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20세기로 들어서면서 과학 기술은 급격한 진보를 보였으며 이러 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과학·수학교육의 개혁의 필요성이 요구 되었다. 그리하여 1950∼1960년대의 ‘수학교육 현대화 운동’을 거쳐 1970년대 ‘기본으로 돌아가기 운동’, 1980년대 이후에는 문제해결을 중심으로 다양한 이론과 모델들이 발전해 나가면서 보다 다원화되 고 복잡한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

수학교육의 발달 과정을 살펴보는 것은, 수학교육의 변화와 그 요 인, 그것에 대한 반성 등을 토대로 현재와 미래의 수학교육이 지향 해야 할 바를 탐색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1. 수학교육 현대화 운동

20세기로 들어서면서 수학은 양적·질적으로 엄청난 발달을 이루 었고, 과학기술의 발달, 대형 컴퓨터의 개발과 발달로 응용범위가 확대되었다. 그에 반해 학교에서 지도되는 수학내용은 시대를 따르 지 못한 것이었다. 이에 따라 학교수학에서는 수학교육의 변화가 요 구되었다. 1950년대 초부터 세계적으로 수학교육의 광범위하고 획기 적인 개혁운동이 전개되었는데, 이 운동을 ‘수학교육 현대화 운동’이 라고 한다.

이 운동은 1957년 10월 소련의 인공위성 스프트니크 1호의 발사 성공에 자극 받은 미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활발하게 진행되었으며 세계적인 수학교육 개혁 운동으로 파급되었다.

수학교육 현대화 운동의 흐름은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로 정리될 수 있다.

① 현대수학의 내용과 방법을 조기에 도입한다.

② 대수적 구조를 강조한다.

③ 논리적 엄밀성을 강조한다.

④ 현대수학에의 접근을 위하여 전통적인 교재를 정비한다.

⑤ 수학교육, 교육학, 심리학 연구 성과를 토대로 새로운 지도법 을 도입한다.

이러한 방향 하에 많은 나라에서는 교과 과정 개정 운동이 일어 났으며 이는 우리나라에도 도입되어 제2차, 제3차 교육과정에 커다 란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수학교육 현대화 운동은 출발 당시부터 충분한 교육학적 연구가 결여된 상태에서 시대적 조류에 편승하여 진전된 느낌이 있 었다. 그리고 급진적인 개혁, 학생들의 발달 단계와 부합하지 못한 조급한 추상화와 형식화, 철저하지 못한 교사 재교육 등으로 많은 부작용을 초래하여 좌절을 겪게 되었다.2)

2. 기본으로 돌아가기 운동

수학교육 현대화 운동에 의해 학교 수학에 새로 도입된 수학적 개념들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가 저조하고 기본적인 계산 능력마저 저하되자 수학교육 현대화 운동의 반성으로 ‘기본으로 돌아가기 운 동’이 촉발되었다.

이 운동에서는 기본기능을 찾아 교재로 재구성하였으며 행동적 목표와 지필 계산을 강조하였다. 또한 소비자 수학을 중요시하였으 며 진급을 위한 최소 학력 기준을 설정하였다. 이는 우리나라 제4차 교육과정에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이 운동은 우수한 학생들의 학력이 저하되고 응용력과 문

2) 상게문, p. 65∼67.

제해결 능력이 감소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이에 기본 기능이 무엇 을 의미하는가에 대한 보다 근본적인 논쟁이 광범위하게 전개되었 다. 그 결과 기본 기능의 범위를 좁은 의미의 계산 기능에서 문제해 결을 비롯한 폭넓고 고차원적인 기능으로 확대해야 한다는 결론이 내려졌다.3)

3. 1980년대 이후

1980년 미국 수학교사 협회(NCTM)에서는 ‘1980년대의 학교 수학 을 위한 제안’을 제시하였다. 이 제안의 핵심은 학교수학은 문제해 결을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인데, 이것은 우리나라 제5차 교육과정의 핵심이 되었으며 현재까지도 광범위한 지지를 받고 있 다.

문제해결이 80년대의 수학교육의 흐름을 주도하고 있지만 사실은 많은 사람들이 수학적 사고방법, 문제해결의 전략, 발견술 등에 관 심을 갖은 지는 오래되었다. 급격한 계산기와 컴퓨터의 발달, 인공 두뇌의 출현으로 고도의 정보 산업 사회를 맞게 되자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해 낼 수 있는 능력과 태도를 육성하고자 하는 것은 세 계 각국의 공통된 흐름을 이루었다.

1980년대와 1990년대의 수학교육은 다양한 이론과 모델들이 발전 해 나가면서 보다 다원화되고 복잡한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 현재의 수학교육의 큰 흐름은 ‘문제해결’, ‘규준’, ‘구성주의’, ‘수학 학습 수준 이론’, ‘현실주의적 수학교육’, ‘수학교육에서 공학적 도구의 활용’,

‘평가 방법의 개선’ 등으로 정리할 수 있다.

1980년대 이후 미국에서는 수학교육과정과 평가에 관한 국가적인 표준을 설정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져 왔다. 이 노력의 결과 NCTM에

3) 상게문, p. 71.

서 1989년에 ‘학교 수학의 교육과정과 평가 규준’을 발행하였고, 2000년에는 ‘학교 수학의 원리와 규준’을 발행하였다.4)

소위 ‘Standard 2000’이라 불리는 2000년의 ‘학교 수학의 원리와 규준’은 유아-2학년, 3학년-5학년, 6학년-8학년, 9학년-12학년의 4개 학년급으로 세분화하였다. 그리고 모든 학년의 학생은 공통적으로 10가지 영역을 습득해야 한다.

4) 상게문, p. 72∼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