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1. 코로나19 이전의 식품산업 트렌드

정부 및 업계는 식품산업을 둘러싼 여건이 변화함에 따라 식품산업 변화 및 특 징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식품산업을 둘러싼 여건이 변화함에 따라 식품산업의 세부 업종에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특히 가정간편식(밀키트 포함), 대체식품, 고 령친화식품, 기능성 식품과 같은 신식품에 대한 정보 및 시장 규모에 대한 통계 요 구가 높아지고 있다.

최근 1인 가구나 맞벌이 가구 증가로 가정간편식(밀키트 포함) 시장이 성장하 고 있고 제품도 다양화되고 있다. 또한 고령 인구 비율의 증가로 고령친화식품에 대한 관심도 증대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동물복지·생명 윤리 및 지속가능성을 중 시하면서 대체축산식품과 동물복지축산식품에 대한 관심도 많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현재 공표되는 식품통계를 활용하여 식품제조업의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성 장가능성이 높은 식품제조업 분야를 살펴보고, 신식품의 시장성 및 통계정보 수 집 가능성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식품산업 여건 변화에 따른 대응을 위해 정부(관계부처 합동)는 2019년 12월 4 일 『5대 유망식품 육성을 통한 식품산업 활력 제고 대책』을 발표하였다. 그러나 이 를 뒷받침할 통계 기반은 미약한 상태이다.

산업 통계는 산업전반에 걸친 이해도를 향상시켜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된다. 식품산업의 체계적인 정책 수립을 위해서는 신뢰성 있는 통계 구축 및 근거자료 확보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고령친화식품, 메디푸드, 대체식품 등 미래 유망식품에 대한 기술개발(R&D) 지원사업 예산 확보를 위해서는 해당 식품에 대 한 통계 기반 근거자료가 요구된다.

<그림 2-1> STEEP 관점의 식품선택 여건 변화

자료: 박미성 외(2019)를 기반으로 추가 정리함.

1.2. 코로나19 이후의 식품산업 트렌드

1.2.1. 사회변화에 대한 진단4)

전 세계 석학들은 코로나19의 발생이 사회에 단기적인 충격뿐만 아니라 정치, 경제 분야와 세대 전반에 걸쳐 큰 변화를 일으킬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이와 관 련하여 코로나19 발생 이후의 변화상을 제시하였다. 여기에는 첫째, 보건환경 변 화에 따른 공급망의 로컬화 가속화, 둘째, 경제활동 측면에서는 비대면 활동 증가 와 개인화 가속, 셋째, 기업경영에 있어서 고비용시대 도래, 넷째, 사회적 가치 측 면에서는 개인보다 공동체적 가치 중시, 다섯째, 교역환경의 관점에서는 신자유 주의의 퇴조와 지역블록화가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보건환경 분야의 경우 상대적으로 방역이 취약하고 불투명성을 가지고 있는 신 흥국에서의 공급망 불안정 경험으로 인해 해외 기업의 저임금 매력을 상쇄시키 고, 기존에 글로벌 중심이었던 공급망이 로컬 중심으로 변화될 것으로 전망하였 다. 미국 호프스트라대학교의 장 폴 로드리그 교수는 “경제적으로 글로벌 경제가 이중구조화되고, 생필품 생산의 국산화가 가속되는 반면, 첨단제품은 글로벌화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것”으로 전망한 바 있다.

경제활동 분야의 경우, 코로나19로 인해 비대면 활동의 증가와 효용성이 확인 되었으며, 경제, 산업, 교육 등 사회 전반에 걸쳐 비대면 활동이 크게 증가할 것으 로 전망하였다. 존스홉킨스대 에릭 존스 교수는 “교육·산업·경제 전반에서 비대 면 활동이 대세가 될 것”으로 전망하였다.

기업의 경영과 관련하여서는 코로나19 이후의 추가적인 팬데믹 사태에 대비한 비상계획 수립이 증가 및 일상화되고, 기존 대비 여유 재고 및 인력 유지비용을 감 수하는 등 저비용 효율중심주의 기업경영이 더 이상 어려울 것으로 전망하였다.

콜롬비아 대학교 애덤 투즈 교수는 “경영자는 고비용 시대를 대비하라”고 조언한

4) 산업통상자원부 “포스트 코로나 산업전략 추진” 보도자료(2020. 5. 6.) 중 ‘코로나19 이후의 변화’

의 주요 내용을 발췌 정리하였다.

바 있다.

이외에도 사회적 가치의 부각이 전망되고 있는데, 기존의 개인과 효율 중심의 사회에서 상호 의존하는 사회로 변화하고, 연대, 공정, 책임 등의 가치가 더욱 부 각될 것으로 전망하였다.

교역환경의 경우에는 경제의 지역블록화 확산으로 인한 국가 간의 무역장벽 부 활 가능성이 전망되었으며, 각 국가의 시장안정을 위한 정부의 역할이 확대되면 서 신자유주의의 퇴조가 가속화될 수 있다고 전망하였다. 하버드대학교 대니 로 드릭 교수는 코로나 이후의 세계경제의 트렌드를 “정부 역할의 확대, 초세계화의 퇴보, 경제성장률 둔화”로 전망하였다.

1.2.2. 식품 소비에 영향을 미치게 될 트렌드5)

코로나 이후의 변화를 고려한 식품소비와 관련된 6대 트렌드 키워드를 살펴보 면 경험의 중시, 프리미엄화, 윤리적인 삶, 온라인 쇼핑, 건강한 생활, 연결된 소비 자로 요약할 수 있다.

‘경험의 중시’라는 관점에서 보면 소비자들은 소유보다 경험을 더 중요하게 여 기게 된다. 금융위기 이후 내구재에 대한 실질지출은 감소하는 한편 서비스에 대 한 지출은 증가하는 추세이다. 앞으로도 서비스에 대한 지출은 내구재에 대한 지 출보다 훨씬 크게 나타날 것이다.

