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연구의 의의 및 기대효과

문서에서 녹색국토․도시연구부문 (페이지 127-132)

본 연구는 기존 연구에서 다루지 않았던 취약계층 개인과 그들이 밀집하여 거주 하고 있는 지역에 대한 보다 심층적이고 계량적인 분석을 통하여 통상적으로 알려 져 있는 문제점과 인식을 검증할 수 있었던 계기를 제공하였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

취약계층이 어디에 모여 살며 그들이 밀집한 지역에는 어떠한 문제가 발생하는지, 문제를 악화시키는 요인은 무엇이며 이의 해결을 위해서는 어떠한 도시재생정책이 필요한지 등의 사안을 다각적인 방법을 통해 모색하였다. 심층적인 이론 검토를 통 하여 분석의 이론적 틀을 견고히 하였으며, 여러 도구를 통하여 취약계층 밀집지역 을 유형화 하고, 사례지역에서의 심층면담 및 설문조사를 통하여 이를 검증하고 유 형별 차이점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네 가지 유형은 5개 시 11개 동에 대한 분석이므로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나 유형화를 위해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이는 추후 보다 다양한 지역의 분석에도 적용 가능할 것 으로 기대한다.

또한 기존에 심증적으로만 지적되던 취약계층 밀집지역의 내부적 요인 및 외부적 환경요인을 다각적인 접근을 통하여, 계량적으로도 입증해보였다는 것의 의의가 크다.

이 결과를 향후 관련 정책제안 및 심층연구를 위한 기초연구로 활용하여, 본 연구의 정책 방향을 보다 발전시킨 새로운 법제도 도입 또는 현재의 법제도에 대한 구체적인 개선안을 도출하는 연구가 가능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현재 소규모의 시범사업 위 주로 진행되고 있는 여러 도시재생정책들의 성과를 모니터링하고, 각 정책의 장단점을 파악하여, 보다 구체적인 정책적용 전략을 제시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참고문헌>

[ 국문 자료 ]

강상진. 1998. 교육 및 사회연구를 위한 연구방법으로서 다층모형과 전통적 선형모형 의 비교분석연구 . 교육평가연구 11(1):207-258.

곽현근. 2007. 지역사회 사회자본에 미치는 동네효과에 관한 연구 . 지방정부연구 제 11권 제4호(2007겨울) :59-86.

국가인권위원회. 2003. 사회적 배제의 관점에서 본 빈곤층 실태 연구 . 김안나 외. 2005. 2005 빈곤통계연보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김안나 외. 2008. 사회통합을 위한 사회적 배제계층 지원방안 연구 - 사회적 배제의 역동성 및 다차원성 분석을 중심으로 . 보건사회연구원.

김윤이. 2004. 주민을 중시한 사회통합형 주거지 정비에 관한 연구 . 도시와 빈곤.

김준용․박병호. 2009. 복합쇠퇴지수를 활용한 지방도시 분석 . 한국지역개발학회지.

Vol.21, No.4.

김현신. 2009. 저소득층을 위한 다가구매입임대주택의 주거복지만족도와 개선방안 연 구 .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도시재생사업단. 2008. 도시쇠퇴 실태조사 및 해외 도시재생시스템 조사 분석 - 제1권.

도시쇠퇴/잠재력 진단지표 및 기법연구 .

레이첼 페인 외. 2008. 사회지리학의 이해 . 푸른 길.

민범식․이영아. 2001. 기성시가지 정비방안 . 국토연구원.

박순진. 2010. 도시의 범죄발생 실태 . 도시문제. 제45권 503호. pp.12-16.

박찬임․박성재. 2007. 취약계층 고용서비스 이용실태 및 서비스 강화방안 . 한국노동 연구원.

박천보․오덕성. 2004. 해외도심재생의 정책 및 제도에 관한 연구 . 국토계획. 제39권 5호.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배순석 외. 2006. 도시 주거공간의 사회통합 실현방안 연구 . 국토연구원.

배순석 외. 2008. 서민 주거복지 확대정책의 평가와 향후 정책방향 . 국토연구원.

배웅규 외. 2009. 사회적 재정비를 위한 거점확산형 주거환경개선사업 도입방안 . 보건복지가족부. 2009. 2008년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자 현황 .

서수정 외. 2009. 기성시가지 공간관리수요변화에 대응하는 정비방법 다양화 방안 . 건축도시공간연구소.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7. 뉴타운사업에 따른 원주민 재정착률 제고방안 . 서울특별시.

양도식. 2010. e-interview: 마이클 파킨슨: 영국의 지방도시 재생사업 전략과 과제 . 국토 (2010-04). pp.77-97.

양재섭․김영환․김정원. 2007. 영국의 도시재생 추진기구와 지원제도에 관한 연구 . 국토계획. 제42권 제5호. pp.129-143.

양재섭․장남종. 2007. 국내 도시재생사업의 추진동향과 과제 - 서울, 인천, 대전을 중 심으로 . 국토:v.305 (2007-03).

유정진. 2006. 위계적 선형모형의 이해와 활용 . 아동학회지 제27권 3호(2006:169-187).

이민령. 2009. 영국과 한국의 도시재생사업 비교연구 .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성우 외. 2006. 공간계량모형응용 . 박영사.

이영아. 2009. 영국의 사회경제적 도시재생정책의 현황과 평가 . 한국사진지리학회지.

