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벤처기업으로 인증을 받은 기업과 그렇지 못한 일반기업 간 의 매출액과 당기순이익은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는 아마도 조 세 및 금융지원 등 혜택의 차이 때문인 것으로 이해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