‘프리미엄화’의 경우 수많은 사람들이 프리미엄화를 새롭지 않은 트렌드로 인 식하고 있으나 소비자들의 구매 결정 의도가 변화했다. 본질적으로 프리미엄화는 우선순위(priorities)에 관한 것이다. 제품의 가격포인트(price points)가 이전보다 많아지고 소비자들은 그들에게 중요한 것에 더 많은 가격을 지불하는 반면, 중요 하지 않은 것에는 소비를 줄이는 경향이 있다.

5) Euromonitor International(2017). “Megatrend Analysis: Putting the Consumer at the Heart of Business.”와 Euromonitor International(2020). “Food and Nutrition in Light of COVID-19.”을 참고하여 작성하였다.

‘윤리적인 삶’이라는 관점의 경우 소비자와 기업 모두 윤리적이고 도덕적인 가 치에 지불하는 금액이 커지고 있다는 것에 주목한다. 환경·지속가능성·동물복지·

생산 및 노동관행에 입각한 결정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윤리적인 삶을 중시하는 트렌드는 ① 인지도(Awareness), ② 이용가능성(Availability), ③ 가격의 적절함(Affordability)의 세 가지 요인에 의해 움직이고 있다.

‘온라인 쇼핑’이라는 측면은 소비자들이 물건을 사는 방식이 경제·환경적 현실 의 변화에 따라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다는 것이다. 인터넷의 발달은 소비자들이 제 품을 다양한 방식으로 구매할 수 있게 해 주었다. 한편 소셜미디어·팝업스토어·인 터넷지원구독프로그램 등을 통한 판매는 새로운 쇼핑 방법이 되고 있다.

‘건강한 생활’의 관점은 비만 및 식품감수성에 대한 우려와 질병 감염이 늘어나 면서 건강한 생활방식이 삶의 표준방식이 되고 있다는 것이다. 소비자들은 신체 적 건강뿐 아니라 영적·정신적 건강을 포괄하는 총체적인 접근 방식을 보이고 있 다. 건강과 웰빙에 대한 지속적인 집중은 헬스케어, 영양, 미용, 육체적 활동 및 자 기개선에 대한 태도의 발전으로 이어지고 있다.

‘연결된 소비자’의 관점에 보면, 소비자들은 디지털 콘텐츠를 경험하고 상호작 용하기 위해 인터넷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연결된 영역은 쇼핑·교육·예능·조사·

서비스접근 등 다양하다. 소비자들은 생활·일·쇼핑·놀이 방식의 변화를 경험하고 있다.

1.2.3. 식품 유통에 영향을 줄 트렌드6)

코로나 이후의 변화를 고려한 식품 유통과 관련된 6대 트렌드 키워드를 살펴보 면 투명성, 단순화, 개인화, 프리미엄화, 지속가능성, 피지털화로 요약할 수 있다.

첫 번째 트렌트는 ‘투명성’이다. 최근 IT 기술의 발달로 인해 이제 소비자들은

6) 이 절의 내용은 식품음료신문(2017. 12. 27.) “[마켓트렌드] 2018 미국 식품트렌드.”의 내용을 요 약한 것이다. 2018년에 예상된 식품유통 트렌드이지만, 기술진보와 더불어 코로나19 이후 더욱 부 각될 것으로 예상된다.

언제든지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되었다. 이전까지는 식품소비 시 식 품의 가격, 식품의 품질 등에 중점을 두고 구매를 했다면, 최근에는 사고자 하는 식 품이 어디서 왔고, 어떤 재료로 만들어졌으며, 어떤 방식으로 만들어졌는지, 또 식 품은 어떤 과정을 거쳐 유통되었는지 등 식품의 생산에서부터 판매까지 모든 과정 에 대해 관심을 가지며 구매를 결정하게 되었다.

두 번째 트렌드는 ‘단순화’이다. IT 및 인터넷 거래의 발달로 인해 소비자는 이 제 이전보다 훨씬 다양한 경로를 통해 식품을 구매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다양 해진 식품 접근 환경에서 식품 판매 종사자는 소비자의 관심을 얻고, 선호를 얻기 위해서는 단순성을 유지하고, 소비자와 판매자가 직접 간결히 소통하는 것에서부 터 시작해야 할 것이다.

세 번째 트렌드는 ‘개인화’인데, 소비자들은 과거 베스트셀러, 유명한 브랜드 경험을 선호했다면 이제는 개인화된 브랜드 경험을 원하고 있다. 이러한 소비자 의 개인화에 대한 니즈를 공략하는 업체들은 식품업계에서의 개인화뿐만 아니라 식품의 제조, 마케팅, 유통, 판매 등의 전 과정에 걸쳐 개인화를 추구하기 위한 노 력을 기울이고 있다.

네 번째 트렌드는 ‘프리미엄화’이다. 소비자들은 간편한 것을 선호하고 저비용 으로 식품을 구입할 수 있기를 원하지만 이와 함께 좋은 품질을 가지고 깨끗하게 관리된 식품 구입을 원한다. 빠르게 반응하고 있는 식품 유통업체와 신규 진입자 는 이러한 소비자의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이에 맞추어 기존의

네 번째 트렌드는 ‘프리미엄화’이다. 소비자들은 간편한 것을 선호하고 저비용 으로 식품을 구입할 수 있기를 원하지만 이와 함께 좋은 품질을 가지고 깨끗하게 관리된 식품 구입을 원한다. 빠르게 반응하고 있는 식품 유통업체와 신규 진입자 는 이러한 소비자의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이에 맞추어 기존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