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농업관련산업분야의 벤처기업 현황

벤처농기업의 실태

2. 농업관련산업분야의 벤처기업 현황

중소기업청에서 발표한 ‘벤처기업현황(2002년 6월말 기준)’에 의하 면, 벤처기업으로 인증 받은 10,182개 업체 중 제조업 분야와 정보처 리 및 S/W 분야는 각각 63.0%와 29.7%를 차지하는 반면, 농림어업 및 광업 분야의 벤처기업은 불과 0.2%(27개 업체)에 지나지 않는 것 으로 나타났다(<표 3-1> 참조).

15 벤처기업에 관한 자료는 중소기업청에서 조사, 발표하고 있는데 여기에 는 자본금이나 매출액 등 경영실태를 파악할 수 있는 자료가 없다. 극 복하기 위해 개념적으로 벤처농기업이라고 판단되는 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나 응답률이 저조하여 분석에 한계가 있었다.

표 3-1.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중소기업청)

다. 그러나 농업분야의 벤처인증업체에 대한 기초자료가 미흡하여

이 결과를 2000년의 선행연구(정기환 2000)와 비교해 보면 농업관 련산업분야의 벤처기업체 수는 150개에서 304개로 2년 동안 2배로 증가하였다. 그러나 전체 벤처기업의 양적 팽창으로 농업관련산업체 의 비중은 각각 3.0%, 3.1%로 거의 비슷하게 나타났다.

분야별로는 식품가공분야(39.8%), 환경분야(16.8%), 생명공학분야 (16.4%)의 벤처기업수가 상대적으로 크게 증가하였는데 이는 식생활 에 대한 소비패턴이 다양화, 고급화되고 안전한 먹거리에 대한 소비 자의 선호도가 높아져 이들 분야의 시장 규모가 확대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이해된다. 특히, 식품가공분야가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생 산농가나 작목반 등 생산자단체들이 직접 생산한 농산물을 이용한 새로운 아이디어나 기술개발 결과가 다른 분야에 비해 비교적 쉽게 사업화될 수 있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2.2. 농업관련산업분야의 벤처기업 창업시기

우리나라의 벤처기업은 1980년대 후반 기술집약형 중소기업으로 등장하였다. 그러나 1990년대 중반 이후 코스닥시장이 개설되고, ‘벤 처기업육성에 관한 특별조치법(1997.8.27)’이 제정되면서 벤처기업들 이 성장하기 시작하였다. 1997년 말 외환위기 이후 새로운 기업환경, 코스닥시장의 활성화에 따른 자금조달의 원활화, 벤처기업 및 벤처 캐피탈의 성공사례, 그리고 정부의 벤처기업육성정책에 힘입어 벤처 기업의 본격적인 발전이 시작되었다.18

이러한 사실은 <표 3-3>을 통해서도 파악될 수 있다. 즉 중소기업청 의 조사결과에 따르면(2001.8) 전체 벤처기업체의 14.0%가 1990년 이 전에 창업되었으며, 53.5%가 1998년 이후에 창업된 것으로 나타났다.

18 이동필, 전통농업의 지식산업화를 위한 발전방향과 정책과제, 경북 벤처 농업특강자료집, 2002. 4. 8.

표 3-3. 농업관련산업분야 벤처기업의 창업시기

신기술개발기업, 기술평가기업’으로 구분한 결과,19 농업관련산업분

또한 특허나 실용신안권 등에 의한 제품의 매출액 비중(50% 이상) 이나 수출액의 비중(25% 이상)에 의해 벤처기업으로 확인되는 ‘신기 술개발기업’의 경우 농업관련산업 벤처기업(34.9%)이 타 산업분야 벤 처기업(22.5%)보다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을 통해 농 업관련산업분야(특히 농기계․농자재, 환경, 임산가공, 식품가공분야) 가 타 산업분야에 비해 특허 등 신기술개발을 통한 사업화 가능영역 이 넓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그러나 농업관련산업분야의 벤처기업이 ‘연구개발투자기업’이나

‘벤처캐피탈투자기업’으로 확인된 것은 각각 3.9%와 10.5%로 타 산 업분야의 12.7% 및 12.8%에 비해 낮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는 결국 농업관련산업분야에 대한 연구개발투자가 부진하며, 특히 농업 관련산업분야가 벤처캐피탈 투자로부터 상대적으로 소외되고 있음 을 알 수 있다.

