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그림 -47. 스킨로션(남 150㎖) 도시별 가 격 비교(2005년 구매력지수)

(서울=100)

24 27 31 38 45 51 55 55 60 73 79 92 92 99 100 102113 120

135144162168 206

273

0 50 100 150 200 250 300

파리 모스

크바 도 라노

오클 프랑크

푸르트 뉴욕 홍콩 런던뤼셀 코펜

하겐 리드

서울

이징 상파

타이 베이

싱가 포르론토

암스테 르담

❙그림 -48. 스킨로션(여 150㎖) 도시별 가 격 비교(2005년 구매력지수)

(서울=100)

3 3 4 9 10 17 18 20 22 24 25 25 26 27 32 32

42 49 53 55 67 74

100

0 20 40 60 80 100 120

일반품목의 경우 달러환율과 구매력지수 모두로 환산하여 비교해 도 대부분의 품목에서 국내 가격이 높았다. 동일브랜드 품목의 경우 에는 그렇지 않는 품목도 나타났다.

❙표 -45. 스킨로션 및 에센스의 비교국가별 평균 가격지수

(서울=100)

구분 품목

세계 도시  OECD 회원국 주요 경쟁국  유사소득군  환율

기준

2005 년 PPP 기준

환율 기준

200 7년 PPP 기준

환율 기준

2005년 PPP 기준

환율 기준

2005년 PPP 기준

일반 품목

에센스(100) 15.73 19.05 22.62 16.29 27.76 30.70 48.16 65.49 스킨로션

(남150) 84.35 90.32 125.04 77.26 83.39 94.08 134.84 167.20 스킨로션

(여150) 23.74 29.32 33.46 23.19 39.46 42.72 37.58 51.42 동일

브랜드 품목

랑콤(150내외) 89.18 110.67 99.35 69.14 77.66 98.17 89.24 104.33 에스티로더

(150내외) 129.22 154.81 147.68 98.40 105.38 115.04 88.04 101.86

❙그림 -49. 랑콤 스킨 로션(150㎖)가격의 국제 비교

❙그림 -50. 에스티로 더 스킨로션(150㎖)가격 의 국제 비교

(2) 국내외 가격차이 발생요인

국내외 가격차이의 원인을 기업의 비용구조에서 살펴보기 위하여 오시리스(osiris)자료에서 추출한 화장품 제조업종의 2006년 기준 손 익계산서(Income statement)를 살펴보았다. 한국기업의 업체 중 화장 품뿐 아니라 비누, 치약 등 생활일반 제품도 생산하는 제조업체는 제외시켰다. 따라서 화장품 전문생산업체이면서 오시리스 자료에 포함되어 있는 1개 기업을 대표적으로 선정하였다. 프랑스, 독일, 일 본, 미국 기업들의 경우에도 화장품을 주로 제조하면서 오시리스 자 료에 포함되어 있는 기업들로 선정하여 비교하였다. 국내 기업의 손 익계산서상의 항목들이 점유하는 비중이 외국기업의 비중과 매우 유사하여 현저한 차이점은 나타나지 않았다.

❙표 -46. 화장품 제조 업종 손익계산서 항목의 매 출액 대비 비중

(단위: %)  구분 한국(1개사) 프랑스(2 개사) 독일(1개사) 일본(4개사) 미국(3개사) 순매출액 100.00 100.00 100.00 100.00 100.00

매출원가 31.94 33.12 31.25 27.26 39.41

판매관리비 57.22 52.17 60.82 65.89 52.45

영업손익 9.86 14.77 9.41 7.54 8.48

영업외손익 0.64 -0.39 7.30 -0.09 -1.11

특별손익 -0.20 0.51 -0.10 0.61 -0.05

법인세% 3.18 4.08 3.57 3.84 2.59

당기순손익 7.12 10.81 13.05 4.22 4.72

화장품 유통구조상의 문제는 에센스 및 스킨로션의 국내 가격이 높은 원인으로 보기 어렵다고 판단한다. 판매관리비의 구성항목을 일본과 비교해 보면, 국내 생산업체의 판매관리비 중 판매촉진비 비 중은 10%에 못 미치는 반면, 일본기업은 30% 정도를 판매촉진비에 지출하고 있다. 따라서 국내 화장품 판매를 위해 유통과정에서 많은 비용을 판매수수료로 지출하고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 판매촉진비 를 현저하게 많이 지출하는 일본에서 로션가격이 한국보다 낮기 때 문이다. 다만, 한국 화장품 제조업체의 경우 일본 제조업체보다 광 고선전에 지출하는 비용이 높다. 미국의 AVON사는 2006년 현재 판 매관리비의 5.43%를 광고선전비로 지출하였다는 사실과 비교해 봐 도66) 국내 제조업체의 광고선전비 지출 비중은 높은 편이라고 할 수 있다.

66) 뉴욕증권거래소(NYSE)에 보고된 화장품 회사의 연차보고서 중 광고선전비 지출 항목이 기재된 기업은 AVON사뿐이었기 때문에 여기서는 AVON사의 광고선전 비 지출 비중만 언급하였음.

❙표 -47. 판매관리비 의 주요 항목 비중(2006년 기준)

(단위: %)

구분 한국(1개사) 일본(4개사 평균)

판매촉진비 8.86 31.04

광고선전비 22.83 14.25

급여 15.54 18.02

연구개발비 6.07 7.02

감가상각비 4.07 4.00

자료: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DART), 일본 금융청 전자개시 네트워크(EDINET)

<표 Ⅳ-48>은 화장품시장에서 국내 생산과 수입・수출이 차지하는 규모를 살펴본 것이다. 2006년 외제 화장품이 내수에서 차지하는 점 유율은 16.45%이다. 즉 화장품의 국내 소비 중 16% 정도만이 외국 산이라는 의미이다. 이는 수입비중이 낮은 시장에 해당한다.

