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교육과정을 가장 잘 반영하고 학교교육을 잘 나타내는 것은 교과 서라 할 수 있다. 교육 현장에서 교과서를 효율적으로 활용하는데 도움을 주고 다음 교육과정 개발과 교과서를 개발하는데 참고 자료 로써 도움을 주고자 교과서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1997년 12월 20일 고시된 제7차 수학과 교육과정의 중 점을 분석하였고, 그에 따른 중학교 수학교과서 7·8단계를 3종씩 선택하여 이들이 제7차 교육과정을 잘 따르고 있는지를 알아보고, 각 교과서들을 비교 분석하여 차이점을 알아보았다.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⑴ 제7차 수학과 교육과정개정의 중점을 분석한 내용이다.

① 제7차 교육과정은 학습자중심 교육과정으로 수준별 교육과 정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초1∼고1까지는 국민공통기본 교육과 정으로 단계형 수준별 교육과정을 따르고 있고 고2, 3학년은 선택중 심 교육과정으로 과목선택형 수준별 교육과정을 따르고 있다. 이 수 준별 교육과정을 구현하기 위해 각 단계의 영역마다 ‘심화 과정’을 제시하였다.

② 학습내용의 적정화로 교육내용을 ‘약화·삭제’하거나 상위 학 년으로 ‘이동’하였다.

③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국민공통기본 교육과정의 수학으로 통합하면서 1단계부터 10단계까지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는 6개의 공통 영역(‘수와 연산’, ‘문자와 식’, ‘규칙성과 함수’, ‘확률과 통계’,

‘도형’, ‘측정’)을 구분하였다.

④계산기와 컴퓨터의 활용을 권장하였다.

⑵ 중학교 7·8단계의 수학교과서들이 제7차 교육과정을 잘 따르 고 있는지 알아본 내용이다.

① 교과서마다 심화과정과 심화·보충문제를 제시하고 있다.

② 학습 내용의 적정화와 학습량 경감으로 제6차 교육과정에 있던 오진법과 근사값의 곱셈·나눗셈이 삭제되었고, 단원상으로는

‘도형의 관찰’이 삭제되고 실생활 활용으로 ‘측정’이 추가되었다.

③ 각 교과서마다 10단계 수학을 6개 영역으로 구분하였으나 교과서 D는 ‘도형’을 3개 단원으로 너무 세분화하였고, 교과서 F는

‘수와 연산’, ‘문자와 식’, ‘측정’을 1개 단원으로 묶어서 영역 구분이 조금 모호하였다.

④ 계산능력이 중요시되지 않는 문제해결에는 계산기와 컴퓨터 의 활용을 권장하고 있으나 보충자료로 읽을거리 제공하는 정도이 다. 이는 교사가 이에 적합한 수업내용을 연구하여 실제 수업에 활 용해야 할 것이다. 7단계에서는 교과서 B가 8단계에서는 교과서 D 가 이에 관한 내용을 비교적 많이 다루었다.

⑶ 각 교과서들을 비교 분석하여 이들의 차이점을 알아본 결과이 다.

① 각 교과서 지도내용의 전개과정에 대한 분석이다.

전반적으로 가장 큰 특징은 문제가 다양해졌고 보충·심화문제 가 구분되어졌다는 것이다. 그리고 읽을거리의 내용이 풍부해졌다.

그러나 교과서 E는 동기유발을 위한 읽을거리가 제공되지 않았고 교과서 A는 선수학습으로서의 준비학습이 제시되지 않는 등 단원의 도입부분이 미흡하다. 단원도입의 동기유발과 선수학습을 점검할 준 비학습을 준비해야 할 필요가 있다.

② 6개 교육과정영역의 면수 배당 비교에 대한 분석이다.

각 단계별로 가장 비중이 높은 내용은 7-가는 ‘수와 연산’, 7-나 는 ‘도형’, 8-가는 ‘문자와 식’, 8-나는 ‘도형’이다.

