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식품사슬분석 네트워크 활동내역 및 심층연구

2. 3/5차년도 연구사업 주요 활동 내역

2.3. 식품사슬분석 네트워크 활동내역 및 심층연구

❍ 제12차 식품사슬분석 네트워크에서는 식량불안 가구를 위한 새로운 정책 접근방식 (New Policy Approaches for Food Insecure Households)을 주제로 식품 전문가 1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화상회의가 진행되었다. 동 회의에서 식량안보와 영양-취약 계층의 식품부족 해소 및 건강한 식단을 위한 정책 접근(세션1), 사회경제적 요소가 취 약계층의 건강한 식품 선택에 미치는 영향 및 대응(세션2), 소비자의 건강개선 및 농식 품 시스템의 지속가능성 제고를 위한 디지털 활용(세션3), OECD회원국의 식량불안 측 정 방법(세션4)에 대한 각국의 정책 경험을 공유하였다.

회의 개최일 주요 회의 내용

❍ (세션2) 연령, 소득, 교육 수준, 고용 상태 등 다양한 사회경제적 요인이 OECD 국가의 식량 선택에 영향을 미친다. 음식 환경, 건강에 좋은 음식에 대한 접근, 그리고 좋은 영 양과 요리기술에 대한 지적능력(Food Literacy Skill)도 음식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중 요한 결정 요인이다. 세션2에서는 취약계층의 건강식품 소비를 저해하는 다양한 요인에 대한 정책대응뿐만 아니라 원주민 공동체와의 제휴로 개발된 접근법에 대한 정보를 공 유하였다.

❍ (세션3) 정부는 디지털 도구를 사용하여 소비자들이 건강하고 지속 가능한 음식 선택과 구매를 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인터넷과 모바일 기기를 포함한 정보통신기술(ICT)은 물 론 모바일 앱, 웹사이트, QR코드, 정부 소셜미디어, 인터넷 연결기기, 관련 기술 등이 소비자 수요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 활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세션에서는 각 회원국 수요 측면의 성과에 대한 디지털 도구의 사용 및 관련 성공사례에 대한 경험을 교환하였 다. 또한 영양 및 식생활 정보와 식품 소비 및 구매 행동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 하기 위해 각국이 디지털 기술을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의견을 교환하였다. 이를 통 해서 구축된 정보들은 수요측면 정책의 효과성을 추구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 (세션4) 국가 간 데이터 격차는 식품구매 집단이 어떤 식품을 구입하고 소비하는지, 얼 마나 많은 사람들이 식품에 불안정한지를 기준으로 발생한다. 식품불안의 발생률과 결 정요인을 측정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제약이 따른다. 각 국가들은 그들만의 식품불안에 대한 정의를 가지고 있고 그 문제에 대한 데이터는 보통 한시적으로 수집된다. 이러한 측면에서 세션2에서는 각국이 식품 불안정을 어떻게 계측하고 있는지 또는 계측 계획을 수립하고 있는지 뿐만 아니라 이러한 정보가 정책 수립 및 평가에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 지에 관해 논의가 이뤄졌다.

❍ 식품사슬분석 네트워크 제12차 회의에 한국농촌경제연구원 홍연아 박사와 김상효 박 사가 참여하였다. 홍연아 박사는 “한국의 임산부를 유기농 식품 지원프로그램”이라는 연구주제를 발표하여 한국의 저출산 문제와 현황, 저출산 시대의 미래세대를 위한 식품 정책, 임산부를 위한 친환경 농산물 지원 사업 현황과 과제 등의 이슈에 관한 논의가 이

1.How Healthy Diets Can Support Resilience(발표자 : Michele Cecchini, Health Division, OECD)

2. Food Insecurity Policy Tools ; FCAN Meeting 2020(발표자 :Kelly Parsons, University of Hertfordshire, UK)

∙ 식량 불안을 위한 정책 수단

직접적인 식량 지원 : 노인 식량 지급, 바우처 프로그램, 식량 은행 건강한 식단 : 푸드라벨링, 공동체 및 사회적 참여 등

학교 중심 지원책 :Breakfast clubs, vending guidance, school lunch etc,.

