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생활공간으로서의 농촌

문서에서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2020 (페이지 103-120)

2.1. 농촌의 마을은 어떻게 변화할 것인가?

농촌의 인구 감소와 고령화 추세를 고려한다면, 2020년경에는 사라지는 마을이 있을 수 있다. 농촌에서도 중심지와 원거리에 위치해 있는 주변부 농촌지역일수록 소규모 자연마을 인구는 상대적으로 빠르게 감소하고 있다.

이런 마을들 중 완전히 소멸하는 곳이 생겨날 것이다. 하지만 완전히 소멸 하지 않고 1~3호 정도의 가구가 남아 정주하는 마을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농촌공간 2020 90

마을은 마을로서의 기능은 발휘하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 남아 있는 몇 호 남짓의 농촌 마을 가구 구성원은 지금의 평균적인 소농들과는 다른 생활양 식을 영위할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은 마을의 소멸 또는 기능 축소에 대응하 여 각종 공공/민간 서비스 기능을 효율화하기 위한 방편으로 읍 ․ 면 소재지 주 변에 새로운 집단 주거지를 조성하는 곳도 있을 것이다. 그렇게 되면 읍 ․ 면 소재지 주변을 중심으로 농촌지역의 정주공간이 재편된 곳에서 주변부 지 역으로 출퇴근 영농을 하는 비교적 젊은 농업인들도 심심치 않게 발견할 수 있게 될 것이다.

□ 원격지 농촌 마을의 소멸과 기능 축소

농촌의 인구 감소와 고령화 추세를 보면서 가장 궁금한 이슈는 ‘사라지는 마 을이 있을까’, ‘사라지는 마을이 있다면 어떤 곳에 있는 마을이 얼마나 사라질 까’ 하는 것이다. 농촌 마을의 다양화와 분화가 진행되어 한 마디로 ‘농촌 마을 은 이렇다’라고 규정하기 어렵게 될 것이다. 중심지로부터 원격지 농촌 마을들 은 이미 소멸 위기에 직면해 있다. 2020년쯤에는 소규모 자연마을이 소멸하거나, 혹은 소멸하지는 않더라도 마을로서의 종래 기능을 상실한 경우가 상당히 많아 질 것이다.

□ 도시 근교 농촌 마을의 확대

도시 근교 농촌마을은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 도시로 출퇴근하는 젊은 인구, 도시로부터 이주해 온 은퇴자, 원래 거주하고 있던 농촌 주민들이 혼주하는 전 원마을이 증가할 전망이다. 특히 대도시나 지방 중소도시 주변부의 농촌 마을은 전원생활을 지향하는 도시민들의 전원주택지역으로 완전히 대체될 가능성이 상 당히 크다.

읍 ․ 면 소재지 주변부의 농촌 마을들에는 공동주택단지가 조성될 가능성이 크 다. 특히 읍 ․ 면 소재지의 경우는 대도시나 지방 중소도시 주변부의 농촌 마을들 과는 달리 해당 지역의 고령화된 인구나 출퇴근 인구 등이 거주하게 될 것이다.

그림 6-2. 소멸해가는 농촌 마을 그림 6-1. 전원주택지로 변화하는 농촌 마을

□ 농촌 마을의 분화와 특화

상대적으로 원격지의 농촌 마을들은 그린투어리즘 등으로 특화되지 않는 한 일반적으로는 낙후된 주택만을 남겨둔 채 소멸되거나 대폭 축소될 가능성이 크 다. 경우에 따라서는 농사철 등 특별한 시기에 한정되어 계절적으로만 이용되는 양상을 보일 수도 있을 것이다. 다만, 2020년 정도의 시기에는 상대적으로 축소 되는 마을의 수에 비하여 자연 소멸되는 마을의 수가 그리 많지는 않을 것이다.

