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 제 1가설 : 아카데미 토론학습기반 간호윤리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도덕적 민감성 점수가 높을 것이다.

대상자의 도덕적 민감성 사전 점수를 공변인으로 통제한 후 실험군과 대 조군의 도덕적 민감성 사후 점수를 비교한 결과 실험군은 5.16점(±0.36)으로 대 조군 5.13점(±0.47) 보다 높았으나 점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 로 나타나(F=0.02, p=.884) 제 1가설 ‘아카데미 토론학습기반 간호윤리교육프로 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도덕적 민감성 점수가 높을 것이다.’는 기각되었다<표 7>.

*공변인 : 도덕적 민감성 사전점수

2. 제 2가설 : 아카데미 토론학습기반 간호윤리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도덕 판단력 점수가 높을 것이다.

2-1 부가설 : 아카데미 토론학습기반 간호윤리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P점수가 높을 것이다.

대상자의 P점수 사전 점수를 공변인으로 통제한 후 실험군과 대조군의 P 점수의 점수차이를 비교한 결과 실험군 44.33점(±10.95)으로 대조군 37.01점 (±11.41) 보다 높았으나 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하였다(F=2.94, p=.091).

2-1 부가설 ‘아카데미 토론학습기반 간호윤리교육프로그램을 수강한 실험군은 수강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P점수가 높을 것이다.’는 기각되었다<표 8>.

2-2 부가설: 아카데미 토론학습기반 간호윤리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4수준 점수가 높을 것이다.

대상자의 4수준 사전 점수를 공변인으로 통제한 후 실험군과 대조군의 4 수준의 점수차이를 비교한 결과 실험군 17.66(±6.84)으로, 대조군17.83점(±6.32) 보다 증가하였으나 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F=0.05, p=.833).

2-2부가설 ‘아카데미 토론학습기반 간호윤리교육프로그램을 수강한 실험군은 수강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4수준 점수가 높을 것이다.’는 기각되었다<표 8>.

변수 그룹

사전점수

F* P Partial eta²

사후점수 조정된 점수

M SD M SD M SE

P 점수 실험군

(n=35)

41.24 11.70 2.94 .091 .046 44.33 10.95 42.46 1.23

대조군 (n=29)

35.75 11.02 37.01 11.41 39.27 1.36

4 수준 점수 실험군 (n=35)

16.66 6.43 0.05 .833 .001 17.66 6.84 17.88 1.02

대조군 (n=29)

17.72 5.52 17.83 6.32 17.56 1.12

표 8. 도덕 판단력의 공분산분석 결과 (N=64)

*공변인 : P점수 사전점수, 4수준 사전 점수

3. 제 3가설 : 아카데미 토론학습기반 간호윤리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윤리적 의사결정 점수가 높을 것이다.

3-1 부가설 : 아카데미 토론학습기반 간호윤리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이상적 판단 점수가 높을 것이다.

대상자의 사전 이상적 판단 점수를 공변인으로 통제한 후 실험군과 대조 군의 이상적 판단 점수차이를 비교한 결과 이상적 판단점수는 실험군 0.77점 (±0.07)으로 대조군 0.72점(±0.08)보다 높았으며 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 다(F=5.96, p=.018). 3-1 부가설 ‘아카데미 토론학습기반 간호윤리교육프로그램 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이상적 판단 점수가 높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표 9>.

3-2 부가설 : 아카데미 토론학습기반 간호윤리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 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현실적 판단 점수가 높을 것이다.

대상자의 사전 현실적 판단 점수를 공변인으로 통제한 후 실험군과 대조 군의 현실적 판단 점수차이를 비교한 결과 현실적 판단점수는 실험군 0.71점 (±0.08)으로 대조군 0.65점(±0.07)보다 높았으며 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 다(F=6.00, p=.017). 3-2 부가설 ‘아카데미 토론학습기반 간호윤리교육프로그램 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현실적 판단 점수가 높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표 9>.

변수 그룹 사전점수

F* P Partial eta²

사후점수 조정된

점수

M SD M SD M SE

이상적 판단 실험군 (n=35)

0.77 0.08 5.96 .018 .089 0.77 0.07 0.76 0.01

대조군 (n=29)

0.75 0.09 0.72 0.08 0.72 0.01

현실적 판단 실험군 (n=35)

0.67 0.10 6.00 .017 .089 0.71 0.08 0.70 0.01

대조군 (n=29)

0.67 0.99 0.65 0.07 0.66 0.01

표 9. 윤리적 의사결정의 공분산분석 결과 (N=64)

*공변인 : 이상적 판단 사전점수, 현실적 판단 사전 점수

변수 실험군(n=35) 대조군(n=29)

t p

M±SD M±SD

학습만족도 4.38±0.41 4.24±0.43 1.29 .204

표 10. 실험군과 대조군의 학습 만족도 (N=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