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식품제조업의 시장집중도 변화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음료제조업은 장치산업 이라는 특징으로 인해 상위기업의 점유율이 식료품제조업에 비해 높은 편이나, 음료 및 식료품 제조업의 상위 10대, 20대 기업 출하액 점유율은 하락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식료품제조업의 상위 10대, 20대 기업들의 출하액 점유율을 살펴보면, 상위 10 대 기업의 출하액 점유율은 2014년 19.9%에서 2017년 17.9%로 2.0%p 하락하였 으며, 상위 20대 기업의 출하액 점유율은 2014년 29.0%에서 2017년 26.3%로 2.7%p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음료제조업의 출하액 점유율은 식료품 제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높은 점 유율을 보이고 있으나, 2014년에서 2017년으로 갈수록 점차 하락하는 추세이다.

음료제조업 10대 기업 출하액 점유율은 2014년 70.7%이던 것이 2017년 66.9%로 감소하였으며, 20대 기업 출하액 점유율 또한 2014년 80.7%이던 것이 2017년 78.6%로 감소하였다.

특정 시장 내에서 상위 3개 기업들의 시장점유율의 합을 의미하는 CR3를 통해 산업집중도7)를 살펴볼 수 있는데, 2017년 기준 식료품과 음료 제조업의 CR3는 각각 32.8%, 64.2%로 2014년 대비 1.6%p, 1.7%p 하락하였다. 식료품제조업 산업 집중도는 전체 제조업에 비해 낮은 반면, 음료제조업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2-7> 식품제조업의 상위 10대 및 20대 기업 출하액 점유율 변화

단위: %

기업 구분 2014 2015 2016 2017

10대 기업 식료품 19.9 19.3 18.8 17.9

음료 70.7 68.4 67.1 66.9

20대 기업 식료품 29.0 28.7 28.0 26.3

음료 80.7 79.7 78.7 78.6

자료: 공정거래위원회 외(2019). 『시장구조조사』.

7) 산업집중도는 출하액 기준 집중도에 대한 보조적인 지표로 활용되며, 수입액 등이 고려되지 않아 내 수시장의 독과점 상황을 과대평가할 수 있으며, 기업들 간의 규모 차이를 반영하지 못하는 등 한계가 있다.

<표 2-8> 식품제조업의 산업집중도(CR3) 변화

단위: %

구분 2014 2015 2016 2017

식료품 34.4 32.9 34.7 32.8

음료 65.9 64.1 63.2 64.2

제조업 51.9 50.0 49.8 50.6

자료: 공정거래위원회 외(2019). 『시장구조조사』.

2018년 기준 식품제조업의 종사자 수 10인 미만 사업체의 비중은 전체 사업 체 수의 90.9%로 식품제조업의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으며, 제조업 전체 평균인 84.2%와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영세한 산업으로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식품 제조업의 종사자 10인 미만 사업체(소규모 사업체)의 비중이 2006년 92.6% 이 후 점차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사자 1~4인 규모인 영세 식품제조업체의 경우 그 비중이 2006년 84.9%에 서 2015년 80.7%, 2018년 78.9%로 점차 감소하였으며, 5~9인 및 10~49인 규모의 소규모 사업체 수 비중은 증가하는 추세이다. 종사자 50인 이상인 중·대 규모 식품제조업체의 경우 2010년대 이후 1.5% 내외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출액의 경우, 식품제조업 사업체 수의 90.9%를 차지하는 종사자 수 10인 미만 사업체의 매출액은 전체 매출액의 12.9%를 차지하고 있어 국내 식품제조 업은 영세한 편이다. 2015년 기준 식품제조업의 종업원 10인 미만 사업체의 매 출액 비중은 전체 식품제조업 총 매출액의 12.9%로 전체 사업체수 비중 90.9%

에 비해 매우 작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반면 종업원이 50인 이상인 중․대규모 식품제조업체의 경우 사업체 수는 전체 사업체 수의 1.6%를 차지하는 반면 출하 액은 59.8%를 차지하고 있다.

<표 2-9> 식품제조업 종사자 규모별 사업체 수와 비중 변화

단위: 개, %

규모별 2006 2010 2015 2018

사업체 수 비중 사업체 수 비중 사업체 수 비중 사업체 수 비중 10인 미만 51,839 92.6 49,832 92.2 53,385 91.2 56,029 90.9

-1∼4인 47,565 84.9 46,116 85.3 47,246 80.7 48,592 78.9 -5∼9인 4,274 7.6 3,716 6.9 6,139 10.5 7,437 12.1 10∼49인 3,454 6.2 3,430 6.3 4,192 7.2 4,604 7.5 50∼299인 679 1.2 748 1.4 905 1.5 940 1.5

300인 이상 36 0.1 40 0.1 47 0.1 47 0.1

총계 56,008 100.0 54,050 100.0 58,529 100.0 61,620 100.0 주: 규모별 비중은 해당 규모의 사업체 수/총 사업체 수의 비율임.

자료: 통계청(각 연도). 『전국사업체조사』.

<표 2-10> 식품제조업 종사자 규모별 매출액과 비중 변화

단위: 십억 원, %

규모별 2010 2015

매출액 비중 매출액 비중

10인 미만 8,906 12.0 13,146 12.9

-1∼4인 3,974 5.3 5,377 5.3

-5∼9인 4,932 6.6 7,769 7.6

10∼49인 19,270 25.9 27,758 27.2

50∼299인 35,959 48.4 46,703 45.8

300인 이상 10,217 13.7 14,280 14.0

총계 74,352 100.0 101,887 100.0

주: 규모별 비중은 해당 규모의 매출액/총 매출액의 비율임.

자료: 통계청(각 연도). 『경제총조사』.

제3장

식품통계 현황과 문제점

K O R E A R U R A L E C O N O M I C I N S T I T U T E

제3장

식품통계 현황과 문제점

본 장에서는 식품통계 제도 및 생산 현황, 이용자 유형별 식품통계 이용 현황 및 평가, 주요 식품통계의 문제점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식품통계 제도 및 생산현 황에서는 부처별 식품통계 생산 현황, 식품통계 생산 조직과 법령, 통계 인력 및 예 산 현황에 대해 살펴보고, 이용자 유형별 식품통계 이용 현황 및 평가에서는 설문 조사 내용을 활용하여 식품통계에 대한 이용 현황, 통계품질 평가 항목별 만족도, 이용자 유형별 식품통계 이용 목적 및 요구도를 살펴본다. 마지막 절에서는 주요 식품통계의 문제점을 설문조사에 기반하여 정리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