교과서 비율은 대체로 비슷하나 8단계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다.

교과서 F의 ‘측정’은 다른 교과서들보다 절반 가량 면수가 적게 배

당되었다. 이는 교과서 F가 ‘수와 연산’, ‘측정’, ‘문자와 식’ 중 일부 분을 한 단원으로 한꺼번에 묶어서 상대적으로 ‘측정’의 비중이 작 아졌기 때문이다. 교과서 F는 ‘도형’에 비중을 두었으나 교과서 D와 교과서 E는 다른 교과서들 보다 ‘확률과 통계’를 더 많이 다루었다.

③ 각 교과서의 단원구성을 통한 지도내용의 비교에 대한 분석 이다.

교육과정내용 중 ‘규칙성과 함수’, ‘도형’, ‘확률과 통계’는 각 교 과서마다 거의 동일한 구성을 이루었으나 ‘수와 연산’, ‘문자와 식’은 각 교과서마다 단원의 구성이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 ‘측정’은 8단계 인 교과서 F에서 다른 단원들과 묶어서 제시되었다.

④ 각 교과서의 문제의 수 비교에 대한 분석이다.

단원도입부분에 선수학습으로 준비학습이 제시되었고 이해를 돕기 위한 탐구활동과 보기, 예제·문제의 실제 문제, 보충·심화문 제, 단원정리를 위한 연습·단원문제 등 문제의 종류가 다양해졌다.

보충·심화문제는 이번 7차 교육과정에서 수준별 교육과정의 취지 에 맞추어 제시된 문제의 형태이다.

교과서 C와 교과서 F는 문제를 발전문제와 기본문제로 나누어 제시하기도 하여 한 교과서로 여러 수준의 학생들을 지도할 수 있 도록 구성하였다. 교과서 A는 문제의 수가 가장 많이 제시되었으나 준비학습이 제시되지 않아 단원 학습 전 내용을 점검하지 못하므로 이 교과서를 선택시 교사 스스로 준비학습에 대한 문제를 준비하여 야 한다.

⑤ 각 교과서의 읽을거리에 대한 분석이다.

각 교과서마다 읽을거리를 다양하게 제시하고 있다. 교과서 B는 계산기와 컴퓨터를 활용한 자료를 다른 교과서들보다 많이 제공하 였고, 중단원에 도입내용을 제시하여 동기유발을 더 촉진시켰다. 교 과서 F는 수학자와 다양한 읽을거리를 제공하고 있는 반면 컴퓨터

를 활용한 자료가 제시되지 않았다. 교과서 E는 도입내용을 제시하 지 않았다.

⑥ 교과서별·단원별 문제유형에 대한 분석이다.

교과서별·단원별 문제유형 분석 결과 대부분 정형문제이고 비정 형문제와 실생활문제는 저조하였다. 제7차 교육과정에서 문제해결능 력을 기르기 위해서는 다양한 사고를 요하는 비정형문제와 학생들 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실생활문제가 많아야겠다.

전반적으로 각 교과서는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서’에서 제시된 사 항을 전반적으로 잘 따르고 있으나, 동기유발을 위한 도입내용 제시 와 준비학습제시가 미흡하고 계산기와 컴퓨터를 활용한 자료제시나 수업에서의 활용부분에 대한 내용이 소홀히 다루어진 점 등 일부 내용은 보완을 해야 할 것이다.

이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⑴ 제7차 교육과정을 따르는 교과서들은 보충·심화문제를 구분 하고 다양한 읽을거리를 제공하여 각 학생들의 능력에 맞게 지도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것이 실제 수업에 적용되었을 때 어느 정 도 학습능력이 향상되는지를 검증하는 연구가 있어야 할 것이다.

⑵ 제8차 교육과정개정과 교과서 집필시 계산기와 컴퓨터의 활용 에 관한 자료가 실제 수업에 실질적으로 응용할 수 있는 내용이 첨 가되어야 하고 문제해결력을 기르기 위해서는 정형문제 뿐 아니라 비정형문제나 실생활문제를 많이 다루어야겠다.

