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도시디자인의 영역에는 공공디자인, 공공환경디자인, 도시공공디자인 등 많은 용어들이 혼용 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도시디자인과 관련된 용어들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전개하지는 않을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이 도시디자인과 관련된 용어를 재정립하는 것이 아니라, 서울시 도시디 자인 사업을 평가하는 것이므로, 용어와 관련된 논의를 심층적으로 진행하게 되면 연구의 본래 목적을 흐릴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논의 진행의 편의를 위해, 포괄적인 개념이라 할 수 있는 공공디자인을 중심으로 핵심적 개념에 대해 살펴보고, 이 연구에서 사용될 도시디자인의 용어를 정의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공공디자인은 공공공간과 시설, 정보 등 공공적으로 사용되는 모든 영역과 대상의 디자인을 말한다. 공공재(public goods) 뿐만 아니라, 사유물이라 할지라도 공공적 성격을 띠는 것(즉 건물의 외관이나 옥외광고물 등)도 포함한다(정봉금, 2005:34). ‘공공’과 ‘디자인’의 합성어 인 공공디자인은 ‘공공에 대한, 혹은 공공을 위한 디자인’ 또는 ‘공공에 의한 디자인’의 두 가지 방향으로 해석될 수 있다. 전자는 대상에 초점을 맞춘 것이고 후자는 발주처가 공공이라는 점을 부각시킨 해석이다(정욱주, 2008:22). 또한 공공디자인은 공공의 이익과 편의를 제공하려는 사회 의 요구에 부합하여야 하며, 시민 스스로도 공공디자인에 대해 자기 자신의 권리를 찾기 위한 주 체적 참여가 우선되어야 한다(장동련ㆍ차승희, 2006:12). 여기서 분명한 것은 공공디자인이 공공 을 위한, 그리고 공공에 의한 디자인이라는 두 속성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

또한 공공디자인이라는 용어 안에는 수많은 대상과 범위, 다양한 분야가 내포되어 있다. 공공 디자인학회에서 제시하고 있는 공공디자인의 영역은 공공공간디자인, 공공시설물디자인, 공공매 체디자인과 공공디자인정책 등으로, 정부 행정부처의 건물에서부터 여권디자인까지 폭 넓은 대상 을 포괄하고 있다. 관련분야도 도시설계, 건축, 조경, 산업ㆍ시각디자인, 인간공학, 사회복지학까 지 매우 다양하다.

이상과 같은 공공디자인의 개념에 기초하여, 이 연구에서는 도시디자인을 도시공간에서 수행 되는 공공디자인으로 정의하고자 한다. 이는 공적 영역을 사회구성원 전체가 이용하기 쉽게 계획 하고 실행하는 통합적 디자인 활동을 의미한다. 또한 사적 영역일지라도 공공적 성격을 갖는 한 도시디자인의 영역에 포함된다.

한편, 연구대상으로 삼고 있는 디자인서울총괄본부의 디자인사업을 ‘디자인서울 사업’으로 칭 하기로 한다.

<그림 1-2> 연구흐름도

제 2장 해외 디자인도시의 사례

제1절 디자인도시의 발전

제2절 해외 디자인도시의 주요 디자인 전략

제3절 소결

제2장 해외 디자인도시의 사례

제1절 디자인도시의 발전

도시디자인에 관심을 갖고 투자하는 디자인도시가 전 세계적으로 부상하고 있다. 선진 도시들 이 추구하는 디자인도시는 보기에 좋을 뿐만 아니라 그 안에서 생활하는 사람들이 편리하게 이용 하고 자존감과 정체성을 형성할 수 있는 도시이다. 그 대표적인 사례로 뉴욕, 샌프란시스코, 요코 하마, 런던을 살펴보았다.

뉴욕은 공공의 조닝(Zoning) 제도에 충실하면서도 융통성 있는 가이드라인을 제시함으로써 공 공이 탄탄하게 뒷받침하는 가운데 민간의 창의성을 극대화하고 있다. 공공의 제도와 디자인원칙 을 일관성 있게 지킴으로써 사적 및 공적 영역 디자인이 질적으로 향상되었으며, 시민의 공감대 를 형성하면서 민간영역의 공공의식 심화를 추구하고 있다.

뉴욕의 도시디자인은 1916년에 조닝제도를 도입하면서부터 출발했다고 할 수 있는데, 당시에 는 층고 및 셋백(set-back) 등 단순한 건물형태의 규제에 대한 관심이 주를 이루었다. 이후 도시 공간의 공공성 증진을 위해 지속적으로 제도를 개선하였으며, 1961년 인센티브 조닝제도를 도입 하여 POPS(Privately Owned Public Space)의 공공성 증진을 위한 다양한 실현 요소를 구체화하 게 되었다.

