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우리의 농정과제

문서에서 주 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페이지 36-41)

다. 지지방식의 전환

2. 우리의 농정과제

○ 우리 농업은 미국, 일본 등 선진국에 비해 여러 가지로 열악한 상태에 있음. 농가인구당 경지면적을 보면, 미국은 우리의 50배, 프랑스는 우리 의 20배에 달함. 일본의 농가인구당 경지면적도 우리의 2배로 농업구조 측면에서 우리나라는 커다란 제약이 작용

- 우리나라의 농가소득은 도시근로자소득의 1990년대 중반까지 90% 이 상에서 2005년에는 78%로 감소하였고, 농가 간 소득격차도 확대되고 있음. 중농층의 비중이 감소하여 대농과 소농으로 양분되는 경향을 나 타내고 있음. 60세 이상의 경영주가 전체의 60%에 달하는 등 농촌인 력의 고령화 문제가 심화되고 있음.

○ 이러한 상황 하에서 규모화 위주의 농업구조정책은 한계가 있음. 기술과 자본 집약형 경영체 육성을 통해 차별화된 농산물의 생산과 마케팅을 추구할 필요가 있음.

표 2. 주요 농업지표의 국제 비교

미국 프랑스 일본 한국

1970 1990 2004 1970 1990 2004 1970 1990 2004 1970 1990 2004 농업 GDP: 10억$

(GDP 대비 비중: %)

-111 (2.1)

146 (1.3)

-42 (3.8)

45 (2.5)

13

-78 (2.6)

78 (1.7)

2 (29.2)

21 (8.9)

23 (3.8) 농가인구: 백만 명 9.6 7.7 5.8 6.9 3.1 1.7 19.7 8.6 3.9 14.6 6.9 3.2 (인구 대비 비중: %) (4.6) (3.0) (2.0) (13.6) (5.5) (2.7) (18.9) (7.0) (3.0) (45.7) (16.1) (6.8)

경지면적(백만ha) 190.5 187.8 177.0 19.1 19.2 19.6 5.8 5.2 4.7 2.3 2.1 1.8 농가인구당

경지면적(ha) 19.9 24.4 30.5 2.8 6.2 11.8 0.3 0.6 1.2 0.2 0.3 0.6 농산물 수출: 10억$

(수출 대비 비중: %) 6.7 (15.5)

46.0 (11.7)

64.6 (8.9)

2.84 (15.7)

34.0 (15.7)

47.2 (10.4)

0.35 (1.84)

1.48 (0.51)

2.00 (0.35)

0.02 (2.4)

0.73 (1.1)

1.76 (0.7) 농산물 수입: 10억$

(수입 대비 비중: %) 6.4 (15.0)

28.0 (5.4)

62.4 (4.3)

5.12 (26.8)

23.2 (9.9)

35.2 (7.5)

3.74 (20.0)

29.5 (12.5)

42.3 (9.3)

0.33 (16.7)

3.31 (4.7)

7.52(

3.3) 농산물 무역수지:

10억$ 0.3 18.0 1.8 -2.28 1.08 1.20 -3.4 -28.0 -40.3 -0.31 -2.58 -5.86

○ 세계적으로 농업의 다원적 기능 등을 고려하여 직접지불 형태의 소득보 전이 확대되고 있음. 이러한 정책은 국민경제에서 차지하는 농업의 비중 이 낮을수록 납세자의 반대가 적고 정책효과가 큼.

○ 그러나 우리나라는 아직도 농업 GDP와 농가인구 비중이 전체 GDP와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음. 우리나라 전체 GDP에서 농업이 차지 하는 비중은 3.7% 수준으로 일본과 미국에 비해 3배 정도 높고,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농가인구 비중도 일본의 2.3배, 미국의 3.5배 수준임.

- 농가인구 비중은 일본의 1990년 수준이며 미국의 1970년 수준보다 높음.

○ 우리나라는 식량 자급률이 30% 이하의 농산물 수입국으로 농산물 무역 수지 적자가 70억 달러에 달하여 미국이나 프랑스 등 농산물 수출국과 는 차이가 있음.

