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급속한 인구증가와 경제발전에 따른 생물자원의 고갈이 날로 극심해지고 있어 생물자원의 탐색 및 이를 보전․육성하는 것은 전 세계적인 과제로 떠오르고 있 다. 이러한 원인 등으로 인한 환경파괴로 지구 생태계의 생명부양 기능과 작용에 영향을 주고 거대한 멸종을 야기하고 있으며, 인간간섭에 의한 멸종이 자연멸종 (100년에 약 90종)의 4만 배에 달한다고 한다(Wolfe, 1987; Raup, 1986).

전 세계에는 약 150만종의 생물들이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 중 흔히 식물이라고 불리는 양치식물, 나자식물 그리고 피자식물은 약 25만종으 로 알려져 있다(Wilson, 1989). 이처럼 다양한 생물들이 인간이 지구상에 나타나 기 훨씬 전부터 지구상에 나타났다가 사라지는, 즉 생성과 절멸을 끊임없이 반복 하여 왔다. 이러한 생물들이 역사는 오랜 시간에 걸쳐 자연의 질서에 따라 진행 된 것으로, 자연 스스로 완충능력을 보이면서 지구상의 생물다양성을 유지하여 온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자연 상태에서는 고등식물의 경우 매년 평균 2종이 절 멸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최와 신, 1994).

1972년 국제환경회의 이후 각종 생물의 멸종방지를 위한 노력들이 이어지고 있는데, 국제사회에는 생물종 보호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동 식물의 국제거래에 관한 협약(CITES)과 생물다양성협약(CBD) 등 여러 국제협약 을 체결하여 생물종 보전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국제자연보전연맹의 종보 전위원회는 멸종위기종 평가작업과 전 세계 생물다양성 감소에 대한 지표 제공 과 각 생물종에 대한 보전상의 지위를 평가해 왔다(장 등, 2005). 국내에서도 1983년 이후 IUCN 의 분류기준을 통한 보존대상종의 기준선정 등에 대한 논의 가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으며(이, 1996), 국가차원에서 보호식물의 지정 및 이에 대한 문제점에 대한 연구가 이어지고 있다(이와 이, 1996; 현, 2001; 장 등, 2005).

식물들이 멸종위기에 처하는 원인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대부분의 국가에서 가장 큰 원인으로 지목되는 것이 생육지의 파괴가 가장 중요한 원인이며 식물종

의 과도한 이용, 환경오염물질의 영향, 외래종의 무분별한 도입 등과 같은 인위 적인 요인이 보다 심각한 멸종의 원인이 되고 있으며(Schemske et al., 1994), 특 히 국내에서는 관상용, 약용 및 식용 등으로의 남채가 커다란 위협요인으로 작용 하고 있다(서 등, 2001).

국내에서 멸종위기나 보호식물에 대한 연구는 초기에 이(1959), 박(1975), 이 1981), 이(1987) 등 학자중심의 연구였으나, 환경청(1989)에서 특정야생식물(59종 류)을 지정고시(제89-5호)되면서 국가적인 차원에서의 논의가 시작되었다. 이후 1998년 개정된 자연환경보전법은 종래의 '특정야생동식물' 체계에서 '멸종위기 및 보호야생동식물'체계로 전환하였는데, 여러 학자 및 전문가들에 의해 6종류의 멸종위기식물과 52종류의 보호야생식물 등 총 58종류가 지정되었으며, 이 법은 다시 2005년도 야생동식물보호법으로 개정됨에 따라 멸종위기야생식물 Ⅰ급 8종 류, Ⅱ급 56종류에 지정되게 이르렀다(환경부, 2005).

제주도는 한반도 남단부에서 남쪽으로 약 80km, 九州 본토에서 서쪽으로 약 250km의 동지나해 북부에 있고, 동서 73km, 남북 31km의 타원형을 한 섬으로 면적 1,825km2 이다. 위도는 九州 본토 북부와 거의 같고, 북위33°10′~35′에 위 치한다. 기후는 쿠로시오 해류(Kuroshio current)의 지류인 쓰시마난류(Tsushima warm current)의 영향을 받아 온난하고, 도내 저지의 년 평균 기온은 15.0℃에서 15.8℃, 가장 추운 달인 1월의 평균기온은 4.8℃(성산)에서 6.0℃(서귀포)로 남쪽 지역이 타 지역에 비해 0.8℃~1.2℃ 따뜻하다(김 등, 1994).