제 19권 3호.

이영아. 2010. 영국의 사회경제적 도시재생: 맨체스터 사례 . 국토 (2010-10). pp.60-67.

이왕건 외. 2009. 뉴타운사업의 합리적 추진방안 연구 . 국토연구원.

이재원. 2009. 포괄보조 방식을 통한 분권지향적 국고보조금 운용 과제 . 한국지방재 정논집 제14권 제1호(2009-04). pp.57~89.

이현주 외. 2006. 우리나라 빈곤실태와 정책적 함의 - 구조 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보 건사회연구원.

이현주 외. 2008. 2006년 차상위계층 실태분석 및 정책제안 .

임은선 외. 2009. 도시재생사업에 따른 저소득층의 이주패턴 및 정착방안 연구 . 국토 연구원.

임창호. 1989. 도시빈곤층 대책에 관한 연구 . 국토연구원.

장성수 외. 2008. 사회적 약자를 위한 주택 공급정책 방향 . 주택도시연구원.

장영희. 2005. 가구특성별 주거복지정책 연계체계 구축 방안 .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전기호. 2008. 서울시 주거복지정책에 대한 연구 .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정인철. 2007. 도시정책논리에 의한 사회공간적 배제 : 플아스 ZUS를 사례로 . 대한지 리학회지 제 43권 제1호. 63-81.

진정수 외. 2009. 저소득․서민의 주거안정망 구축을 위한 기초연구 . 국토연구원.

채성주. 2007. 지방도시 주거서비스 특성과 격차에 관한 연구 . 충북개발연구원.

최막중․윤세형. 2009. 영국의 통합재생예산(SRB)에 의한 도시재생 특성 . 국토계획.

제44권 제3호. pp.39-56.

한국도시설계학회. 2005. 서울시 뉴타운사업 효율적 참여방안 연구 . 대한주택공사.

한국도시연구소. 2009. 도시재개발사업의 합리적 추진방안 . 국회입법조사처 연구용역 보고서.

한국도시연구소. 2004. 사회적 배제의 관점에서 본 빈곤층 실태 연구 . 국가인권위원회.

현무준. 2008. 민간임대주택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제도권 민간매입임대주택을 중심으로 . 명지대학교 부동산학과 석사학위논문.

[ 영문 자료 ]

Buck, N., 2001, Identifying Neighbourhood Effects on Social Exclusion, Urban Studies 38(12), pp.2251-2275

Communities and Local Government, 2007, The English Indices of Deprivation 2007 GAO. 2006. 「Community Development Block Grants: Program Offers Recipients

Flecibility but Oversight Can Be Improved」. GAO-06-732. 2006.

Hebert, Scott, et. al. 2001. 「Interim Assessment of the Empowerment Zones and Enterprise Communities(EZ/EC) Program: A Progress Report」. Washington, D.C.: U.S. Department of Housing and Urban Development.

Johnston, R.J., Gregory, D. Pratt, G. Watts, M. (eds), 2000, The Dictionary of Human Geography, 4th Edition, Blackwell, Oxford

Kreft, I., & de Leeuw, J. (1998). Introducing multilevel modeling. London: Sage.

Levitas, R., 2006, 'The Concept and Measurement of Social Exclusion', edited by C.

Pantazis, D. Gordon and R. Levitas Poverty and Social Exclusion in Britain, Policy Press, Bristol

Lucy. W.H. and Phillips, D.L., 2001, Suburbs and the Census: Patterns of Growth

and Decline, The Brookings Institution, Survey Series

Lupton, R., 2003, Neighbourhood Effects: Can we measure them and does it matter?, CASE paper 73, London School of Economics, London

Manchester City Council, 2008, Manchester's Local Area Agreement.

Manchester Partnership et al., 2006, The Manchester Way: Manchester's Community Strategy 2006~2015.

Office of the Deputy Prime Minister, 2005, Sustainable Communities: People, Places and Prosperity

Power, A., K. Mumford, 1999, The Slow Death of Great Cities? Urban Abandonment or Urban Renaissance, Joseph Rowntree Foundation, York

Smith, I., E. Lepine and M. Taylor, 2007, Disadvantaged by where you live? Policy Press, Bristol

Snijders & Bosker(2002: 38-84), Multilevel Analysis: An Introduction to Basic and Advanced Multilevel Modeling. London: Sage Publications

Urban Task Force, 1999, Towards an Urban Renaissance: final report of the Urban Task Force

Wilson, W.J. 1987. The Truly Disadvantaged: The Inner City, the Underclass and Public Policy. Chicago, IL: University of Chicago Press.

[ 인터넷 자료 ]

国土交通省 http://www.mlit.go.jp

寝屋川市 http://www.city.neyagawa.osaka.jp

住まいの情報発信局 http://www.sumai-info.jp/machi/missyu/jirei3.html 2010まちづくりステーション, 株)タカハ都市科学研究所 http://udit.co.jp 京都大學防災硏究所 巨大災害硏究センタ http://inpaku.dpri.kyoto-u.ac.jp 도시포털 홈페이지 http://www.city.go.kr

미국 주택도시개발부 홈페이지 http://www.hud.gov 서울시클린업시스템 http://cleanup.seoul.go.kr

문서에서 녹색국토․도시연구부문 (페이지 127-1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