○ 따라서 농업의 식량공급 기능은 상대적으로 축소되는 반면 환경 및 식 품안전, 농촌지역개발 등에 대한 기능은 확대되고 있는 국제적인 변화를 수용하여 농정을 전환시켜 나가되 우리 농업의 현실이 반영된 정책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

- 농업과 농민이라는 틀에서 소비자와 국민경제의 관점에서 바람직한 농 정 목표를 수립하고 효율적이고 실현성 높은 정책 수단을 도입할 필요 가 있음.

○ 농가소득보전은 생산중립적 직불제를 중심으로 시행하되 대농은 소득 증대보다 경영안정이 더 중요하므로 품목별 자조금, 농작물 재해보험 등 경영안정대책을 중심으로 발전을 유도

○ 지역별, 농가 성격별로 농업정책과 농촌정책을 구분하여 추진할 필요가 있음. 영세 소농 및 고령 농가에 대하여는 복지정책을 중심으로 농촌정 책 차원의 대책 필요

참 고 문 헌

임송수. 2007. 미국 정부의 2007년 농업법 제안과 시사점. 한국경제연구원, 농정연 구속보 제38권.

. 2003. 유럽연합의 2003년 개혁안과 농업협상의 관계. KREI 농정연구속보, 2003-2(제2권), 한국농촌경제연구원.

ABARE and NZ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MAF]. 2006. Agriculture

in New Zealand: Past, Present and Future.

<http://www.abareconomics.com/interactive/ausnz_ag/pdf/ausNZ_nz_n.p df>

Becker, Geoffrey. 2005. Farm Commodity Programs: A Short Primer. CRS Report for Congress, RS20848.

. 2002. Farm Commodity Legislation: Chronology, 1933-2002. CRS Report for Congress, 96-900 ENR.

Center for Rural Economics Research [CRER] 2001. “” Department of Land Economy, Univ. of Cambridge.

<http://statistics.defra.gov.uk/esg/evaluation/setaside/fullrep.pdf>

Department for Environment, Food and Rural Affairs [Defra]. 2005. A Vision for the Common Agricultural Policy.

Dewbre, J. and C. Short. 2002. “Alternative Policy Instruments for Agriculture Support: Consequences for Trade, Farm Income and Competitiveness.”

Canadia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 50(2002):443-464.

European Commission. 2007. “The 2007 Outlook for World Agricultural Commodity Markets.” Monitoring Agri-Trade Policy No. 01-07.

<http://ec.europa.eu/agriculture/publi/map/01_07.pdf>

Eurostat. 2007. Agricultural Statistics: Data 1995-2005. European Communities.

Evans, L., A. Grimes, B. Wilkinson and D. Teece. 1996. "Economic Reform in New Zealand 1984-95: The Pursuit of Efficiency." Journal of Economic Literature Vol. XXXIV (December 1996):1856-1902.

Goodwin, B. and A. Mishra. 2006. “Are Decoupled Farm Payments Really Decouped? An Empirical Evaluation.” America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 87(3):1211-1219.

Hodge, I., M. Reader and C. Revoredo. 2006. “Project to Assess Future Options for Set-aside.” Department of Land Economy, Univ. of Cambridge.

<http://statistics.defra.gov.uk/esg/evaluation/futuresetaside/Fullreport.pdf>

House of Commons. 2007. “The UK Government's Vision for the Common Agricultural Policy.” Environment, Food and Rural Affairs Committee, Forth Report of Session 2006-07.

Howlett, Michael. 2007. "Policy Analytical Capacity as a Source of Policy Failure." Paper Prepared for the Workshop on Policy Failure, Annual Meeting of the Canadian Political Science Association, Univ. of Saskatchewan, Saskatoon, June 1, 2007.

Jacquet, Florence. 2003. “Future Agricultural Policy in the European Union.”

Choices, 1st Quarter 2003:23-26.

