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기후변화 재해통합대응 도시의 계획요소 도출

문서에서 녹색국토․도시연구부문 (페이지 35-38)

원에서는 적응전략 실현을 위한 구체적 수단을 제시하고 있다. 녹지의 경우, 광역 및 도시차원에서는 네트워크 등 녹지의 연결성을 강조하고, 지구적 차원에서는 건 물, 단지 등에서의 녹지 확보를 위한 구체적 수단 마련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이와 같은 자료로부터 계획영역별 계획요소를 1차적으로 도출하고, 도출된 결과 에 대해 학․연 협동연구진 브레인스토밍(Brainstorming)과 관련 전문가 자문을 통 해 최종적으로 기후변화 재해통합대응 도시의 계획요소를 결정하였다. 지나치게 개 념적인 요소는 제외하고, 폭설, 강풍 등과 같이 계획요소가 빈약한 부문에 대해서는 연구진 및 전문가 의견 수렴을 통해 계획요소를 추가하였다.

[그림 3] 기후변화 재해통합대응 도시의 계획요소 도출과정

(2) 계획영역별 계획요소의 도출

현행 도시계획수립 관련 지침, 외국사례, 관련 계획 및 제도 등을 조사하여 기후 변화 재해통합대응 도시의 계획요소를 1차적으로 도출하고, 협동연구진의 브레인스 토밍을 통해 최종적으로 선정된 계획영역별 계획요소는 다음 [표 5]와 같다.

계획

영역 세부

항목 계획요소 도시계획

계획․제도및 관련 외국 사례 기타

공간 구조

자연환경 요소 활용

∙산악, 녹지, 공원 등을 활용한 녹지축

∙하천 및 자연적인 우수유출경로를 활용한 수변축

∙지형, 풍향 등을 고려한 바람길축

방재거점

및 방재축 ∙간선교통, 대규모 공원/녹지, 하천 등을 활용한 광역

방재거점 및 방재축

주) ● 해당 계획요소 있음, ▲ 관련되는 계획요소가 제한적 있음

[표 5] 기후변화적응 계획영역별 계획요소

계획

영역 세부

항목 계획요소 도시계획

계획․제도및 관련 외국 사례 기타

토지 이용

용도배치 ∙재해위험지역을 보전용도로 부여(보전녹지지역, 보전

관리지역, 자연환경보전지역, 방재지구 등) 하천변 및

연안역

∙Blue & Green 네트워크

∙하천변 및 연안역 이격(setback) 및 완충지대

∙수퍼제방

개발관리

∙재해위험지역 시가지 정비(상습침수지역, 해일위험지 역 등)

∙반복적인 재해발생 취락지역 이전사업 추진

∙재해위험지역 보전용 토지 매입

∙도시열섬지역(hot spot) 관리 및 정비

∙바람길을 고려한 용도 및 밀도관리

기반시설

방재시설

∙하천 수방능력 향상(제방승고, 하도 및 호안정비 등)

∙댐, 유수지(천변, 지하), 지하저류하천

∙저지대 내수배제기능 향상 및 내수성 강화

∙복개하천 복원

∙생태하천 보전

∙방조시설 정비(해안방호벽, 방파제 승고, 해안침식방 지 등)

∙해안 및 강풍지역 방풍림 조성

∙사방시설 정비

수자원 ∙우․오수 처리 및 재활용

∙지하수 및 용출수 보전

∙댐 및 저수지

하수시설 ∙하수도 용량 증대

∙환경친화적 배수체계(LID, SUDS 등) 공원/녹지

∙도시열섬 저감 및 방재거점 확보를 고려한 다목적 공 원/녹지

∙공공공지(완충형, 차폐형 등)

∙기후변화를 고려한 수종 다양화

교통시설

∙투수성/차열성 포장

∙가로수 확충

∙바람길을 고려한 가로망 정비

∙우․오수, 지하수, 폐열 등을 이용한 도로 결빙방지 및 제설

∙재해위험지역 내 교통노선, 역사 등 정비

∙도로변 급경사지 스노우펜스(snow fence) 모니터링

및 비상 대응체계

∙극한 기상조건에 대비한 비상대응 및 대피체계

∙수도 전력 통신 에너지 등 비상공급을 위한 백업체계

∙취약계층을 위한 냉방센터

단지

조성 지형적요소

∙구릉지개발 억제 및 식재

∙산사태위험지역 선형 조정 및 개발규제

∙자연지형 순응형 단지개발

∙저지대 지반고 승고(elevation)

∙급경사지 스노우펜스(snow fence) 주) ● 해당 계획요소 있음, ▲ 관련되는 계획요소가 제한적 있음

[표 6] 기후변화적응 계획영역별 계획요소

계획

영역 세부

항목 계획요소 도시계획

계획․제도및 관련 외국 사례 기타

단지 조성

조경 및 식재

∙건폐면적 및 불투수 포장면적 최소화

∙학교 교정, 운동장 등 녹화

∙지역의 기후특성 및 물 소비 최소화를 고려한 사막정원

∙홍수 및 강풍에 견딜 수 있는 심근성 수종 식재 우수유출

관리

∙개별 단지 내 저류시설 및 침투시설

∙자연적인 우수유출경로 보전 및 활용

건축 물

건물배치

∙일조, 바람길, 태풍, 폭설 등을 고려한 건물배치(위치,

높이, 방향 등)

∙공개공지

건축구조

∙필로티(piloti) 건축

∙재해위험을 고려한 건축물 및 층별 용도 배치

∙지붕 및 벽면 녹화

∙재해위험을 고려한 건축재료(지붕, 벽면)

∙벽면, 창호 등의 단열개선 및 내후화(weatherization)

∙자연적/인위적 캐노피(canopy)

건축설비 ∙자연형(passive) 냉․난방시스템

∙우수, 하천수 등을 이용한 냉․난방시스템

∙생활하수, 우수 등의 재활용을 위한 중수도시스템

주) ● 해당 계획요소 있음, ▲ 관련되는 계획요소가 제한적 있음

[표 6 계속] 기후변화적응 계획영역별 계획요소

문서에서 녹색국토․도시연구부문 (페이지 35-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