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4.1. 연구 범위

이 연구에서 수출유망시장은 최근의 수출 비중, 수출 증가율, 수출유망 국가에 대한 수출업체의 조사결과 등을 고려하여 러시아 시장으로 설정하 였다. 러시아 지역도 전체적으로 조사, 분석하기에는 시간적, 경제적 제약 이 따르며, 신선농산물 수출도 한국과 지리적으로 가까운 극동 러시아 지

태 조사와 수출확대 방안 도출에 대한 대상지역은 극동러시아로 범위를 좁 혀 접근하였다.

분석대상 품목은 신선농산물 중심으로 접근하였다. 품목부류를 과실류, 과채류, 채소류, 화훼류, 김치로 구분하여 시장진출의 애로사항, 수출시장 에서의 인지도 및 선호도, 가격 및 품질경쟁력 등을 분석하였다.

수출절차별 조사내용 범위로는 수출농가 및 단지관리, 수출물량 수집단 계, 선별․포장․상품화, 가공, 마케팅, 홍보․판촉에 관한 절차를 설정하 여 세부항목들을 포함시켰다.

수출증대를 위한 기능적인 측면에서는 가격․품질 경쟁력 제고, 수출상 품의 안전성 제고, 수확후 관리기술 개선, 물류시설 및 비용절감, 검역 및 통관제도, 유통채널 진입 및 정착에 관한 내용으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4.2. 조사 및 분석 방법

극동러시아 수출시장의 진출여건과 한국 농산물 수출실태, 수출농산물 유통경로, 수입 및 판매 애로사항 및 개선사항 등에 대해서는 극동러시아 에서 운영되고 있는 47개의 농산물 수입업체, 대형판매업체, 도매시장 및 소매점, 해외공관 등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와 면접조사 결과에 근거 하였다. 국내 수출업체 조사는 극동러시아 수출 경험이 있는 수출업체 10 개를 대상으로 조사, 분석하였다. 극동러시아 소비자들의 농산물 구입행태 분석은 농수산물유통공사에서 블라디보스톡 소비자 150명에 대해 조사한 결과를 기초로 작성하였다.

수출시장 실태 분석에서 가격경쟁력 분석은 극동러시아에서 농산물 수 입업체로 활동하고 있는 전문가의 면담・설문조사에 의한 수입업체의 통관 가격, 대형판매점 판매가격 조사자료, 소매시장 판매가격 자료 등을 취합 하여 상대적 크기 등을 자료 간에 비교, 검증하는 과정을 거쳤다.

품질경쟁력 분석은 과일류 품목에 대해서 현지에서 실시한 국가별・품목

별 당도측정 자료와 국내의 당도측정 자료 등을 비교, 분석하였다.

수출 사례 분석은 국내 수출업체, 극동러시아 수입업체, 관련기관 등에 대한 조사내용과 문헌 사례 등을 조사하여 정리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4.3. 연구 추진체계

1. 농업 개황

1.1. 경제현황

3

러시아는 세계 최대 국토면적에 풍부한 천연자원, 과학기술력, 양질의 노동력을 바탕으로 성장 잠재력이 높은 나라이다. 최근 수년 동안 경제가 빠르게 성장하는 이유는 비싼 자원가격에 있다. 러시아는 세계 최대의 가 스 생산국이며, 세계 2위의 산유국이기 때문에 비싼 에너지 가격의 최대 수혜국이다.

인구는 약 1억 4,300만 명으로 소비지 시장으로서는 큰 시장이지만 1인 당 GDP가 6,900달러로 소득 수준이 낮아 소비가 활발하지 않다. 한편, 지 역 간 소득 차이가 있어 소비 수준은 지역 간에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정치, 상업 및 금융 중심지인 모스크바 및 세인트페테르부르크 시 등과 주요 수송 허브 지역, 석유를 생산하는 지역은 소비가 활발하다. 하지만, 시베리아나 극동 지역은 소득이 낮아 소비가 낮은 실정이다.

