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Ⅲ. 결과 및 고찰

13. 삼백초

1) 자생지 현황

삼백초(Saururus chinensis(Lour.) Baill.) 자생지는 총 5개소였으며(Fig 13), 모두 서부지역에만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시 한경면 용수리 3개소와 한림읍 옹 포리, 금악 등 2개소에서 분포를 확인하였는데, 금악리를 제외하면 모두 해발 50m 이하의 저지대에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림읍 금악리 자생지는 금악오름 분 화구내에 분포하고 있는데, 현존하는 규모나 자생여건으로 볼 때 식재된 것으로 추 정된다.

자생지별 분포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Table 33과 같았다. 용수리 자생지는 삼백초 의 분포가 가장 많은 지역으로 용수저수지를 따라 폐경지나 배수로를 따라 점상으 로 분포하며 절부암 해안으로 이어지는 소하천의 하류에 비교적 집단적으로 분포하 고 있었다. 분포면적은 150㎡ 정도이며 해안도로 개설로 일부 매립이 되어 자생지

Fig. 13. Distribution map of Saururus chinesis in Jeju Island.

Species R.C.(%)

A. princeps var. orientalis 2.6

Rumex crispus 1.3

Table 34. Relative coverage (R.C.) of Saururus chinesis habitats in Jeju Island Site Altitude

(m)

Habitat

Topology Area of

Habitats(㎡) Dominant species Youngsu-ri Ⅰ 10 rice field 100 Saururus chinesis, Eclipta

prostrata

Youngsu-ri Ⅱ 20 pond 25 Saururus chinesis, Eclipta prostrata

Youngsu-ri Ⅲ 30 estuary 150 Saururus chinesis, Eclipta prostrata

Hyubje-ri 20 rice field 10 Saururus chinesis , Eclipta prostrata

Kum-ak-ri 370 crater(oreum) 20 Saururus chinesis, Eclipta prostrata

Table 33. Habitats of Saururus chinesis in Jeju Island

가 축소된 실정이었다. 한편 제주도에서는 1997년에 이 지역에 300여 개체를 자생

한림읍 금악리 금오름 자생지는 최근에야 알려진 곳으로 자생여부가 불확실한데, 기존에 알려지지 않고 최근에 확인된 것으로 보아 식재되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분화구 내부에 기저면에서 동쪽으로 분포하고 있는데 자생면적은 20㎡ 정도로 작은 규모이다. 해발고 300m 이상으로 높고, 주변에 초본식물의 분포가 많아 일반적인 삼백초의 생육환경보다는 열악한 편이라 할 수 있었다. 삼백초 생육지의 식생구 조를 파악하고자 2×2(m) 크기의 방형구를 설정하여 출현식물의 상대피도를 조사한 결과는 Table 34와 같았다. 방형구별 출현종은 3-6종류이며, 전체 출현종은 7종류로 조사되었다. 방형구내에 출현종에 대한 상대피도 조사결과 삼백초가 72.0%로 현저 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그 외 한련초(Eclipta prostrata) 8.0% 나도개피(Eclipta prostrata) 6.6%, 미나리(Oenanthe javanica) 5.3% 등은 매우 낮은 상대피도를 나타 냈다. 이러한 결과는 삼백초가 비교적 대형의 습생식물이어서 자생지내에 다른 식 물이 함께 자라기 어렵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2) 보존 필요성 및 대책

삼백초과는 온대나 아열대지방의 다년생 초본을 구성되어 있으며, 삼백초속 (Saururus)은 2종의 습원식물로 구성되어 있다(이, 1996). 삼백초(S. chinensis)는 필 리핀과 동아시아에서 자라는 종으로 매끈하고 보드라운 원통형의 수상화서를 지니 고 있다. 국내에는 제주도에 분포하는데, 울릉도에 분포한다는 보고도 있지만 약모 밀의 오동정인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국외에는 일본, 중국, 필리핀 등지에 분포하고 있다(현, 2001).

삼백초의 분포에 관한 연구로는 박(1975), 이(1985), 김(1992), 산림청임업연구원 (1996) 등이 있다. 삼백초는 박(1975)에 의해 처음 보호식물로 지정되었으며 환경청 (1989), 환경부(1998) 보호야생식물 지정되었고, 2005년 제정된 야생동식물보호법에 따라 멸종위기야생식물 Ⅱ급으로 지정되어 관리되고 있다. 장 등(2005)은 동북아시 아 및 국내에 비교적 흔하게 분포하여 멸종위기로 판단할 근거가 없는 분류군으로 취급한 바 있다.

본 조사 결과 삼백초는 약용식물로 널리 알려져 있어 지속적으로 자생지개체에 대한 훼손이 이루어졌으며, 또한 최근에는 자생지 인근의 논농사 면적이 감소하고 경작지 매립, 배수로 정비 등이 가장 큰 위협요인 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박 등, 1999), 이미 일부 농가를 중심으로 밭재배도 다수 이루어지고 있어 증식에 는 큰 문제는 없는 종으로 사료된다. 습원식물의 특성상 자생지에 대한 정확한 정 보를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종에 대한 보전과 함께 자생지에 대한 종합적인 관리가 필요한 종류로, 우선 자생지별 서식지외보전이 필요하며 원래 자생지 인근 에 대체 자생지 등을 마련하여 보전하는 방법도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