또한 뉴욕에서는 민간영역의 공공의식 심화에 기반하여, 시정부가 주도하는 디자인진흥기관 없이 순수민간 디자인단체가 자율적으로 도시디자인을 주도하고 이를 정부가 지원하는 형식을 자 주 찾아볼 수 있다. 예를 들어 1995년에 설립된 비영리기구인 Design Trust for Public Space는 시민으로부터 디자인 개선방안에 대한 제안을 수집하고 공공기관 및 전문가들과 협력하여

‘Playgrounds to Playgardens:Designing for Free Play’(2007), ‘Designing the Taxi’(2005),

‘Sustainable New York City’(2005) 등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샌프란시스코는 도시의 정체성과 비전을 명확히 설정하고, 이를 유지하고 발전시키기 위해 도 시디자인 전략을 활용하였다. 샌프란시스코 도시계획국이 수립한 General Plan은 도시개발 마스 터플랜에 해당하는 것이다. General Plan은 언덕군을 둘러싼 만과 바다가 형성하는 극적인 물리 적 경관의 아름다움과 그것을 조망할 수 있는 도로체계, 그리고 다양성을 갖춘 컴팩트한 중심도 시라는 특성이 샌프란시스코의 정체성을 형성한다고 언급하고 있다. 이 계획은 이들 요소의 경제 적, 사회적, 문화적, 심미적 가치들을 높이고 보호하며 보전할 것을 목표로 하는데, 그 실현 수단

의 하나가 도시디자인이다. 즉, General Plan의 도시디자인 파트에서 도로, 공원, 거주공간 등 도 시 전반에 걸쳐, 샌프란시스코의 정체성 및 경관과 지형에 어울리는 세부적인 가이드라인을 제시 하고 있다.

요코하마는 장기적이고 체계적인 도시디자인 사업의 추진으로 도시디자인의 모범사례로 손꼽 히는 도시이다. 1971년 일본 최초로 시 산하에 도시디자인 전담팀인 도시디자인실을 설치한 이 래, 도시디자인과 관련된 1,000여 개의 프로젝트를 일관된 정책 기조로 진행하였다. 특히 도시디 자인과 관련된 시청 내 조직의 횡적 연계를 중시하고 있다. 개항장의 역사를 갖고 있는 요코하마 의 정체성을 살리기 위해 근대건축 및 산업유산을 역사자산으로 적극적으로 보호하는 한편, 랜드 마크 타워를 중심으로 역사와 현대가 공존하는 미래도시 프로젝트인 미나토미라이21지구를 건립 하였다. 또한 건축물과 거리의 외관을 정비하는 미관정비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그 내부에 담길 문화콘텐츠와 인력을 함께 양성하는 창조도시 요코하마 프로젝트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조 화된 디자인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출처:요코하마 관광컨벤션뷰로

<그림 2-1> 역사와 현대가 공존하는 미나토미라이21

런던은 시민합의의 오랜 전통에 기반하여 정부가 강력한 신디자인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런던 시의 총체적인 도시개발 마스터플랜과 도시디자인 전략을 결합하고, 살기좋은 도시(city for people)를 구현하기 위해 디자인을 통한 시민들의 삶과 생활환경 개선을 추진하는 것이다.

런던시의 전체적인 도시계획인 런던플랜의 한 부분으로써 런던의 도시디자인을 실행하는 주

체는 Design Council, 런던개발국(LDA), 런던교통국(TfL), Design for London(DfL), Commission for Architecture and the Built Environment(CABE)이다. 특히 건축가 리처드 로저스, 디자인 전문가 피터 비숍 등 전문가로 구성된 런던시장 직속기관 ‘Design for London’이 주도적인 역할 을 수행한다. 이 기관은 도시가 더욱 발전하고 친환경적이며 지속가능하기 위해 건축과 도시디자 인이 중요한 툴이라는 인식에 기반하여 조직되었다. 런던시 전체의 도시디자인 프로젝트를 지원 하며, 개발의 모든 과정에 건축가와 도시디자이너가 참여하도록 장려하고 있다. 또한 심미성, 접 근성, 친환경성, 다양한 인종과 문화유산 존중을 원칙으로 제시한다.

이들 디자인 선진도시들의 사례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샌프란시스코, 뉴욕, 런던, 요코 하마의 도시디자인 전략을 홈페이지, 신문기사, 각종 문헌자료 등을 통해 종합하였다. 이 과정에 서 서울시 도시디자인 사업에 직접적인 시사점을 줄 수 있는 전략적 요소들을 도출할 수 있었다.

도시 정체성과 도시디자인의 결합, 도시디자인 관련 조직의 문제, 도시재생과의 관계, 인적자원 육성과 교육, 시민참여 등이 그것으로, 이들 각각의 요소가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디자인 선진도 시를 구축하고 있다.

다음 절에서는 이들 도시들이 디자인도시를 추구하는 과정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낸 이들 전략 적 요소들을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할 것이다. 이를 위해, 각 도시 중에서도 이들 전략적 요소가 가장 잘 드러나는 구체적인 사례들을 중심으로 각 도시의 사례를 재구성하였다.

제2절 해외 디자인도시의 주요 디자인 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