3 농수산물유통공사, “러시아 농식품 산업동향”(2008. 6.), 한국 수출입은행 해외 경제연구소 “러시아 국가신용도 평가 리포트”(2007. 10.) 정리.

러시아는 1991년 구소련 체제가 붕괴된 이후 1998년에 금융 위기로 인 해 심각한 경제위기에 직면하기도 하였으나, 루블화의 약세에 힘입은 국제 경쟁력 회복과 국제유가 상승으로 2000년부터 높은 경제 성장세를 이루고 있다.

표 2-1. 러시아 일반개황

면 적 17,075 천㎢ GDP 9,846억 달러 인 구 143.2 백만 명 1인당 GDP 6,878 달러

정치체제 대통령 중심제 통화단위 Rubel(RUB)

대외정책 강대국의 지위회복에 주력 환율(달러당) 26.78 주: 인구, GDP, 1인당 GDP는 2006년 기준, 환율은 2006년말 기준임.

자료: 한국 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 「러시아 국가신용도 평가 리포트」. 2007. 10.

러시아 경제 성장의 주 원동력은 국제 석유가격의 폭등에 있다. 가스 및 석유 수출이 급격하게 증가한 결과 무역 수지 흑자가 2000년에 600억 달 러에서 2005년에는 1,200억 달러로 두 배 이상 증가하였다.

표 2-2. 러시아의 주요 경제지표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GDP 성장률(%) 5.1 4.7 7.3 7.1 6.4 6.5

실업률(%) 8.7 7.9 8.4 7.1 7.6 7.1

소비자물가 상승률(%) 19.0 15.1 12.0 11.7 12.7 7.2 GDP 대비 재정수지(%) 3.1 1.7 2.4 4.4 7.5 8.7 외환보유고(억 달러) 366 477 769 1,246 1,822 2,691 외채(억 달러) 1,434 1,497 1,654 2,114 2,585 501 FDI(억 달러) 39.8 40.0 67.8 94.2 167.0 353.0 루블/달러 환율 29.15 30.96 30.96 28.81 28.28 26.78 주: 실업률, 물가, 재정수지, FDI(Foreign Direct Investment)는 '06년 9월, 외채는 10월 1

일, 외환보유고와 환율은 11월 2일 기준임.

자료: 농수산물유통공사 무역정보. Goskomstat(러시아통계위원회), CBR(러시아중앙은 행), IMF.

년에는 최초로 한자리 수인 7.2%를 기록하여 이후 안정세를 보이고 있다.

외환보유액은 2001년 이후 빠르게 늘어나면서 2006년 2,691억 달러에 이 르러 경제가 안정화되고 있다.

1.2. 농업현황

4

1.2.1. 농업여건

러시아는 기후 및 토양조건이 농업에 불리한 조건이며, 농지는 전국토의 13%에 불과한 실정이다. 농업 활동은 러시아연방 중에서 유럽지역, 북서 부, 남부, 볼가 및 (부분적으로) 우랄 산맥 연방 관구에 집중되어 있고, 시 베리아 및 극동 지역은 기후 조건이 좋지 않아 상대적으로 외딴 지역에 속 한다.

그러나 우리나라 입장에서 볼 때 극동러시아는 매우 중요한 지역이다.

우리나라에서 연해주의 블라디보스톡까지 선박으로 1~2일 정도 밖에 소 요되지 않기 때문에 러시아 수출시장의 관문지역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 성이 크다.

러시아 경제에서 농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상대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러 시아의 GDP 중에서 농업부문 비중은 1997년 7.2%에서 2005년 6.0%로 줄 었다. 농업부문의 취업률도 1997년에 13.3%에서 2005년에는 7.1%로 감소 하였다.

4 농수산물유통공사, “러시아 농식품 산업동향”(2008. 6.); 한국 수출입은행 해외 경제연구소, “러시아 국가신용도 평가 리포트”(2007. 10.) 내용을 요약․정리함.