이와 같은 변화와 더불어 기능적으로 특수성을 갖는 다양한 형태의 농촌 마 을들이 출현할 것이다. 예를 들어, 전원주택단지, 타운하우스단지, 그린투어리 즘 마을, 은퇴자 마을, 동호인 마을, 전업화된 농업인 마을, 혹은 치유 및 휴양 기능을 수행하는 마을 등이 전국의 격자형 고속도로 망 곳곳에 형성된 도시들 의 네트워크 사이사이에 생겨날 것이다. 좁은 국토임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농 촌 마을들은 도시와의 관계, 정책적인 영향 등에 따라서 다양한 분화 모습을 보일 것이다.

농촌공간 2020 92

그림 6-3. 새로운 문화공간으로 변모하는 농촌 마을

그림 6-4. 농촌 마을의 다양한 미래상

자료: 송미령․성주인(2006).

농촌지역 주민들의 일상생활 중심지인 읍 ․ 면 소재지의 기능이 지역에 따 라서 축소되거나 강화되는 다양한 양상이 출현할 전망이다. 하지만 대체로 2020년 무렵 읍 ․ 면 소재지는 여전히 농촌 주민들의 일상생활에서 중요한 기초 중심지로서의 역할에는 큰 변화가 없을 것이며 현재와 비슷한 수준에 서 그 기능을 유지하는 곳이 꽤 많을 것이다. 다만, 2020년쯤에는 현재와는 완전히 다른 모습으로 읍 ․ 면 소재지 기능이 바뀌는 곳이 나타날 수도 있는 바, 사회문화적인 기능이 중요하게 부각될 것이며 새로운 중심지로서 역 주 변이나 주유소, 쇼핑 아울렛 등의 생활 편의 서비스 제공 기능이 부각될 가 능성도 있다.

2.2. 정주체계와 중심지 기능은 어떻게 변화할 것인가?

□ 읍 ․ 면 소재지는 일상생활의 기초 중심지로 유지

현재의 농촌 중심지로서 읍 ․ 면 소재지 기능이 유지될 것인지, 변화될 것인지, 아니면 다른 중심지 기능으로 대체될 것인지도 논의해야 할 이슈이다. 지금의 일반적인 농촌의 정주체계는 마을 - 읍 ․ 면 소재지 - 인접 도시로 이어지는 위계 를 보이는 중층적인 형태이다. 그러나 점차 마을(주거지) - 인접 도시 중심지로 연결되는 직결형 정주체계가 강화될 것이다. 이에 따라 전반적으로 읍 ․ 면 소재 지의 기능은 현재보다 축소되거나 기능이 대체될 가능성이 높다. 그럼에도 불구 하고 행정구역 체계의 개편이 없는 한 농촌지역사회의 가장 기초적인 중심지로 서의 기능은 유지될 것이다.

□ 읍 ․ 면 소재지의 기능 변화

대체로 미래의 농촌 읍 ․ 면 소재지에서는 멀티서비스 공간이 증가할 전망이다.

한 곳에서 생활에 필요한 여러 가지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받을 수 있는 ‘창구’가 생겨날 것이다. 이는 서비스 공급의 효율성을 제고하면서도 농촌 주민들에게 가

농촌공간 2020 94

그림 6-5. 전남 장흥군 토요시장

장 의미있는 기초 서비스 공급지로서의 역할 수행을 위해 불가피한 선택의 결과 이다. 특히 현재의 재래시장(5일장)은 대체로 사라질 것이나, 어떤 경우에는 관 광객들을 대상으로 하는 새로운 관광 장소로서 재편되어 남을 것이다.

▶ 재래시장을 현대적으로 정비하고 5일장의 기능과 결합하여 새로운 지역 명소로 부각

□ 새로운 중심지 기능과 중심공간의 부각

농촌 주민들의 일상생활 기초 중심지로서 읍 ․ 면 소재지의 상가들이 갖던 전 통적인 기능은 점차 축소될 것이다. 그러나 그보다는 사람들 간의 만남, 클럽활 동 등이 이루어지는 사회문화적인 기능이 부각될 것이며, 새로운 중심지 기능을 하는 공간으로서 역 주변, 주유소, 읍 ․ 면 소재지 외곽에 늘어날 쇼핑 아웃렛 등 이 일상생활 중심공간으로 부각될 전망이며 방문자를 위한 공간 수요가 늘어날

전망이다.