제주도는 전북식물구계(Haloartic floristic kingdom)의 동아시아식물구계구 (East asiatic floristic region)에 속하며(Yoshioka, 1973; Yamazaki, 1973), 대륙 으로부터 남하한 식물군, 중국, 제주도, 일본에 걸쳐서 대상으로 분포하는 식물 군, 열대, 아열대 기원의 식물, 제주도와 타이완, 일본에서 분화한 식물군 등 다 양한 요소를 반영하는 식물들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면적에 비하여 많은 종이 분 포하게 된 것으로 볼 수 있다(임, 1992). 또한 한라산이 있어 식물의 수직분포가 뚜렷하고 한대성 또는 고산성의 식물이 많이 분포하고 있으며, 이들 중 대부분은 백두산, 만주, 시베리아, 몽골 등에 공통으로 분포하고 있는 대륙계의 식물들로

고립에 의한 적응의 결과로 특산식물 또한 많이 분포하고 있다(Fu et Hong, Ju et al., 1997; 2000; Cha, 1998; Ju et al., 1997; 김, 1993).

제주도에 자생하는 유관속식물은 Nakai(1914)가 1,317 분류군을 발표한 이래 이(1997)가 172과 655속 1,252종 214변종 6품종 총 1,472 분류군, 김(1985)이 158 과 663속 1,453종 275변종 2아종 65품종 총 1,795 분류군으로 발표한 바 있으며 최근에는 귀화식물을 포함하여 1,990분류군으로 보고하고 있다(제주도, 2005). 이 는 우리나라 총 식물 종 수 약 4천여 종의 약 50%에 해당하는 것이다. 이와 같 은 분류군 수는 새롭게 밝혀지는 분류군들이 있을 뿐만 아니라 귀화식물들의 유 입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더욱 늘어 날 것으로 예측되지만 새로운 분류학적 연구 결과에 따라 종 하분류군들이 종에 통합되거나 근연종간 통합이 이루지기도 하고 있으므로 자생식물의 급격한 증가는 없을 것으로 예측된다(김, 1993;김, 2001).

이와 같이 좁은 면적에 많은 종수가 분포하게 된 원인에 대해서는 많은 학자 들의 논의의 대상이 되고 있다(임, 1992;, 김, 1993). 일반적으로 섬의 종수는 섬 의 면적이 클수록 증가하고, 면적이 클수록 서식지가 많아지며 서식지 변화가 다 양하므로 희귀종의 수가 많아진다. 또한 섬의 종수는 가장 가까운 육지 또는 종 급원과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많아지며, 연속적인 종의 이입과 소멸로 종의 개편 이 되풀이된다. 그래서 섬의 생물의 종 구성은 항상 새롭게 변화하고 이미 정착 한 것들과 경쟁한다(Barrycox, C. and Moore P., 1985). 제주도 역시 이와 같은 섬의 면적과 종수와의 관계, 섬이라는 격리의 효과, 종의 재편과정이 끊임없이 일어남으로서 생물의 다양성이 유지되고 있는 것이다.

제주도는 한라산을 중심으로 난대에서 한대에 이르는 다양한 식생대를 포함하 고 있어 1,800여종 이상의 다양한 식물상을 가지고 있으며, 이중에는 연구자들간 이견이 있지만 여러 종류에 이르는 희귀식물 및 법정 멸종위기야생식물이 분포 하고 있다. 따라서 본 조사는 제주도내에 다양하게 분포하는 멸종위기야생식물에 대한 정확한 분포상을 조사하고 이들 식물분포지의 식생개황 등을 조사하여 향 후 해당식물의 증식과 복원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코자 실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