표 2-3. 러시아 농업부문의 주요 경제수치

단위: 10억 RUB, % 1997 1998 1999 2001 2003 2005 농업 총 생산량 309.2 304.4 606.1 962.6 1,134.5 1,501 GDP에 대한 농업의 기여도 7.2 6.5 7.4 6.6 6.2 6.0

농업의 취업률 13.3 13.7 13.3 12.3 11 7.1

자료: 농수산물유통공사, 「러시아 농식품 산업동향」, 2008. 6.

1.2.2. 농업구조

러시아의 농업구조는 1990년대 초에 정치․경제적 변화를 겪으면서 시 장지향적인 경제자유화 정책 채택의 영향을 받았다. 경제 자유화는 국영기 업의 급속한 사유화를 의미한다. 하지만 농업부문은 다른 부문에 비해 미 미하지만 국가가 아직 소유권을 가지고 있기도 하다.

러시아의 농업생산 형태는 다양하며, 그 중에서 중요한 집단인 대형농장 이 24,000여개가 있다. 이 농장들의 기원은 기존의 협동 및 국가농장이다.

이 농장들의 평균 재배면적은 600ha이며 150명 정도를 고용하고 있다. 이 농장의 법적인 형태는 농업협동조합, 공영유한회사 및 합자회사 등으로 다 양하다.

다음으로 중요한 농업생산 집단은 농업지주회사로 국가 소유의 대형농 장과 다른 형태의 대규모 농장이며 약 3,000개가 있다. 농업지주회사의 평 균 경영규모는 50,000ha이며, 200,000ha 이상의 농지를 가진 회사들도 있 다. 이는 전체 농지의 5%를 차지하고 있다. 이들 회사에서 곡물 및 종자 생산에 이어 가금, 돼지고기 생산량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이런 회사 는 새로운 농장 운영, 관리방식을 통합하고, 기술・이윤 지향적이고, 공격적 인 강력한 시장 행위를 한다는 점에서 전통적인 농장 기업과 구분된다.

소형규모의 농장은 평균적으로 60명의 근로자와 260ha 토지를 소유하고 있으며 약 30,000곳 정도이다. 이런 농장들이 소유하고 있는 토지는 780만 ha로 전체 농지의 4%를 차지하고 있다.

의 토지를 소유하고 있다. 평균적으로 약 2ha 정도의 토지를 이용하며 전

1970년대에는 집단 농장이 98%를 차지하였으나, 점차 소작농 또는 자 영농으로 전환되고 있다. 2005년에는 집단농장이 78%, 소작농과 자영농 이 각각 11%를 차지하고 있다. 농지의 사유화로 인해 자영농의 비중이 증가하고 있다.

농업생산액 구성은 농기업의 경우 토지는 전체의 78%를 차지함에도 불 구하고 생산액은 41%로 낮고, 자영농은 토지는 11%이나 생산액은 53%를 차지하여 농기업에 비해 자영농의 토지생산성 등이 높음을 보여준다.

표 2-6. 러시아 영농형태별 농업 생산 구성비(가격기준)

단위: %

농기업 자영농 소작농

2002 2005 2002 2005 2002 2005 러시아 연방 39.8 41.2 56.5 53.1 3.7 5.7

중앙 연방 관구 41.2 46.2 56.9 50.6 1.9 3.2 서북 연방 관구 46.3 48.1 51.6 49.9 2.1 2 남부 연방 관구 43.4 40.9 49.5 48.2 7.1 10.9 프리볼시키 연방 관구 38.9 39.8 58.2 55.4 2.9 4.8

우랄 연방 관구 40.1 39.6 57 57 2.9 3.4 시베리아 연방 관구 35.4 38.1 60.8 57 3.8 4.9 극동 연방 관구 25.4 27.2 68.1 63.6 6.5 9.2 자료: 농수산물유통공사, 「러시아 농업통계」, 2007.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