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Ⅲ. 결과 및 고찰

12. 백운란

1) 자생지 현황

백운란(Vexillabium yakushimense (Yamamoto) F. Maek.)의 분포는 해발 700m 이상인 지역으로 대부분이 낙엽활엽수림내부로 한정되었다(Fig. 12). 또한 국립산림 과학원(2005)의 보고에 의하면 제주시험림내의 경우도 5개체 만 관찰되었을 정도로 그 개체수가 매우 적었다. 이는 소형 개체로 조사가 용이하지 않고 군생하는 경우 가 드물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백운란 자생지는 멸종위기야생식물인 으름난초(Galeola septentrionalis)의 한라산 국립공원내 분포와 유사한 경향을 보이지만 보다 제한적이며, 개체수가 매우 적은 분류군 중 하나로 판단된다. 성판악 자생지의 경우 2개소에서 5개체의 분포를 확인 하였는데(Table 31), 낙엽수림내에서도 매우 습한지역에 주로 분포하는 것으로 관찰 되었다. 이 지역은 교목층은 개서어나무(Carpinus tschonoskii), 때죽나무(Styrax japonica) 등이 우점하며 초본층에는 주름조개풀(Oplismenus undulatifolius), 관중

Site Altitude

(m) Habitat Topology No. of

Individuals Dominant species

Sanghyo-dong 550 deciduous forests 50 Carpinus tschonoskii, Oplismenus undulatifolius

Mool oreum 700 deciduous forests 8 Carpinus tschonoskii, Callicarpa mollis Table 31. Habitats of Vexillabium yakusimense in Jeju Island

Overstory Mid-story Understory

species R.C.(%) species R.C.(%) species R.C.(%)

Carpinus tschonoskii 42.5 Callicarpa mollis 50.0 Oplismenus undulatifolius 19.8 Q. acuta 25.5 Clerodendron trichotomum 33.3 Schizophragma hydrangeoides 9.9 Styrax japonica 12.7 Daphniphyllum macropodum 16.6 Dryopteris crassirhizoma 9.4

Carpinus laxiflora 10.6 Polystichum tripteron 8.9

Acer pseudo-sieboldianum 8.5 Athyrium conilii 8.4

Smilax china 7.9

V. yakusinense 7.4

Ophiopogon japonicus 6.9

Viola grypoceras 6.4

Arisaema thunbergii 5.4 Other companion species : Understory ; Viola chaerophylloides(4.9), Arisaema amurense var. serratum(4.4).

Table 32. Relative coverage (R.C.) for 10 dominant species of Vexillabium yakusimense habitats in Jeju Island

(Dryopteris crassirhizoma) 등이 우점하였다. 또한 제주시험림내 자생지에서는 50 개체의 분포를 확인하였는데, 상효동과 유사한 지피환경을 보이고 있었으며, 서어나 무 등이 우점하고 초본층에는 무늬천남성(Arisaema thunbergii), 관중, 주름조개풀 등이 분포하여 성판악과 유사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백운란 자생지의 식생을 파악하고자 10×10(m) 크기의 방형구를 설정하여 출현하 는 종의 상대피도를 조사한 결과는 Table 32와 같다. 한라산천연보호구역내 등 2개 소를 조사하였는데, 상층은 높이 약 12m 정도에 위치하며 개서어나무(Carpinus tschonoskii) 등 5종류가 출현하였다. 그 중 개서어나무의 피도가 42.5%로 가장 높 게 나타났으며, 붉가시나무(Q. acuta) 25.5%, 때죽나무(Styrax japonica) 12.7%, 서 어나무(Melia azedarach var. subtripinnata) 10.6% 순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 과로 볼 때 백운란은 생육지가 개서나무와 붉가시나무가 우점하는 온대림의 하부나 온대 2차림 등에 분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중층은 새비나무(Callicarpa mollis) 등 3종류가 출현하는데, 새비나무가 50.0%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고 그 외 누리장나무(Clerodendron trichotomum) 33.3%, 굴거 리나무(Daphniphyllum macropodum) 16.6% 등으로 나타났다. 하층에는 12종류가 출현하였으며, 주름조개풀(Oplismenus undulatifolius)이 19.8%로 비교적 높게 나타 났고, 바위수국(Schizophragma hydrangeoides) 9.9%, 관 중 (Dryopteris crassirhizoma) 9.4%, 십자고사리(Polystichum tripteron) 8.9% 등 나머지 종류들은 10% 이하의 낮 은 피도분포를 보이고 있었다. 백운란 자생지의 종조성 등으로 볼 때, 이 등(1991) 이 보고한 서어나무군집의 하위단위로 사료되며, 군락내에 붉가시나무, 참식나무 등 상록활엽수가 분포하는 것이 특징적이라 할 수 있었다.

제주도내 백운란의 분포는 매우 한정적으로 개서나무-졸참나무군락에 주로 분포 하였으며, 확인된 개체수도 매우 적었다. 분류군의 특성상 크기가 작고 개화시기를 제외하면 관찰하기 어렵기 때문에 보다 세밀한 자생지 탐색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 로 판단된다.

2) 보존 필요성 및 대책

백운란속(Vexillabium)은 한국과 일본에 3종이 분포하며, 근경은 길게 뻗고 잎은 난형이고 줄기 밑동에 짧은 엽초가 있다(이, 1996). 백운란은 다년생 난과식물로 제

릉도 등에 분포하며, 국외에는 일본의 난대지역에 자생한다(이, 1998; 김 등, 2003).

종 하 분류군으로 화경과 꽃의 악편이 담록색인 것을 녹백운란(V. yakusimense F.

Maekawa for. viridis )이 있다(이, 2003).

백운란은 환경청(1989)의 특정야생식물로 지정된 이후 환경부(1998)지정 보호야생 식물로 지정되었으며 2005년 제정된 야생동식물보호법에 따라 멸종위기야생식물 Ⅱ 급으로 지정되어 관리되고 있다. 장 등(2005)은 전세계 수준으로 평가해도 백운란이 IUCN적색목록에 해당되는 분류군으로 판정하여 멸종위협을 받는 것으로 보고 한 바 있다.

한라산천연보호구역 및 활엽수림내에 분포하는 백운란의 생육 특성상 위협요인은 적은 편이나, 난과의 특성상 희귀성으로 인해 남채될 가능성이 높아 위협요인이 되 고 있으며 기존 자생지를 중심으로 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며, 증식방법에 대한 연구도 시급히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