Johnson, R. 2001. "New Zealand's Agricultural Reforms and Their International Implications." Institute of Economic Affairs, London. Available at http://www.geocities.com/rwmj2001/iea.pdf

Josling, T., E. Tangermann and T. Warley. 1996. Agriculture in the GATT.

Houndmills, U.K.: Macmillan.

Key, N., R. Lubowski and M. Roberts. 2005. “Farm-Level Production Effects from Participation in Government Commodity Programs: Did the 1996 Federal Agricultural Improvement and Reform Act Make a Difference?” America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 87(3):1211-1219.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MAF]. 2006. Situation and Outlook for New Zealand Agriculture and Forestry. Wellington.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nd Trade[MFAT]. 2006. "New Zealand's Economic Reforms: A Brief Overview." Economic Division, New Zealand.

Monke, Jim. 2006. Farm Commodity Programs: Direct Payments, Counter-Cyclical Payments, and Marketing Loans. CRS Report for Congress, RL33271.

Nair, R. C. Chester, D. McDonald, T. Prodbury, D. Gunasekera and B. Fisher.

2005. Timing of the US Farm Bill and WTO Negotiations: A Unique Opportunity. ABARE eReport 05.11.

OECD. 2003. "Agricultural Policies in OECD Countries: A Positive Reform Agenda." OECD Observer, June 2003.

OECD. 2005. “Decoupling: Policy Implications.” AGR/CA/APM(2005)22/Final.

Oxfam. 2004. “Dumping on the World: How EU Sugar Policies Hurt Poor Countries.” Oxfam Briefing Paper 61.

Scrimgeour, F. and E. Pasour, Jr. 1996. "A Public Choice Perspective on Agricultural Policy Reform: Implications of the New Zealand Experience." America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 Vol. 78, No.

2.(May, 1996):257-267.

Skogstad, Grace. 2007. "Policy Failure, Policy Learning and Policy Development in a Context of Internationalization." Paper Prepared for the Workshop on Policy Failure, Annual Meeting of the Canadian Political Science Association, Univ. of Saskatchewan, Saskatoon, May 30, 2007.

Stam, J. and R. Collender. 1999. “Review: The Farm Debt Crisis of the 1980s by Neil E. Harl.” America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 Vol. 73, No. 2(May, 1991):544-545.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USDA]. 2007a. “USDA 2007 Farm Bill Proposals by Title.”

<http://www.usda.gov/wps/portal/!ut/p/_s.7_0_A/7_0_1OB?contentidonly=true&contentid=vie w_proposals.xml>

. 2007b. 2007 Farm Bill Theme Paper: Risk Management.

<http://www.usda.govv/documents/Farmbill07riskmgmtrev.pdf>

. 1999. “Farmers to Cut Borrowing Amid Income Uncertainty.” Agricultural Outlook, May 1999.

<http://www.ers.usda.gov/publications/agoutlook/may1999/ao261c.pdf>

. 1996. “Are Farmer Bankruptcies A Good Indicator of Rural Financial Stress?”

Agricultural Information Bulletin No. 724-06.

<http://www.ers.usda.gov/publications/aib724/AIB72406.PDF>

. 1999. The EU's CAP: Pressures for Change. Economic Research Service, WRS-99-2.

<http://www.ers.usda.gov/publications/Wrs992/Overview.pdf>

Usher, J.A. 1988. Legal Aspects of Agriculture in the European Community.

Oxford Univ. Press, Oxford.

World Trade Organization. 2005. Dispute Settlement: Dispute DS267 United States-Subsidies on Upland Cotton. <http://www.wto.org/English/tratop_e/dispu_e/cases_e/ds267_e.htm>

Young, C., D. Skully, P. Westcott and L. Hoffman. 2005. Economic Analysis of Base Acre and Payment Yield Designations Under the 2002 U.S. Farm Act. U S D A /E R S E c o n o m ic R e s e a rc h R e p o r t N o . 1 2 .

<

h ttp ://w w w .e r s .u s d a .g o v /P u b lic a tio n s /E R R 1 2 /

>

발 제 자 료 2 .

새 로 운 농정의 패 러 다 임 :

문서에서 주 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페이지 36-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