- 해당 지역 농특산품 생산, 가공 및 유통 허브(hub)

- 농공단지 및 기타 제조업, 서비스업체의 특정지점 집중 허브 - 교외지역 대형 유통업체가 구매활동 허브

- 주유소가 구매ㆍ교류ㆍ정보활동 허브 - 그린투어리즘 특화 마을 허브

- 지역사회 교육, 훈련 거점 허브

공공서비스 아웃렛 수는 농촌 인구의 감소와 더불어 줄어드는 지역이 많을 것 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소한의 공공 서비스 기능과 민간 부문에서 담당하던 생활 필수 서비스 기능을 통합하여 공공 서비스 아웃렛에서 담당하는 지역이 생 겨나기 시작할 것이다. 농촌지역에서의 연금 생활자 수가 증가하면서 우체국은 체신 업무와 더불어 금융이나 소매 업무를 겸하는 통합 창구로서 잔존하게 될 가능성이 크다.

농촌 중심지의 다방들은, 예를 들어, 스타벅스나 커피빈과 같은 도시 부문의 대형 프랜차이즈 업체의 시장 공략 대상이 될 것이다. 그리하여 지금과는 다른 외관과 내장을 갖춘 다방들이 중심지에 들어서고 그 고객층 또한 많이 변할 것 이다. 하지만 이런 변화를 보이는 농촌지역은 제한될 것이다. 대도시에서 멀고 인구가 과소화된 농촌지역 중심지에서는 다방이 변화하기 보다는 그런 업종들 이 사라지는 현상이 발생할 것이다. 그와 동시에 약국이나 미장원 등의 다양한 상점들이 하나의 창구에서 통합, 경영되는 지역들도 생겨날 것이다. 소규모 점포 형 상점들은 점점 사라지고, 대형 할인점 매장(하이퍼마켓)보다는 작지만 슈퍼마 켓 보다는 큰 수준의 통합형 상점이 읍 ․ 면 중심지 외곽에 입지하여 기능을 대체 하는 곳이 많아질 것이다.

이와 같은 현상은 프랑스 농촌의 ‘마지막 상점’ 사례에서 예상할 수 있다. ‘마 지막 상점’에서는 지역 주민들에게 필요한 모든 기초 생활 서비스 기능을 제공 하고 있다. 지방정부 등으로부터 바우처를 통한 약간의 보조 혜택을 받고 있다.

농촌공간 2020 96

현재의 인구 변화 추세로 볼 때, 농촌 마을회관 등의 커뮤니티 공동시설 은 지역에 따라 두세 가지 경로로 변화할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다. 마을 자체가 해체되거나 소멸되는 지역에서는 마을회관이 더 이상 존립하지 않 을 것이다. 오히려 이런 지역에서는 읍 ․ 면 소재지에 지금보다는 좀더 확대 된 규모의 주민자치센터 또는 문화복지회관의 기능이 강화되면서 마을회관 의 기능을 흡수하게 될 것이다. 한편, 마을 내 거주 가구수는 줄지 않고 고령 화만 더 심화되는 상당수 농촌 마을에서는 마을회관의 기능이 매우 중요해 질 것이다. 지금도 많은 지역에서 발견되는 마을회관에서의 ‘겨울철 공동생

현재의 인구 변화 추세로 볼 때, 농촌 마을회관 등의 커뮤니티 공동시설 은 지역에 따라 두세 가지 경로로 변화할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다. 마을 자체가 해체되거나 소멸되는 지역에서는 마을회관이 더 이상 존립하지 않 을 것이다. 오히려 이런 지역에서는 읍 ․ 면 소재지에 지금보다는 좀더 확대 된 규모의 주민자치센터 또는 문화복지회관의 기능이 강화되면서 마을회관 의 기능을 흡수하게 될 것이다. 한편, 마을 내 거주 가구수는 줄지 않고 고령 화만 더 심화되는 상당수 농촌 마을에서는 마을회관의 기능이 매우 중요해 질 것이다. 지금도 많은 지역에서 발견되는 마을회관에서의 ‘겨울철 공동생

문서에서 농촌의 미래 모습, 농촌공간2020 (페이지 103-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