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먼저, 지역특화농산업의 이론적 검토에서는 지역특화농산업 관련 선행 연구 검토 및 지역특화농산업 육성 관련 정책자료 검토를 실시하였다. 중 앙정부, 시·도, 시·군단위 지역특화농산업 육성현황를 살펴보았다.

둘째, 지방자치단체 5개 지역의 사례에 대한 지역특화농산업 육성실태 평가를 실시하였다. 사례지구는 생산·유통형(2개소)으로서 성주 참외, 논산 딸기, 가공형(3개소)으로서 문경 오미자, 고창 복분자, 순창 장류의 5개 지 구다. 5개 지구 중 2개 지구는 직접조사가 이루어졌고, 3개 지구는 해당 지 역발전연구원의 원고위탁으로 추진되었다.

셋째, 5개 사례지구에 대한 지역특화 농산업 참여 농업인을 대상으로 한 참여 실태 및 의견에 대한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5개 시·군 지역특화농 산업 관련 농업인 150호 면접·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경영성과 및 네트 워크 실태를 주로 질문하였다.

넷째, 외국 사례분석으로서 일본 쿠마모토현 푸드밸리 육성사례에 대한 현지 실태조사를 실시하였다. 일본 1개 지역 사례이고, 우리나라 지자체와 공간적 범위가 달라 부록에서 소개하되, 준용할 수 있는 시사점을 활용하 였다.

다섯째, 사례지구 원고위탁 연구진과 지역특화농산업 발전방안에 대한 연구협의회를 실시하였다. 연구협의회를 통해 개진된 의견을 연구에 반영 하도록 하였다.

지역특화농산업의 이론적 검토

지역특화농산업

추진실태 분석 국내·외 사례조사

연구협의회 전문가·사례조사 지구

지역특화농산업 발전방안

그림 1-1. 연구추진체계도

1. 지역특화농산업의 개념과 효과

산업자원부가 발표한 ‘지역특화산업 육성 기본계획안(1995년)’에 따르면 지역특화산업이란 지역적인 기업집단을 형성, 지역의 특성을 갖는 산업으 로 그 지역에 부존하는 자원을 활용하여 제품을 역외지역으로 생산·판매하 는 산업이라 정의하고 있다.

그리고 지역특화산업 선정기준을 보면,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하는 것 은 타 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비교우위에 있는 산업이 특화산업으로 선정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즉, 지역의 특화산업은 지역경제의 성장을 견인할 수 있는 산업을 의미한다. 우선 지역의 입지적·경제적 여건에서 전국적으로 타 지역에 비해 경쟁력이 있는 산업으로서, 생산비나 생산성 측면의 효율성 이 있으며, 지역 내의 다른 산업에 비해 파급효과가 큰 산업으로서 장기적으 로 지역 내 기반이 되는 산업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지역특화산업’은 지역 내의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여 지역의 특 성을 살림으로써 독자성, 차별성, 경쟁력 등을 갖춘 산업이거나, 지역자본, 지역자원, 지역기술에 대한 의존성이 높아 지역개발에 대한 파급효과가 크 고 실질적으로 지역에 특화된 현대적 의미의 산업이라고 정의될 수 있다. (유영심 2009).

이와 같이 볼 때, 지역특화농산업이란 지역 농업·농촌자원의 독자성, 차 별성을 바탕으로 일정지역의 농산업이 다른 지역 농산업과 대비하여 비교

우위를 점할 수 있는 농산업 또는 지역자본, 지역자원, 지역기술에 대한 의 존성이 높아 지역개발에 대한 파급효과 큰 농산업으로 정의할 수 있다.

특히, 지방자치제의 실시와 함께 농정의 자율성이 강화되면서, 지역의 독창적인 농정을 꾀하게 되고 관리론적 지역농업에 대한 논의가 이슈화 되 었다. 지역농업을 하나의 경영단위라는 인식하에 지역의 농산업에 대한 전 략적 접근으로서 지역을 공간적 단위로 하여 지역에 특화된 농업생산부문 을 생산과 가치사슬 체계하의 2차산업 및 3차산업 부문과 융·복합화하여 하나의 산업으로 묶어 경쟁력을 확보하자는 전략이다. 이러한 특화농산업 화 전략은 농업부문에 지역혁신체계(RIS) 및 클러스터 개념이 도입되면서 비롯되었다.

정책적으로는 농림부의 『농업·농촌 종합대책』(2004.2.23)에서 농업의 새 로운 성장 동력 확충의 일환으로 농업혁신을 주도할 기술개발 촉진 계획과 관련된다. 산·학·연을 연계한 지역농업 육성방안을 제시하고, 지역에 특화 된 작목을 중심으로 산·학 연이 합심하여 지역특산단지 또는 품목별 생산 조직 중에 선도적인 형태를 혁신 클러스터의 개념에 입각하여 육성하게 되 었다.

최근 농림축산식품부의 핵심과제로 추진 중인 ‘6차산업화’의 논의도 지역 의 특화농산업의 육성의 일환으로 산업구조 및 성장단계론적 접근방식을 도 입하여 부가가치가 낮은 1차부문(농업생산)에 2차(가공), 3차(유통·서비스)부 문을 도입하여 부가가치를 높임으로써 지역특화 농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 는 전략이라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볼 때, 지역특화농산업 육성의 1차적인 효과는 지역의 자연 적·사회·경제적 입지 조건에 특화된 농산업부문에 대하여 선택과 집중을 통하여 농촌지역 핵심자원의 잠재력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점이라 할 수 있다. 지역특화농산업의 효과를 경제적 측면과 사회·문화적 측면으로 구 분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경제적 효과 측면에서는 첫째, 특정 농업부문의 선택적 육성을 통하여 규모화·집적화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는 점이다. 지역 내 동종 내지 관련 사업체가 집중됨으로써 이들 간의 기술 및 정보의 교류 및 네트워크의 활

성화를 이끌어낼 수 있다. 또한 정보·기술습득 및 시장의 공동대응을 함으 로써 지역 전체 자원이용의 효율성과 산업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다는 점 이다.

둘째, 특정 농업부문 규모화·집적화는 지역 내 산업 간의 연관효과 증진 과 지역의 경제 활동을 활성화시킴으로써 관련 산업의 발전 등 파급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이에 따라 고용의 증대 및 지역경제의 활성화를 가져 올 수 있다는 점이다. 셋째, 산업 내부의 협력과 경쟁을 통한 기술혁신을 유도하 고 나아가 신 산업 형성을 통하여 산업의 발전을 유도할 수 있다는 점이다. 문화 및 사회적 측면에서는 첫째, 지역특화산업은 지역 내 산업 종사자 간의 빈번한 교류와 협력을 통하여 지역문화를 창조하고, 구성원의 연대의 식을 강화시킬 수 있다. 둘째, 지역의 식생활, 역사·문화적 유산과 결합하여 관광 상품화함으로써 농촌지역의 관광산업과의 연계가 가능하다는 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