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3.1. 연구 범위

이 연구의 공간적 및 내용적 범위는 국내 전국 단위 식품제조업 기준(지역별 제 외)으로 한다. 식품제조업은 식품산업을 대표하는 분야로 식품산업의 변화에 대 응한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와 연관성이 높기 때문이다.

<표 1-2> 연구 범위(식품제조업)

한국표준산업분류(KSIC) C. 제조업(10~34)

10. 식료품 제조업 11. 음료 제조업

C101. 도축, 육류 가공 및 저장 처리업 C111. 알코올 음료 제조업 C102. 수산물 가공 및 저장 처리업 C112. 비알코올 음료 및 얼음 제조업 C103. 과실, 채소 가공 및 저장처리업

C104. 동물성 및 식물성 유지 제조업 C105. 낙농제품 및 식용 빙과류 제조업 C106. 곡물 가공품, 전분 및 전분제품 제조업

C107. 기타 식품 제조업 C108. 동물용 사료 및 조제식품 제조업

자료: 통계청 통계분류포털(http://kssc.kosta.go.kr)을 참고하여 작성함.

3.2. 연구 방법

연구는 통계자료 및 선행연구, 통계 및 통계분류체계, 조사 및 전문가 회의, 원 고 위탁 등의 방법을 활용하여 이루어졌다.

첫째, 국내외 통계자료 및 선행연구 활용 측면에서는 국내외 각종 통계데이터 를 수집·분석하였고, 문헌 검색을 통해 기존 선행연구들을 검토하였다.

둘째, 통계 및 통계분류체계 분석을 통해서는 기관별 통계자료 및 조사방법을 이용한 통계들을 비교·분석하였으며, 시장집중도 지표(: 상위 k개 기업의 누 적시장점유율 지수), 통계분류체계 특성 및 현황, 통계분류체계 간 연계가능성, 통 계분류 개정절차, 식품의 기준 및 규격 개정고시(안) 등을 분석하였다.

셋째, 조사 및 전문가협의회 개최를 통해 국내 식품통계 현황과 문제점 파악, 통 계 개선 및 활용도 제고 방안 논의를 위해 식품업체 및 협회, 정부 관련 기관, 대학 등 학계, 연구소(민간연구소 포함)의 관련 전문가로 구성된 서면자문 및 연구자문 회의를 개최하였다. 그 외 국내 식품 관련 통계 생산 및 조사기관 방문을 위한 현지 조사, 해외 식품통계 현황 파악을 위한 전문가 자문이 이루어졌다.

넷째, 전문가 원고 위탁을 통해 주요 식품통계 분류체계의 비교분석과 개선 방 안(한남대 권세혁 교수), 일본의 식품산업 관련 통계 현황 및 특징(일본농업경영 대학교 신동철 교수), 미국의 식품산업 관련 통계 현황 및 시사점(강원대학교 이지

용 교수) 등을 분석하였다.

다섯째, 통계 이용자 설문조사는 전문조사업체의 설문조사 위탁으로 이루어졌 으며, 통계 이용자 유형별 설문조사 및 심층 면접조사(FGI)에서는 식품업체 및 협 회, 정부 관련 기관, 대학 등 학계, 연구소(민간연구소 포함) 관련자들이 참여하였 다.

<표 1-3> 식품산업 관련 전문가 설문조사 개요

구분 내용

조사명 식품산업 통계 관련 전문가조사

조사 목적 식품산업 기초통계 현황 및 문제점을 진단하고, 농정추진에 필요한 신규 통계 수요를 파악 하기 위함

조사 대상 식품업체 및 협회, 정부 관련 기관, 대학 등 학계, 연구소(민간연구소 포함) 조사 표본 총 106명

조사 방법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웹서베이 자료: 저자 작성.

<표 1-4> 식품산업 관련 전문가 설문조사 응답자 개요

구분 사례 수 (명) 전체 (%)

전체 106 100.0

소속 기관 유형

식품업체 및 협회 22 20.8

정부 관련 기관 17 16.0

대학 등 학계 41 38.7

연구기관(민간 연구소 포함) 26 24.5

자료: 저자 작성.

<그림 1-1> 연구 추진체계도

자료: 저자 작성.

제2장

식품산업의 변화

K O R E A R U R A L E C O N O M I C I N S T I T U T E

제2장

식품산업의 변화

본 장에서는 식품산업의 트렌드 변화, 식품제조업의 위상과 변화 추이, 식품제 조업 업종별 변화, 식품제조업의 규모별 변화 등 식품제조업의 전반적인 변화를 살펴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