과잉생산식품의 재분배 : Fareshare(영국), Foodcycle(영국), Food Waste Law(프랑스) 원격 공동체의 접근 : Outback Stores(호주), Diconsa community(멕시코)

∙ 코로나 시대에 중요한 정책 고려사항 식량 불안 측정, 포용성, 거버넌스

식량 불안정에 대처하기 위한 구조적인 접근 필요

3. Food Security in a Pandemic: actions, challenges, and learning. Chile's experience(발표자 : MaríaPaz GrandónSandoval, Ministry of Health, Chile)

∙ 배경

4. Nutritional security in the corona era the Israeli experience(발표자 : Ronit Endevelt, School of Public Health

5. Soci-economic Determinants of Food Choice and The Issue of Policy Targeting(발표자 : Olivia Placzek, Agro-food and Markets Division OECD)

∙ 건강한(또는 건강하지 않은)식품을 선택하는 데 있어 사회·경제적 요인이 중요한 역할을 함.

6. Socio-economic determinants of food choice and nutrient intake in Finland- and related policy approaches (발표자 : Liisa Valsta, Finnish Institute for Health and Welfare, Finland)

∙ 설문 데이터 및 방법

7. The Food Policy for Canada : Enhancing Policy Coherence to Improve Food-Related Health Outcomes (발표자 : Jason Bailargeon, Agriculture and Agri-Food Canada)

∙ 캐나다 식량 정책 : 캐나다인의 다양하고 안전하며 충분한 양의 식량에 대한 접근성 보장과, 탄력적이며 혁신적인 식량제계를

더 관련성이 있음.

∙ 식량정책은 COVID-19가 식품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장기/단기 대응을 위한 프레임 워크를 제공함.

∙ 추후 계획: 식품 정책의 일관성을 위해 내부 및 외부 파트워와 지속적인 협력, 타국가 모범사례 연구, 정책 일관성 발전을 위한 지속적인 OECD 토론 및 연구 참여

8. Food programme in Portugal(발표자 : David Gouvenia, Ministry of Agriculture, Forestry, and Rural Development, Portugal) 예시: Front of Pack Nutrition Labelling (FOPNL)

생산지를 소비자에게 알리는 것은 식품 생산과 소비의 지속가능성을 향상 시킬 뿐만 아니라 음식물쓰레기 감소에 기여 9. Influential Factors and Determinants of Food Literacy in Portugal(발표자 : Raquel Rosas, ISPA -Instituto

Universitário, Portugal)

∙ Food Literacy Project (FOODLIT-PRO) : Stage 1 – Food Literacy Wheel 범위, 결정 요인 및 영향 요소를 포함한 최초의 개념 및 경험적 모델

정성적 방법론 : 포르투갈 식품 관련 전문가 30인 인터뷰

정량적 방법론 : Multiple Correspondence Analysis (four-dimensional model) 범위 : 요리 기술, 보존 및 분석, 검색 및 계획, 선택과 획득, 식품관련 실무 역량

10. Digital Opportunities for Consumer Health and Food System Sustainability(발표자 : Tom Baragwanath, Agro-Food, Trade and Markets Division OECD)

∙ 푸드시스템 내에서의 수요자 측면 정책

소비자 조사, 소매단계의 구매 데이터, 공간데이터 등 흩어져 있는 각기 다른 형태의 데이터 통합이 필요함. 예) 소비자 식품 선택의 경우 가구 식품 구매 데이터 트랙 등

∙ 제안과 방향성

신뢰와 보완, 데이터 접근성 보장, 잘못된 정보와 활용에 대한 규제, 전문성과 활용능력 배양 등이 필요함.

