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디지털자료의 보존에 대한 심층적 연구 수행

2. 제언

2.2 디지털자료의 보존에 대한 심층적 연구 수행

태생적 디지털자료의 증가는 물론 아날로그자료의 보존을 목적으로 한 매체변환 전략의 결과로 국립중앙도서관이 보존해야 할 디지털자료는 양적으로 증가할 뿐 아니라 수록매체 역시 다양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웹 아카이빙을 비롯한 다양한 디지털보존 활동이 국가문화 자원의 영구보존 책임을 가지는 국립중앙도서관에서 차지하는 비중과 중요성을 계속 증대될 것이다. 국립중앙도서관은 이미 2004년부터 온라인 디지털자원 수집․보존 사업(OASIS)을 실 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사업은 수집과 활용에 대한 관심에 비해서 장기보존에 대한 연구와 투자는 상대적으로 소홀한 편이다. 본 보고서에서는 국립중앙도서관이 전통적 오프라인자료 와 온라인디지털자료의 보존을 통합적으로 추진할 것을 제안하고 있는 것은 이러한 인식 때 문이다.

주지하고 있는 바와 같이, 디지털자료의 보존은 자료의 선정과 수집단계에서부터 이미 시 작되어야 하며, 보존을 위해 사용하는 기술 및 전략 등이 전통적인 도서관자료와는 전혀 다 른 기반을 가진다. 이 때문에 전 세계적으로 각국의 국립도서관들을 중심으로 한 다양한 프 로젝트를 통해 연구와 경험을 축적해나가고 있고 일정한 수준의 전략적 및 기술적 성과를 거두고 있기도 하다. 따라서 국립중앙도서관에서도 수집하는 국가문화유산으로서의 온라인 디지털자원의 장기보존을 위한 전략적 및 기술적 연구와 투자를 더욱 강화할 필요가 있다.

참고문헌

<단행본>

곽동철. 2006. 대학도서관 공동보존서고 설치, 운영 및 국가대출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서 울: 교육인적자원부.

국립중앙도서관 주제정보과. 2006. 국내도서관 자료보존현황 및 공동보존 구축방안. 서울: 국 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2010. 조직진단을 통한 국립중앙도서관 운영 효율화 방안. 서울: 국립중앙도 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자료운영과. 2012. 벨기에·네덜란드 공무국출장 결과보고서. 서울: 국립중앙 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IFLA PAC 한국센터. 2012. 자료보존과 복원의 미래방향. 서울: 국립중앙도 서관.

국립중앙도서관 IFLA PAC 한국센터. 2014. 해외도서관과 기록보존소의 대형보존서고 및 친 환경 에너지 절약 사례집(자료보존․복원기술 자료집 제5권).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2005. 국립중앙도서관 2010.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문화체육관광부. 2012. 지역단위 공동보존서고 건립 타당성 연구. 서울: 문화체육관광부.

부산광역시. 2013. 부산시 공동보존서고 건립 및 운영방안 연구. 부산: 부산광역시립시민도서관.

윤대현 외 편저. 2011. 기록물 보존학. 서울: 계문사.

존 맥웨인 저 ; 이귀복, 현혜원 번역 및 감수. 2011. IFLA 재난 대비 계획 매뉴얼(IFLA PAC 자료보존․복원기술자료집 제3권).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한국기록관리협회. 2007. 자료보존처리센터연구.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한국기록관리학회. 2002. 한국 공공기관 기록보존 관리의 현황과 중장기 정책. 서울: 한국기 록관리학회.

유종필. 2012. 세계도서관기행. 파주: 웅진지식하우스.

Adcock, Edward P. 정리 및 편집 ; 이귀복, 현혜원 번역 및 감수. 2009. 도서관 자료의 관리 및 취급을 위한 IFLA 원칙(IFLA PAC 자료보존․복원기술자료집 제1권). 서울: 국립 중앙도서관.

Manning, Ralph W., Kremp, Virginie 편집 ; 이귀복, 현혜원 번역 및 편집. 2000. 자료보존 과 복원의 미래방향(IFLA PAC 자료보존․복원기술자료집 제4권). 서울: 국립중앙도 서관.

<일반 논문>

강현민. 2006. “공공도서관협력망을 이용한 공동보존도서관 및 국가보존도서관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7(1): 29-53.

권기원. 2000. “자료보존 환경에 관한 연구”. 인문과학, 30: 123-141.

노지현, 조용완, 이제환. 2013. “지역 거점형 공동보존서고의 건립 및 운영 방안 : 부산시를 사례로 하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4(2): 167-195.

서혜란. 2011. “도서관의 자료보존 활동에 대한 몇 가지 단상”. 도서관문화, 52(8): 16-22.

이귀복. 2011. “눈에 보이는 실용적인 보존과 접근”. 도서관문화, 52(8): 23-31.

윤정옥, 심경, 곽동철. 2007. “우리나라 대학도서관 공동보존서고의 구축 및 운영에 관한 연 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8(3): 25-51.