❙표 -48. 화장품시장 의 수입제품 비율(2006년 기준)

(단위: 백만 원, %) 국내 생산액 수입금액 수출금액 수입제품의 내수 점유율 = 수입 /(국내 생산-수출+수입)

3,346,306 608,987 253,082 16.45 : 1. 국내 생산액은 통계청 광공업통계 이용(원화 기준) 2. 수입/수출액은 무역협회 무역통계(KOTIS) 이용(달러 기준)

3. SITC코드(광공업통계)HS코드(무역통계) 간의 항목을 비교하여 해당이 품목 이 일치되도록 조정

4. 환율은 20061229일 매매기준율(1$=929.6KW)

국내 화장품시장에서 외국산의 수입비중이 낮은 원인으로서는 우 선적으로 관세를 들 수 있다. 한국은 현재 화장품에 대해 8%의 수 입 관세율을 적용하고 있으나, 중국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국가에 서 화장품은 무관세 수입품목이다.

❙표 -49. 국가별 에센 스 및 스킨로션 수입 관세 율

(단위: %)

구분 한국 프랑스 독일 일본 미국 중국

관세율 8 0 0 0 0 12.8

: 미국은 최혜국대우국가(MFN)로부터의 에센스/스킨로션 수입에 대해서는 무관세 이며, ()최혜국(N on-MFN)에 대해서는 75% 관세율 부과

에센스와 스킨로션의 국내 가격이 높은 원인으로서 화장품의 병 행수입제한을 들 수 있다. 공정거래위원회는 1998년 12월 31일 공표 한 고시(제1998-18호)를 통해 병행수입에 있어서의 불공정거래행위 유 형을 명문화하면서 병행수입을 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였 다. 그러나 모조제품의 국내 유입을 억제하기 위해 화장품법 시행규 칙(제7조)에서 병행수입을 하기 위해서는 외국제조업체의 제조판매 증명서를 한국의약품수출입협회에 제출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러 한 규정으로 인하여 화장품의 병행수입은 실효성이 확보되지 못하 고 있는 상황이다. 병행수입을 통해 수입제품의 가격이 인하되는 효 과는 실증적으로 검증된 바 있다. Chen and Png(2008)은 병행수입이 허용된 국가와 금지된 국가 간의 음악CD가격을 실증적으로 비교하 는 이벤트실험을 통해 병행수입의 법적 허용이 제품가격을 7.2 7.9% 정도 감소시켰다고 보고하였다.67) 따라서 병행수입 화장품의 안전성이 확보되도록 보완장치를 마련하면서 병행수입의 실효성을 확보한다면, 수입 에센스와 스킨로션의 가격을 일정 수준 정도 저하 시킬 수 있을 것이다.

국내 화장품제조업의 시장집중도는 다소 높은 편이다. 화장품 제

67) Chen, Yeh-ning, and Ivan Png, “Parallel Imports and Music CD Prices,” 한국법경 제학회, 󰡔법경제연구󰡕 , 5권 제120086, pp.1-9.

조업(SITC코드 D24333)의 경우 2007년도 국내 제조업의 생산집중도지 수는 CR3가 66.7%였으며(CR4는 69.7%), HHI지수가 1,989였다. HHI지 수가 1,800을 넘는 수준이므로 시장구조가 과점적이라고 볼 수 있 다. 2007년도에도 화장품 내수 중 수입산 제품의 비중이 동일하게 16.45%를 유지한다고 가정할 경우 실질적인 CR3는 대략 55.7%(=

66.7%×83.5%)로서 50%를 넘는 수준이다.

시장집중도를 살펴볼 때 국내 화장품생산 구조는 독과점이 심각 하다고 보기 어렵지만, 일정 수준의 시장집중은 형성되어 있다. 국 내 소비 중 수입제품이 점유하는 비중이 낮게 나타났으므로 수입을 증대시킬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수입증대를 위한 정 책으로서는 관세 인하와 병행수입의 실효성 확보를 들 수 있다. 병 행수입을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해 현재의 규제를 완화할 경우 국민 안전상의 문제가 발생할 여지가 있으므로 이에 대한 보완대책이 동 반되어야 할 것이다. 국내 기업은 외국제조업체보다 선전비용을 현 저하게 더 많이 지출하고 있으나, 현재의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광고선전을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도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정책적 대응은 필요하지 않다고 판단한다.

제 5장. 유형별 가격차이 발생요인 및 해소방안

(간지)

본 연구에서 품목별 국가 간 가격차이의 원인은 여러 가지 요소 들이 지적되었다. 본 장에서는 이러한 가격차이의 근원에 공통적으 로 내재되어 있는 거시적 원인들 중에서 임금, 산업단지 분양가, 재 료비 및 금융비용을 중심으로 우리나라의 현황을 살펴보고자 한다. 국내 생산자 및 판매자의 가격설정에 큰 영향을 미치는 이런 요소들 의 현 수준 및 시계열적 추세를 살펴보고 우리와 유사한 소득군에 속한 국가 및 선진국과의 비교를 통해 각 요인들이 국내외 가격차이 발생에 어떻게 기여하여 왔는지를 살펴보기로 한다. 이러한 분석은 우리나라 물가구조의 특징을 이해하고 고물가구조의 해소방안을 강 구하기 위한 출발점이라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