11. Dietary Life and Health of Low-Income Households(발표자 : Sanghyo Kim,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ROK)

12. Organic Food Assistance Program(OFAP) for Pregnant Women in South Korea(발표자 : Yeona Hong, Chami Yoon,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ROK)

∙ 한국의 저출산 문제

13. Use of Digital Tools for Food Data Collection in the United States(발표자 : Jay Variyam, USDA, USA)

∙ 미국가구 식품 취득 및 구매 서베이의 발전 과정

종이와 펜 서베이(2012년-2013년)→웹 베이스의 온라인 서베이(2017)→ 스마트폰 앱 기반의 서베이(2020~)

∙ 스마트폰 앱 기반 서베이의 장점(FoodAPS-2)

무응답, 측정오류, 응답자 부담감와 피로 완화 등

14. Reconciling Consumption and Production in Food Chain Analyses 발표자: Kieron Stanley, Defra, UK)

∙ Defra는 소비자의 식품에 대한 습관과 태도에 대해 증거기반의 평가를 수행하고 있음.

15. The digital agenda in the UK’s food policy analysis(발표자 : David Lee, Defra, UK)

∙ 식품 정책에 대한 데이터의 당면 과제

16. New development in measuring food insecurity in the U.S.(발표자 : Jay Variyam, USDA, USA)

∙ Current Population Survey (CPS)

약 40,000 가구 대상 , 고용 및 빈곤 통계 자료 , 2001년부터 연 1회 실시

미국 식량 안보 현황 (2018) : 식량안정 88.9% (1억 1,500만 가구)/ 식량 불안정 11.1%(1,430만 가구) 식량 불안정은 2007년 급격하게 증가해 2011년 최고치를 달성(14.9%)한 이후 꾸준히 감소하는 추세

식량 불안정은 월소득 1달러 미만 빈곤층이 가장 높았으며, 여성 가구주가 다음으로 높은 수준임.

∙ Household Pulse Survey(HPS)

COVID-19 대유행이 미국의 가구에 미치는 경제적, 사회적 영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 교육, 고용, 건강, 주거 및 식품 관련 정보

2020년 4월부터 시작해 2020년 10월까지 진행하는 주간 온라인 설문조사

식품 관련 질문 : 지난 7일 동안 가정에서 섭취한 음식을 가장 잘 표현 것은 무엇입니까? ( 충분한 양의 먹고싶은 음식, 충분한 양이지만 항상 먹고싶진 않은 음식/ 가끔 충분하지 않은 음식, 종종 충분하지 않은 음식)

미국 식량 부족 현황 (2020) :CPS(2019)데이터와 비교했을 때 2020년 식량부족은 3배 이상임 ( 7월 기준 : 11.5%) 17. Food insecurity in France : measurement and policy issues(발표자 : France Caillavet, INRAE ALISS, France)

∙ 측정 문제

부정확하게 측정된 다양한 상황 (다양한 대상, 규모, 유동적인 프로세스 등) 동종 표본 설문조사 (동일한 특성을 가진 집단 조사) 와 정기적인 조사의 부족

∙ 정책 문제

필요에 비해 정책이 부족함

정책 대상 선정 기준 : 빈곤과 식량 불안정간의 관계 고려할 것 인지?

사용되지 않고 있는 식량 원조 정책에 대한 이해 필요함.

∙ COVID-19 : 긴급 상황에 적용되는 식량 지원 정책 COVID-19와 같은 상황에 대한 사례가 충분하지 않음 국가에 대한 낮은 헌신

장기적인 대안 : 식량에 대한 사회적 보장 필요.

자료: 저자 작성.

❍ 식품사슬분석 네트워크는 농식품 시스템 전반의 연구에 전문성을 갖춘 연구자들 간의 의견교환과 바람직한 정책관행을 식별하고자 설립된 농업위원회 산하기구이다. 이에 따라 국내 연구자들이 동 네트워크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주요 주제에 대한 심 층 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서울대학교 김관수 교수는 “국내외 식품기업의 식품사슬 참여 장단점과 참여 유인동기 분석”을 주제로 심층연구를 실시하였으며, 강원대학교 이 지용 교수는 “글로벌 식품기업의 식품사슬 참여현황 및 국내 식품기업의 식품사슬 참여 확대방안”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