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연구의 방법

문서에서 녹색국토․도시연구부문 (페이지 98-101)

본 연구는 기존 도시재생사업지구를 넘어 취약계층이 밀집하여 거주하고 있는 지 역에 대한 물리적․사회적․경제적 특성 및 문제점 분석을 통해 기존 도시재생정책 의 개선방안을 모색하고 새로운 도시재생 정책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취약계층 밀집지역을 파악하고, 이러한 지역에서 지역차원의 문제가 발생하는지, 발 생한다면 그 내용은 무엇인지, 문제를 악화시키는 주요한 요인이 있는지의 연구 질 문을 탐구하고자 한다. 또한 취약계층 밀집지역에서 나타나고 있는 부정적 요인을 없애거나 최소화하고, 긍정적 요인을 높이기 위해 도시재생정책은 어떤 방향으로 개 선되어야 하는가를 다루고자 한다.

2. 연구범위 및 방법 1) 공간적 범위

본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특정한 연유로 경제적 취약계층인 빈곤층이 ‘밀집하여 거주’하고 있음으로 인해 지역주민의 생활에 영향을 미친다고 판단되는 곳으로 기존 도 시재생사업이 계획 혹은 시행 중인 경우도 포함될 수 있으며, 정책에 의해 인위적으로 형성된 취약계층 밀집지역인 임대아파트 단지도 포함한다.

2) 연구의 방법

(1) 문헌조사 및 전문가 자문을 통한 분석틀 선정

취약계층 및 통합적 도시재생에 관한 개념적 논의 개발을 위하여 관련 이론과 함께, 빈곤의 원인이 되는 외부적 환경(사회적 배제, Social Exclusion)은 어떻게 작용하고 있는 지, 혹은 내부적 요인(동네효과, Neighbourhood Effects)이 나타나고 있는지 등에 대한 분 석에 필요한 기존 문헌을 검토하였다. 또한 취약계층 밀집지역에서 나타날 수 있는 사회 적 배제의 유형 및 동네효과, 지역 내 커뮤니티 등 지역쇠퇴의 특징 분석을 위하여 여러 차례 전문가 자문회의를 개최하여 빈곤층 밀집지역에 대한 분석틀 설정 및 심층면담 조 사를 위한 토픽가이드(Topic Guide)에 반영하였다.

(2) 통계지표를 활용한 취약계층 밀집 사례지역 선정 및 유형화

취약계층의 분포를 검토하기 위하여 인구주택총조사,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 현황, 최저주거기준 등 통계청, 보건복지가족부, 국토해양부 등의 공개된 통계자료를 활용하여 1차적으로 시군구 단위로 지역을 도출하였다. 선정된 시군구 지역에 대해 읍면동 단위 행정데이터를 활용하여 2차 분석을 실시하여 도시 규모별로 취약계층 밀집사례지역을 선정하였다. 이후 현장답사와 전문가 자문, 통계지표 분석을 통하여 이를 유형화하였다.

(3) 유형별 밀집지역 요인도출을 위한 심층면담 및 설문조사

선정된 사례지역에 대해서는 해당 지역의 취약계층 분포 및 관련 제도 시행 현황, 지역의 문제점(동네효과, 사회적 배제 등) 등의 파악을 위하여 토픽가이드를 이용하 여 구조화(Structured)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심층면접 대상자는 눈덩이표본추출 법(스노우볼링, Snowballing) 방식으로 선정하였으며, 각 사례 지역별로 관련 공무원 과 사회복지사, 시민단체 또는 복지단체 활동가, 해당지역 주민과의 면담을 통하여 현재 취약계층 밀집지역의 문제점을 심층분석하고 개선방안을 함께 모색하였다.

또한, 각 지역별 면담내용을 점검하고 유형별 취약계층 밀집지역 요인을 도출하고자 사례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에서는 사례지역의 내부적 요인과 외부적 환경 요인을 분석하고, 그 값에 있어 지역별․유형별 특성이 나타나는지 를 분석하기 위하여 각 항목 간 평균비교, 상관관계 분석, 신뢰도 검정 등을 실시하였다.

(4) 위계적 선형모형 분석을 통한 취약계층 밀집지역 요인분석

본 연구에서는 취약계층 밀집지역의 내부적 요인과 외부적 환경요인을 분석함에 있어서 개인수준 및 지역수준의 변수들을 동시에 고려하고 있다. 따라서 위계가 있 는 변수들을 동시에 고려하기 위하여 다수준 분석을 수행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여러 수준의 변수를 동시에 고려하여 분석하는 다수준분석(Multi-Level Analysis) 모 형의 하나로 개인수준의 변수를 고려하면서 동네의 수준이나 지역 유형과 같은 환 경의 독립적인 영향을 확인할 수 있는 통계기법인 ‘위계적 선형모형’을 적용하였다.

[그림 2] 연구의 추진체계

문서에서 녹색국토․도시연구부문 (페이지 98-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