2.4. 농업관련산업 벤처기업의 지역분포

농업관련산업분야의 벤처기업은 대도시나 중소도시 보다 농촌지 역(읍․면 지역)에 많이 분포(39.5%)되어 있다. 특히 식품가공분야나 농기계․농자재분야, 임산가공 분야의 경우 각각 47.9%, 47.1%, 83.3%

의 업체가 농촌지역에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농업 관련산업분야의 벤처기업을 활성화함으로써 농촌경제의 활성화는 물론 지역 간 불평등 해소 등에 긍정적인 역할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타 산업분야 벤처기업의 경우 73.6%가 수도권(서울, 경기, 인 천)지역에 분포되어 있는 반면, 농업관련산업분야의 벤처기업은 오 히려 58.2%가 비수도권 지역에 분포되어 있다. 이로 인해 농업관련 산업 벤처기업체는 타 산업분야의 벤처기업체에 비해 상대적으로 투 자유치를 통한 자금조달이나 전문인력확보 등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 로 이해된다.

표 3-5. 농업관련산업분야의 벤처기업 지역별 분포

표 3-6. 농업관련산업 및 타 산업분야의 벤처기업 특성 비교 구 분 농업관련산업 벤처기업 타 산업분야의 벤처기업

창업시기

∙75%가 1998년 이후 창업 - 이 중 식품가공, 생명공학, 환경

분야의 업체가 74.5%를 차지

∙53.5%가 1998년 이후 창업

벤처기업 확인유형

∙대부분 신기술개발․기술평가 기업 - 연구개발․벤처캐피탈투자 기업

14.4%에 불과

∙연구개발․벤처캐피탈 투자기업 25.5%

업체의

지역 분포 ∙비수도권 및 농촌지역에 분포 ∙수도권지역에 집중

즉 최근에 이르러 농업관련산업분야 특히 식품가공, 생명공학, 환 경분야의 사업화 성공가능영역이 크게 확대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중소기업청에 등록된 농업관련산업 벤처기업의 85% 이상이

‘기술평가기업’이거나, ‘신기술개발기업’이다. 즉, 농업관련산업분야 의 벤처기업은 연구개발투자(3.9%)나 벤처캐피탈투자(10.5%)에 의한 벤처기업확인이 상대적으로 적어 이 분야에 투자가 제대로 이루어지 지 않고 있다는 사실을 짐작 할 수 있다.

셋째, 타 산업분야의 벤처기업은 대부분 수도권에 위치해 있는 반 면, 농업관련산업분야 벤처기업의 60% 정도가 비 수도권에 위치해 있으며, 40% 정도는 읍․면 단위 농촌지역에 분포되어 있다.

농업관련산업 분야의 경우 사업화 영역이 점차 확대되고 있으며, 대부분의 업체들이 농촌지역에 위치해 있어 농촌경제에 긍정적인 효 과를 기대할 수 있을 만큼 그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한 연구개발이나 벤처캐피탈 투자 등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소외 되고 있는 실정이다. 농업관련산업 분야의 벤처기업들이 타 산업분 야의 벤처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외되지 않고 기업활동을 할 수 있도록 중소기업청의 ‘벤처기업육성정책’을 보완하는 한편 농림부

역시 전체적인 벤처기업육성정책의 틀 속에서 농업부문의 특성을 살 린 농정차원의 벤처농기업육성사업을 보다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