⑶ 교과서는 수업의 주가 아니라 보조자료로써 사용되어야 할 것 이다. 이를 위해서는 각 교사가 자신이 선택한 교과서를 수정·보완 하고 자신이 가르치는 학생들에게 적합한 교과자료를 연구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1. 강옥기 외 2인, 중학교 수학 7-가-교사용 지도서, (주)두산, 2000.

2. 강옥기 외 2인, 중학교 수학 7-나-교사용 지도서, (주)두산, 2000.

3. 교육부,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①총론, 2000.

4. 교육부,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⑤수학, 2000.

5. 교육부,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Ⅲ)-수학, 과학, 기술·가정, 1999.

6. 금종해 외 3인, 중학교 수학 7-가, (주)고려출판, 2000.

7. 금종해 외 3인, 중학교 수학 7-나, (주)고려출판, 2000.

8. 김선형, 한국 수학교육과정의 변천사 연구, 석사학위논문, 1984.

9. 김인숙, 현행중등 교과서의 비교 분석, 석사학위논문, 1997.

10. 김진, 진수학교육론, 서울:박문각, 2002.

11. 김홍숙, 고등학교 수학교육과정의 변천에 대한 연구, 석사학위 논문, 2000.

12. 나귀수, 지식기반사회와 수학교육의 개선방향-수학 교육과정과 교과서, 교육마당21 2월호, 2000.

13. 남궁새롬, 수학교육 현대화가 우리나라 수학교육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중학교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1996.

14. 류옥춘, 중학교 수학교육과정변천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1992.

15. 류희찬, 우리나라 수학교육의 문제점과 개선책, 교육개발 69(’90.12), pp6-13, 1990.

16. 박두일 외 4인, 중학교 수학 8-가, (주)교학사, 2001.

17. 박두일 외 4인, 중학교 수학 8-나, (주)교학사, 2001.

18. 박한식, 수학교육사, 서울:교학연구사, 1987.

19. 이용률, 성현경, 수학교육론, 서울:교학연구사, 1993.

20. 이준열 외 4인, 중학교 수학 7-가, (주)도서출판 디딤돌, 2000.

21. 이준열 외 4인, 중학교 수학 7-나, (주)도서출판 디딤돌, 2000.

22. 전평국 외 4인, 중학교 수학 8-가, 교학연구사, 2001.

23. 전평국 외 4인, 중학교 수학 8-나, 교학연구사, 2001.

24. 정운실, 제6차 중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내용 및 8종 교과서 비교·분석, 석사학위논문, 1997.

25. 정지헌, 목표변화를 중심으로 한 한국수학교육의 변천과정연구-고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1995.

26. 최용준, 중학교 수학 8-가, (주)천재교육, 2001.

27. 최용준, 중학교 수학 8-나, (주)천재교육, 2001.

28. 황혜정 외 5인, 수학교육학신론, 서울:문음사, 2002.

ABSTRACT

Analysis of Math Textbooks According to the 7th Curriculum in Middle school

by Park, Joon Hee

Mathematics Education Major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ok Min University Seoul, Korea

The educational purposes a country intends are reflected to the curriculum, and they are embodied by textbooks. Therefore, a comparative analysis of those textbooks is a necessity to solve and improve the problems on education.

The study might be helpful for further study of textbooks.

The study was reviewed three textbooks for the 1st grade year and 2nd grade year in middle school published according to the 7th curriculum were analyzed as data resources.

⑴ The 7th mathematical curriculum was analyzed and reviewed major contents.

⑵ It reviewed that mathematics textbooks of middle school followed well the 7th mathematical curriculum

⑶ All mathematics textbooks were analyzed and they reviewed their differences.

The characteristic of 7th mathematical curriculum is level curriculum and presented a deepening process. education contents

The characteristic of 7th mathematical curriculum is level curriculum and presented a deepening process. education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