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고도 정보화시대의 도래

문서에서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2020 (페이지 64-67)

□ 고도 정보화시대의 미래상

향후 한국 사회는 고도 정보화시대를 맞이하게 될 것이다. 고도 정보화시대 한국 사회의 모습을 다음과 같이 그려볼 수 있다.

첫째, 기술의 가속화, 융합화, 지능화, 서비스화가 진행될 것이다. 정보기술 제 품들이 점점 초소형화, 대용량화, 고속화되는 동시에 각 산업의 기술과 서비스가 융합될 것이다. 디지털 ․ 네트워크 기술은 기업 ․ 생활 환경을 지능화시킬 것이다.

그리하여 소프트웨어 산업의 비중이 확대되고, 소비의 서비스화가 가속화될 것 이다. 그리고 제품과 서비스를 결합시킨 솔루션을 판매하는 형태의 토털솔루션 기업이 증가할 것이다.

둘째, 산업제품의 멀티미어어화, 개인화, 이동화, 보안화가 이루어질 것이다.

대용량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수요자의 욕구가 증가하면서, 일대일 맞춤형 생산방식이 보편화될 것이다. 그리고 다양한 기능이 결합되어 있으면서도 가지 고 다니기에 편리한 소형 통신기기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것이다. 따라서 타인 이 침해하기는 어렵지만, 사용자가 사용하기는 쉬운 보안기술 개발이 요구될 것 이다.

셋째, 사이버레이션과 사이버커뮤니티가 확대될 것이다. 세계화를 통해 지역 간, 국가 간 교류 확대의 필요성이 증대되면서 시공간 제약의 극복을 통해 오프 라인상의 전통적인 인간관계를 보완하는 사이버레이션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지 고 있다. 이런 추세에 따라 미래에는 다양하고 많은 사람들이 한꺼번에 만나는 사이버 공간상의 사이버레이션이 독특한 사회문화현상을 낳으면서 이제 오프라 인상의 인간관계를 대체하기도 할 것이다.

넷째, 유비쿼터스 시대가 도래할 것이다. 유비쿼터스 기술이란 휴대용 기기나 가전제품 등 여러 종류의 기기를 네트워크로 연결해 언제 어디서나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제반 기술 또는 환경을 말한다. 지역, 연령, 학력, 성, 계급, 국경 등을 초월한 ‘접속시대’의 도래와 함께 시장이 확대되고 생활체험적 공간이 확장됨으 로써, 삶의 질이 보다 다채롭고 풍성해질 것이다.

다섯째, 고용구조의 불균형이 심화되고 소득분배구조가 악화될 것이다. 정보 화가 진행되면서 사양직업군과 신규직업군에서 인력수급 불균형 현상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리고 정보격차로 인한 소득분배의 불평등이 확대될 것이다.

여섯째, 정보화로 인해서 계급질서가 복합적 양상을 띠게 됨으로써 사회적 위 계구도는 종전의 계급적 분석틀로는 손쉽게 포착할 수 없는 탈구조성을 지향하 게 될 것이다.

일곱째, 일과 학습이 언제 어디서나 동시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다중적 경 력과정이 주도적인 삶의 양식이 될 것이다.

농촌공간 2020 52

□ 고도 정보화시대의 도래가 한국농촌에 미치는 영향

고도 정보화시대 도래라는 메가트렌드가 한국 농촌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대 략적이나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농촌지역공동체가 약화될 것이다. 마을이나 소규모 지역 단위의 사회집 단이나 조직은 크게 감소하면서, 사회집단 및 조직 구성원의 공간적 분포가 점 점 더 면 ․ 군 ․ 도 ․ 전국 단위로 확대될 것이다.

둘재, 사이버공동체는 농촌에서도 발달할 것이다. 정보통신공간을 활용한 사 회적 연대가 형성되어 사이버공동체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다. 인터넷으로 연결 되는 인간관계에서는 가족과 같은 강한 관계보다 친숙한 외지인과의 약한 관계 가 큰 힘을 발휘하게 될 것이다.

셋째, 정보 불평등이 확대될 것이다. 생활 속의 정보기술 활용이 확대되면서 정보소외(취약)계층은 일상생활 및 사회참여에 있어 여러 가지 제약을 받게 될 것이다. 정보화 관련 신규 서비스가 도입됨에 따라 새로운 유형의 정보 불평등 이 발생할 것이다.

넷째, 정밀농업이 발전할 것이다. 자동온실, 축사관리시스템, 가축의 사양표준 관리 등의 분야에서 정밀농업이 발전할 것이다. 그리하여 노동력 및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다섯째, 농산물 유통이 획기적으로 발전할 것이다. 농산물 전자상거래가 확대 되고, 농산물이력추적시스템, 지능형 실시간 물류 저장정보시스템 등이 구축될 것이다. 그러면서 농산물 거래비용이 줄어들고 유통구조가 개선될 것으로 기대 할 수 있다. 그리고 농산물의 품질관리를 체계화 할 수 있고, 관련 분쟁 해소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여섯째, 농촌 어메니티 관리, 농촌관광시스템의 구축 등을 통해서 농촌관광의 활성화에 기여하게 될 것이다.

일곱째, 원격교육 ․ 의료 ․ 문화시스템, 노인 및 장애자 재택관리시스템, 재난방 제시스템 등을 구축하여 농촌복지 수준을 향상시키는 수단이 될 것이다.

문서에서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2020 (페이지 64-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