윤희윤. 2013. “공공도서관 공동보존서고 건립의 타당성 분석”.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4(2): 5-26.

윤희윤. 2013. “공공도서관 공동보존서고 건립모형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4(3):

51-74.

윤희윤. 2014. “대학도서관 공동보존서고 설립·운영모형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5(3): 37-61.

신지연, 김유승. 2011. “지역대표도서관 중심의 공동보존도서관 설립 방안에 관한 연구”. 한 국비블리아학회지, 22(3): 129-150.

조용완, 노지현. 2013. “공동보존서고의 보존환경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4(4): 369-397.

한상완 외. 2002. “국립중앙도서관 자료보존환경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2(1): 67-95.

Norbert S. Bear, Paul N. Banks. 1985. “Indoor air pollution: Effects on cultural historic materials”.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Museum Management and Curatorship, 4: 9-20.

T. D. Davies, B. Ramer, G. Kaspyzok, A. C. Delany. 2010. “Indoor/Outdoor Ozone Concentrations at a Contemporary Art Gallery”. Journal of the Air Pollution Control Associatio, 34(2): 135-137.

<학위논문>

강미희. 2003. 국내 도서관의 자료보존 및 폐기실태와 공동보존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대학원.

신지연. 2012. 공동보존도서관 설립 방안에 관한 연구 : 지역대표도서관을 중심으로. 석사학 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이귀복. 2006. 열화된 종이자료의 보존성 개선을 위한 탈산처리 및 강도보강 연구. 박사학위 논문, 충남대학교 대학원.

<기타>

이귀복. “도서관 자료보존과 복원에 대하여”. World Library(2014. 7. 14)

박현주. “각급 도서관의 보존 요구 수준에 맞는 계획 및 지침을 마련해야”. World Library(2014. 7. 21)

<인터넷 자료>

국가기록원. 기록관리 표준 [online][cited 2014. 10. 11].

<http://www.archives.go.kr/next/data/standardArchive.do>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연보 2013. [online][cited 2014. 11. 21].

<http://nl.go.kr/upload/nl/pds/research_data/year_2013/seji_report.html>

국제도서관연맹 보존․복원한국센터. [online][cited 2014. 10. 11].

<http://www.nl.go.kr/iflapac/front/index.html>

국가표준인증종합정보센터. 국가표준 [online][cited 2014. 10. 13].

<http://www.standard.go.kr/CODE02/USER/0B/03/SerKs_Search.asp?OlapCode=ST AU020201>

국가표준인증종합정보센터. 해외표준. [online][cited 2014. 10. 21].

<http://www.standard.go.kr/CODE02/USER/0C/SerISO_Search.asp?OlapCode=STAU030101>

Library of Congress. Preservation. [online][cited 2014. 10. 11].

<http://www.loc.gov/preservation/>

The British Library. Collection care. [online][cited 2014. 11. 9].

<http://www.bl.uk/aboutus/stratpolprog/collectioncare/index.html>

Library and Archives Canada. [online][cited 2014. 11. 9].

<http://http//www.bac-lac.gc.ca/eng/Pages/home.aspx?>

日本 國立國會圖書館. 資料収集・保存. [online][cited 2014. 10. 11].

<http://www.ndl.go.jp/jp/aboutus/preservation/index.html>

National Library of Australia. [online][cited 2014. 9. 28].

<http://www.nla.gov.au/preservation>

※ 본 설문은 아래 사이트를 통해 응답하실 수 있습니다.

http://www.ksdcdb.kr/answer.jsp?a=3581

※ 조사기간 : 2014년 8월 5일 - 8월 20일

※ 설문조사에 대한 문의는 아래 연락처로 해주십시오.

김선애 교수 : ***-***-****

강은영 교수 : ***-***-****

안녕하십니까?

저희 연구팀은 국립중앙도서관으로부터 <국립중앙도서관 보존전략 수립 및 각급 도서관 지원 방안 연구>를 요청받아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 연구는 국내외 도서관 및 주요기관의 자 료보존 실태 분석을 통해 국가적인 차원에서의 자료보존․복원전략 수립을 목적으로 하고 있 습니다.

이를 위해 전국 공공도서관과 대학도서관을 대상으로 보존을 위한 인력과 조직, 보존 시설 과 환경, 국가 보존․복원센터 설립에 대한 의견을 구하는 설문조사를 실시하게 되었습니다.

도서관 업무로 바쁘시겠지만 자료보존을 위한 국가적인 차원의 합리적인 개선방안을 모색 하기 위해 필요한 내용이오니 설문에 응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귀 도서관의 적극적인 협조 를 통해 우리나라 도서관 자료보존 환경 발전에 큰 도움이 되는 연구결과가 나올 것이라 예 상됩니다.

더불어 응답해주신 내용은 일괄적으로 통계 처리되어 연구목적 이외는 어떤 목적으로도 사용하지 않을 것입니다.

