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 해외 주요 국가도서관의 자료보존 사례

1.2 영국 국가도서관

가. 역사와 목표

영국 국가도서관은 영국과 아일랜드의 도서관과 기록관 소장자료에 대한 지속적인 접근 과 보존을 위해 1984년 국가보존국(The National Preservation Office)을 설립하였으며, 2009 년 영국 국가도서관 자료보존센터(British Library Preservation Advisory Centre)로 개칭하여 서비스하고 있다.3) 영국 국가도서관 자료보존센터(British Library Preservation Advisory Centre)는 영국 국가도서관 장서관리부(British Library Collection Care department)의 한 조 직이며, 도서관과 아카이브에 근무하는 사서들에게 보존 관련 기술을 전수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자료의 장기적인 보존활동을 위해 ‘자료보존에 관련된 모든 지원활동 수행’, ‘자료보존업무 수행에 있어서 비용 대비 경제성 향상을 위한 지원’, ‘자료보 존 지식과 기술의 공유’ 등과 같은 목표(2012년~2015년)를 수립하였다. 아울러 2015년까지 도 서관 및 아카이브의 아날로그 및 디지털 장서에 대한 자료보존관련 정보를 제공함과 더불어 보존업무 담당자와 미래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관련 교육 및 관리 서비스를 실시하는 것 을 사명으로 하고 있다.

특히 2014년 9월 웨스트 딘 대학(West Dean College)이 영국 국가도서관의 새로운 업무 파트너로서 역할을 수행하기 시작하여 자료보존과 장서관리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 과정을 제공할 계획이다. 특히 도서관 자료복원(Conservation of Books and Library Materials) 대학 원과정을 운영하여 학생들에게 책의 구조나 유산(heritage)과 관련된 기술적인 내용을 전수하 게 된다.

3) British Library Preservation Advisory Centre 홈페이지를 통해 제공되던 모든 자료는 2014년 3월 부터 British Library collection care 페이지를 통해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나. 조직과 수행업무

영국 국가도서관은 e-전략 정보시스템국(e-Strategy and Information Systems), 재무․조직 서비스국(Finance and Corporate Services), 인력개발국(Human Resources), 운영․서비스국 (남부)(Operations and Services (South)), 운영․서비스국(북부)(Operations and Services (North)), 전략 마케팅․커뮤니티케이션국(Strategic Marketing and Communications), 학술․

장서국(Scholarship and Collections) 등 7개의 조직으로 구성된다. 이 중 영국 국가도서관의 자료보존업무는 학술․장서국(Scholarship and Collections) 이하 <장서관리(Collection Care)>에서 예방 보존(Preventative Conservation), 보존․복원 연구(Conservation and Preservation Research), 자료보존센터(Preservation Advisory Centre) 등을 담당하고 있으며,

<디지털 학술국(Digital Scholarship)>에서 장서의 디지털화 전략 프로그램(Collection Digitisation Strategy and Programme), 디지털 연구 및 디지털 규레이터 팀(Digital Research and Digital Curator Team), 지도 및 지형 자료(Cartographic and Topographic Material), 음 향 및 영상(Sound and Vision), 국제 둔황 프로젝트(International Dunhuang Project)4) 등을 담당하고 있다.

특히 영국 국가도서관은 자료보존정책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지침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가 이드라인을 개발하여 제시하고 있다.5)(<부록 3> 참고)

이상의 부서에서 이루어지는 자료보존업무에는 예방 보존(Preventive conservation), 디지 털보존(Digital preservation), 보존처리(Conservation and treatment), 보존지원과 연구 (Science and research) 등이 포함된다.

예방 보존(Preventive conservation) 팀에서는 위험관리(Risk management), 장서재난구조 (Collections disaster and salvage), 보존용 복사(Preservation copying), 해충관리(Integrated pest management), 보존환경관리(Storage environment), 디지털화(Digitisation)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디지털보존(Digital preservation)팀에서는 도서관이 디지털보존 업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연구개발 업무를 수행한다. 아울러 영국 국가도서관에 소장된 디지털 자료에 대한 영구적인 접근을 보장하기 위해 2006년에 10년 단위의 장기 계획을 수 립하였다.

4) 둔황과 동부 실크로드에서 출토된 유적의 정보와 이미지 자료를 온라인에 구축하여 실크로드에 대한 교육 및 연구를 촉진시키고자 하는 국제 협력 활동

5) http://www.bl.uk/aboutus/stratpolprog/collectioncare/publications/booklets/building_a_preservation_policy.pdf

[그림 5] 영국 국가도서관 조직도

보존처리(Conservation and treatment)팀은 심도 깊은 보존처리와 연구를 위해 도서, 종 이, 양피지, 사진, 최신 매체 등 다양한 보존처리영역의 전문가로 구성되어 있다. 아울러 자 료의 수선, 전시(exhibitions)를 위한 지원, 도서관의 상징이 되는 보물급 자원 관리(Magna Carta나 St. Cuthbert Gospel 등의 보물은 보존처리를 통해 Sir John Ritblat Gallery에 보관), 일반 이용자와 전문가를 위한 견학 프로그램의 운영; 세미나; 회의; 도서관에 귀중자료를 기 증한 이들을 위한 Family Archive Day 실시, 보존처리 교육과정 운영 등을 실시하고 있다.

보존지원과 연구(Science and research)팀은 자료의 안정성 확보를 위해 사용된 재료를 테스 트하는 과정을 통해 보존업무를 지원하며, 기본 물질/사용된 잉크/색소/접착제 등 자료의 구성 물질과 구조를 조사하기 위해 적외선 분광법, 라만분광법, 형광 X-ray 분석법 등을 적 용한다. 환경평가와 해석(Environmental assessments and interpretation)팀은 보존에 적합한 도서관 환경을 유지하기 위하여 재산부(Estates Department)와 환경 방사능 감시청 (Environmental Monitoring Officer)와의 협력을 실시한다. 자료유형 별 온도와 습도의 변화 에 대한 대처방안을 제시하여 장기간 장서를 보존할 수 있는 환경조건을 제안한다. 외부 협 력(External collaboration)팀은 외부 기관과의 협력을 통한 연구를 실시한다. 런던대학과 영 국 박물관과의 협력으로 이루어지는 Heritage Smells 같은 것을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다.

보급(Dissemination)팀에서는 자료보존과 관련된 보고서, 회의자료, 회의 등을 통해 연구결과 를 확산하고 학생인턴을 고용하여 새로운 기술을 가르치는데 주력하고 있다.

특히 영국 국가도서관 자료보존센터(British Library Preservation Advisory Centre)는 1) 협력관계 형성, 세미나 개최, 출판 작업 등을 통해 영국국가도서관의 경험을 다른 도서관과 공유하여 자료보존 관련 지식의 허브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며 ; 2) 자료보존의 모범사례의 개 발과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보존활동의 프레임워크를 형성하며 ; 3) 기존의 가이드와 보존평 가조사(Preservation Assessment Survey)6) 서비스를 디지털장서에 대한 요구를 수용하는데 적합한 형태로 개발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검토하며 ; 4) 보존활동의 가치를 증명할 수 있는 자원개발에 참여하며 이를 장려하는 활동을 수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