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영국 환경식품농촌부(DEFRA), 2004, Rural Futures Project: Scenario build-

문서에서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2020 (페이지 29-35)

농촌공간 2020 16

4.1. 1단계: 통계자료 분석을 통한 주요 지표 예측

□ 통계자료에 기초한‘농촌의 다양성’분석

여기에서는 영국 농촌의 미래를 전망하기 위한 기초적인 작업으로 방대한 양 의 통계 자료를 포괄적으로 분석했다. 자료의 공간적 범위는 영국 내 모든 기초 행정구역(district)이며, 시간적 범위는 과거 10년간이었다. ‘과거 10년 동안 영국 농촌지역은 어떻게 변화했는가?’를 살펴보는 것이 통계 분석의 목표였는데, 다 음과 같은 14개의 지표를 활용했다.

○ 10년 간 총 고용 변화 ○ 경제성장률

○ 10년 간 지식기반 부문 고용 변화 ○ 65세 이상 고령 인구 비중

○ 경영자 및 전문직 종사 인구 비중 ○ 고용 노동력 중 ‘지식 노동자’ 비중 ○ 10년 간 거주 인구 변화

○ 평균 총소득

○ 차량 2대 이상 보유 가구 비중 ○ 1,000㎢ 당 국가 지정 문화유적지 수 ○ 쾌적성

○ 지역경제에 있어 농림업 비중 ○ 숙박업소, 음식점 수

○ 인구밀도

□ 영국 농촌지역을 그 특성에 따라 7가지 유형으로 분류

여러 개의 지표를 토대로 영국 농촌의 미래를 전망할 때 ‘농촌의 다양성’을 고 려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그래서 앞의 지표들을 토대로 영국의 농촌지역

을 7가지로 구분했다. 유형화를 위한 기법으로는 군집분석을 활용했으며, 분류

농촌공간 2020 18

고 있다. 그렇게 하여 각 지역 유형별 국토 점유율 예측치와 그 확률분포를 산 출했다.

○ 전체 농촌 인구 증가율 ○ 65세 이상 고령 인구 비중 ○ 주택 정책의 규제 정도 ○ 교통 결절점(node)의 수준

○ 정보통신기술 수준과 인프라구조 ○ 농림업 종사 인구 비중

○ 지식경제부문 종사 인구 비중 ○ 경영자 및 전문직 종사 인구 비중 ○ 농촌지역에 대한 정책사업의 성공

○ 농촌지역에서의 레저 및 관광 부문 성장

○ ‘전통적인 의미에서의 농촌다움(rurality)’에 대한 시민들의 태도와 가치관

4.2. 2단계: 시나리오 도출을 위한 워크숍

□ 20년 뒤 농촌의 변화를 예상하기 위한 전문가 자문 워크숍과 토론

이상과 같은 분석 결과를 토대로 20년 뒤 농촌의 변화를 예상한 시나리오 초 안을 작성하기 위한 워크숍을 진행했다. 지역 유형별로 전문가 팀을 구성하여 초안을 작성하게 했는데, 초안 작성 팀에게는 1단계에서의 몬테카를로 시뮬레이 션 결과가 기초 자료로 제공되었다. 시나리오 초안의 내용은 ‘향후 20년 간 예상 되는 변화의 개관’, ‘정치, 경제, 사회, 기술의 4가지 측면에서 예상되는 변화의 핵심 동향’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작성한 초안을 보완하기 위해 전문가 자 문 워크숍과 집단 토론을 진행했다.

앞의 절차에서 작성된 초안을 3개 전문가 팀에 제공하고, 각 전문가 팀은 ‘농 촌공간에 대한 정책 개입’의 정도에 따라 서로 다르게 주어지는 3개의 가정 중

하나를 다음의 관점에서 검토했다.

○ 주어진 가정 하에서 영국의 농촌지역 유형 중 어떤 유형의 비중이 커질 것 인가?

○ 지역 유형 간 비중의 변화가 전체 농촌 사회라는 관점에서 뜻하는 바는?

4.3. 3단계: 시나리오 작성

□ 통계분석과 전문가 토론 결과를 종합하여 영국 농촌의 미래를 그린 시나리오 작성

최종적으로 작성된 3가지 시나리오는 각각 가장 많은 국토 점유율을 보이는 농촌지역 유형의 미래상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시나리오의 기본 가정’, ‘미래상 에 대한 전반적인 요약’, ‘농촌지역 유형의 변화: 20년 뒤 농촌지역 유형의 확률 분포’, ’20년 뒤의 농촌 인구 예측치’ 등의 내용이 시나리오와 함께 제시되어 있 다. 다음은 그 시나리오들 중 하나이다. 시나리오 사례에서 보듯이, 토지이용, 주 택수급 상황, 사회통합 분위기, 서비스 수급, 주민의 지역공동체 의식, 교통 인프 라구조 등의 내용들이 포괄적으로 어울려 있다.

‘깊은 농촌지역(Deep Rural)'의 2020년 생활상

농촌지역에 거주하러 들어와 있는 주민들로부터의 정치적 압력, 지방정부의 지역계획 담당 부서에 대한 그들의 통제 등으로 인해 지금보다 더욱 엄격한 토지이용 관련 정책이 시행될 것이 다. 이러한 정책 전환은 역도시화와 단절하려는 반응이라 할 수 있다. 2024년 경 농촌지역에 매 력을 느끼는 사회 집단 대부분은 이미 농촌에 거주하고 있을 것이다. 이 시점에서는 농촌에 거 주하러 오는 전입 인구와 도시로 나가는 농촌의 젊은 전출 인구가 서로 균형을 이룰 것이다.

농촌공간 2020

5. 영국 환경식품농촌부(DEFRA), 2005, The Future of Services in

문서에서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2020 (페이지 29-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