귀중한 시간을 내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2014년 8월 5일

책임연구원 : 서혜란(신라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공동연구원 : 김선애(경성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강은영(신라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조교수(강의전담))

<부록 1>

국내 도서관 보존․복원 실태 조사를 위한 설문지

1) 서울특별시 2) 부산광역시 3) 대구광역시 4) 인천광역시 5) 광주광역시 6) 대전광역시 7) 울산광역시 8) 세종특별자치시 9) 경기도 10) 강원도 11) 충청북도 12) 충청남도 13) 경상북도 14) 경상남도 15) 전라북도 16) 전라남도 17) 제주특별자치도

국립중앙도서관 보존전략 수립 및 각급 도서관 지원 방안 연구 국내 도서관 보존․복원 실태 조사를 위한 설문

<일반사항>

1. (필수) 귀 도서관의 관종은 무엇입니까? ( ) 1) 공공도서관 2) 대학도서관

2. (필수) 귀 도서관이 속한 행정구역은 어디입니까? ( )

3. (필수) 귀 도서관의 현재 소장 장서수는 얼마나 됩니까? ( )

1) 10만권 미만 2) 10만권 이상 - 50만권 미만 3) 50만권 이상 - 100만권 미만 4) 100만권 이상 - 150만권 미만 5) 150만권 이상

4. (필수) 귀 도서관은 언제 설립되었습니까? ( )

1) 1960년 이전 2) 1961 ~ 1970년 3) 1971 ~ 1980년 4) 1981 ~ 1990년 5) 1991 ~ 2000년 6) 2000년 이후

<조직과 인력>

5. (필수) 귀 도서관은 자료보존․복원을 담당하는 전담 부서를 운영하고 있습니까? ( ) 1) 전담부서를 운영하고 있다. (문항 6으로)

2) 전담부서는 운영하지 않지만 자료보존복원업무를 담당하는 부서가 있다. (문항 6으로) 3) 자료보존복원업무를 하지 않는다. (문항 10으로)

6. (선택) 귀 도서관의 자료보존․복원을 담당하는 [행정직]은 몇 명입니까? ( )명 7. (선택) 귀 도서관의 자료보존․복원을 담당하는 [사서직]은 몇 명입니까? ( )명 8. (선택) 귀 도서관의 자료보존․복원을 담당하는 [기술직]은 몇 명입니까? ( )명

9. (선택) 귀 도서관의 자료보존․복원을 담당하는 기타직렬의 직원은 몇 명입니까? ( )명

구분 항목 있다 없다

보존시설

일반서가

밀집서가 - 전동서가 밀집서가 - 수동서가 공기조화설비(항온항습시설) 온습도계

10. (필수) 귀 도서관은 자료보존․복원에 대한 성문화된 규정이나 정책을 구비(마련)하고 있습니까? ( )

1) 독립된 별도의 규정이나 정책이 있다.

2) 다른 규정이나 정책의 일부로 포함되어 있다.

3) 없다.

11. (필수) 귀 도서관은 재난대비에 대한 성문화된 규정이나 정책을 구비(마련)하고 있습니 까? ( )

1) 독립된 별도의 규정이나 정책이 있다.

2) 다른 규정이나 정책의 일부로 포함되어 있다.

3) 없다.

<보존 시설과 환경>

12. (필수) 귀 도서관 보존서고의 유형은 어떻습니까? ( ) 1) 별도의 독립된 공간으로서의 보존서고가 있다. (문항 13으로)

2) 자료실의 일부를 할애하여 보존서고처럼 활용하고 있다. (문항 14로) 3) 보존기능을 수행하는 공간이 없다. (문항 18로)

13. (선택) 독립된 보존서고가 있다면 면적은 몇 ㎡입니까? ( )㎡

14. (선택) 귀 도서관 보존서고에 소장되어 있는 장서는 몇 책이며, 전체 장서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몇 %입니까? ( 책, %)

15. (선택) 현재 귀 도서관 보존서고로 편입되는 자료의 기준은 무엇입니까? (복수응답가능) ( , , , , )

1) 자료의 출판년도 2) 자료의 오․훼손 상태 3) 복본의 유무 4) 이용빈도

5) 기타 ( )

16. (선택) 귀 도서관 보존서고의 보존시설과 환경은 어떠합니까?

소화설비 - 자동 소화시설

<부록 2> 미국 의회도서관 매체별 자료보존지침

택 사진은 폴리에스테르 자켓에 보관 혹은 표면손상 상태일 경우에는 종이 봉입 용기에 보관

<보존 용기>

•회전형 디스크: 가능하다면 레코드 커버는 고밀도 폴리에스틸렌 커버 사용

•오픈 릴 테이프: Store tape on reels with unslotted hubs; reels with slotted hubs may be used as take-up reels

•오픈 릴 테이프: Store tape on reels with unslotted hubs; reels with slotted hubs may be used as take-up ree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