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Ⅲ. 결과 및 고찰

2. 암매

1) 자생지 현황

암매(Diapensia lapponica L. var. obovata F. Schmidt)는 한라산 해발 1940m 내외의 백록담 서쪽 및 북쪽사면에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Fig. 2). 총 12개소를 조사한 결과 분포면적은 0.01~0.04㎡로 매우 작은 편이며, 생육지의 평균 경사는 40°정도였는데, 최소 25°에서 최대 50°까지 다양한 것으로 나타났다.

백록담주변 암매의 분포면적은 3,000㎡이상이지만 실질적으로 식물체가 차지하는 면적은 3㎡이하로 알려져 있으며(국립환경연구원, 2001), 최대 군락지는 규모가 약 100cm×50cm 정도이고 작은 경우는 5cm×5cm 정도로 분포한다는 보고(공, 1999)와 유사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대부분의 자생지는 암벽에 위치하지만 드물게 송이 로 구성된 토양에 형성되는 경우도 확인되었는데, 이러한 지역은 일사량이 적고 암 석이 풍화되어 주변에서 유입된 수분이 풍부하기 때문에 생육이 가능한 것으로 보 고된 바 있다(공, 1998).

암매 생육지의 식생 및 종구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20×20(cm) 크기의 방형구를 설정하여 총 12개소를 조사한 결과는 Table 6과 같았다. 조사결과 방형구별 출현종 은 2~4종류로 빈약한 편이며, 전체적으로 총 7종류의 식물이 출현하는 것으로 나

Fig. 2. Distribution map of Diapensia lapponica var. obovata in Jeju Island.

Site Altitude

(m) Habitat topology Area of

Distribution(㎡) Dominant Species Baeklokdam Ⅰ 1940 summy rocks in

top regions of

Mt. Halla 0.04 Rhododendron mucronulatum var.

ciliatum,Vaccinium uliginosum

Baeklokdam Ⅱ 1940 〃 0.01 R. mucronulatum var. ciliatum, Potentilla stolonifera var.

quelpaertensis

Baeklokdam Ⅲ 1940 〃 0.04 R. mucronulatum var. ciliatum, P.

stolonifera var. quelpaertensis

Baeklokdam Ⅳ 1940 〃 0.03 R. mucronulatum var. ciliatum, P.

stolonifera var. quelpaertensis

Baeklokdam Ⅴ 1940 〃 0.02 P. stolonifera var. quelpaertensis Tofieldia fauriei,

Baeklokdam Ⅵ 1940 〃 0.01 P. stolonifera var. quelpaertensis Tofieldia fauriei

Baeklokdam Ⅶ 1940 〃 0.02 Tofieldia fauriei

Baeklokdam Ⅷ 1940 〃 0.02 R. mucronulatum var. ciliatum, P.

stolonifera var. quelpaertensis

Baeklokdam Ⅸ 1940 〃 0.01 R. mucronulatum var. ciliatum, P.

stolonifera var. quelpaertensis

Baeklokdam Ⅹ 1940 〃 0.03 R. mucronulatum var. ciliatum, Tofieldia fauriei

Baeklokdam Ⅺ 1940 〃 0.01 R. mucronulatum var. ciliatum, Tofieldia fauriei

Baeklokdam Ⅻ 1940 〃 0.01 R. mucronulatum var. ciliatum

Table 5. Habitats of Diapensia lapponica var. obovata in Jeju Island

타났다. 암매는 71.3%로 매우 높은 상대피도로 우점하였고, 털진달래(Rhododendron mucronulatum var. ciliatum)는 13.4%였으며, 그 외에 제주양지꽃(Potentilla stolonifera var. quelpaertensis), 한라돌창포(Tofieldia fauriei), 한라개승마(Aruncus dioicus var.

aethusifolius), 들쭉나무(Vaccinium uliginosum), 시로미(Empetrum nigrum var.

japonium) 등은 매우 낮은 피도로 나타나고 있었다. 이는 암매 자생지가 고산지역의

암벽이며 착생하는 식물의 특성으로 인해 다른 분류군의 분포가 매우 제한되기 때 문으로 사료된다.

백록담지역 내 암매 자생지에 출현하는 종간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는 Table 7 과 같았다. 암매는 들쭉나무와 높은 상관을 보여주고 있었으며 한라돌창포, 시로미,

species R.C.(%)

Diapensia lapponica var. obovata 71.3

Rhododendron mucronulatum var. ciliatum 13.4

Tofieldia fauriei 5.3

Potentilla stolonifera var. quelpaertensis 4.4

Empetrum nigrum var. japonium 3.5

Vaccinium uliginosum 1.3

Aruncus dioicus var. aethusifolius 0.4

Table 6. Relative coverage (R.C.) of Diapensia lapponica var. obovata habitats in Jeju Island

Species D. lapponica var.

obovata R. mucronulatum var.

ciliatum P. stolonifera var.

quelpaertensis T. fauriei A. dioicus var.

aethusifolius V. uliginosum R. mucronulatum var. ciliatum +

P. stolonifera var. quelpaertensis + +

T. fauriei - -

-A. dioicus var. aethusifolius - -* + +

V. uliginosum +* + + -

-E. nigrum var. japonium - + + - -

-Table 7. Complete association matrix for species distributed of Diapensia lapponica var. obovata habitats in Jeju Island

*: Correlation is significant at the 0.05 level

곳에 산앵도나무속과 같은 지역에 생육하고, 바위틈에 밀생하여 항상 대기습도가

obovata F. Schmidt.)는 세계적 희귀종으로 학술적 가치가 높으나 감소추세에 있다 (이 등, 1996). 국내에는 유일하게 한라산 정상부에만 분포하며, 국외에는 러시아, 북미, 일본 혼슈, 북미, 그린랜드 등에 분포하고 있어 제주도 한라산은 세계적으로 볼 때도 분포의 남한계선이 된다(현, 2001).

암매는 국내에서는 박(1975)에 의해 처음 보호식물로 선정되었으며, 제주도의 분 포상 및 생육특성에 관한 연구로는 공(1998, 1999), 고(2000), 오 등(2001), 서 등 (2001), 서 등(2002)에 의해 비교적 상세하게 조사된 바 있다. 분포가 제한되고 개체 수도 매우 적기 때문에 환경부지정 특정야생식물(1997), 멸종위기야생식물(1998) 및 멸종위기야생식물Ⅰ급(2005)으로 지정되어 국내에서도 대표적인 멸종위기식물로 인 식되어 왔다.

제주도의 암매는 플라이스토 세빙기 중에는 산지를 중심으로 연속적으로 분포했 던 것들의 후손으로, 후빙기에 들어 기온상승에 의해 현재의 산정을 중심으로 아고 산지역에 고립된 결과로(공, 1998), 대부분의 현존 개체군은 일사량이 적고 바람이 많고 공중 습도가 높으며 여름에도 저온이 유지되는 바위틈 토양층에 생육하고 있 다(공, 1999).

자생지가 암벽에 위치하는 특성 때문에 육묘와 이식이 불가능하고 천연 하종된 종자가 발아됨으로써 번식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이, 1982), 극히 한정된 환경에서 자라고 생육지가 좁아 미세한 환경적 변화나 생태계 교란에 의해서도 쉽 게 절멸할 가능성이 높다(고, 2000).

따라서 암매는 인위적인 간섭뿐만 아니라 자연적인 훼손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위협받고 있으므로 조직배양 등 현지 내․외 보전을 위한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 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