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수출시장과 수출인프라 구조

문서에서 해외농업개발의 성공모델과 전략 (페이지 153-160)

Crop, Th tons Yield, T/ha

2.1.3.3. 수출시장과 수출인프라 구조

흑해에 연한 우크라이나는 유수한 곡물수출국가로서 국제시장에서 지위 를 유지해 왔다. 이는 이 지역의 곡물생산량이 내수용 소비량보다 크고, 생 산증가율 역시 내수소비 증가율보다 높기 때문이다. 우크라이나 농산물의 비교우위는 상대적인 낮은 가격수준에서 연유된다. 전통적으로 밀과 보리 는 우크라이나의 주된 수출농작물이었으며, 최근 3~4년 사이에 옥수수의 수출량도 해외수요증가와 생산증가에 힘입어서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

다. 콩은 유지용(Oil Seed) 콩이 수출되고 있는데, 2006년에 가장 수출량이 많았다.

표 3-19. 우크라이나의 곡물수출 추이(2002~2009)

단위: 천 톤 구분 2002/03 2003/04 2004/05 2005/06 2006/07 2007/08 2008/09*2009/10* 총수출량 10,739 2,888 11,283 13,241 9,879 4,112 23,813 16,350 6,542 50 4,325 6,481 3,300 895 12,400 7,750 보리 2,883 1,520 4,315 3,955 5,145, 1,037 6,200 5,000 옥수수 852 1,250 2,300 2,510 1,100 2,080 5,000 3,400

- 61 36 224 420 190 277 175

주: *는 추정치임

자료: Chomiak(2010); USDA(2010).

전통적으로 우크라이나 곡물은 북아프리카, 유럽국가 및 중동국가에 수 출되었다. 여러 해 동안 러시아와의 수출경쟁관계가 지속되었지만 중동지 역 국가와 북아프리카 국가에 대한 수출물량의 비중은 지속적으로 증가해 왔다. 2008/09 곡물연도에는 우크라이나는 북아프리카와 중동국가 시장에 서 가장 강력한 보리수출국으로서의 지위를 회복하였다.

그림 3-14. 수출지역별 보리수출량, 2008/09년도

자료: Chomiak(2010).

그림 3-15. 우크라이나 보리 수입국의 수입량 전망

7300 7500

1700 1000

1700

1000

600 700

275 325 700

0 300

1000 2000 3000 4000 5000 6000 7000 8000

Saudi Iran Syria Jordan Israel Tunisia

2008/09 2009/10

자료: Chomiak(2010).

2009/10년에 들어서 보리생산량은 흑해 연안 국가를 포함하여 전 세계 적으로 감소되었고, 우크라이나로부터 보리를 수입하는 나라의 수입수요 도 다소 감소하게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우크라이나는 북아프리카지역 과 중동지역에 대하여 확고한 밀 수출국 지위를 과거부터 유지해 왔는데, 최근 들어 동남아시아 지역에 대한 밀 수출량이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

한국의 사료용 곡물수입이 크게 증가했으며, 필리핀과 인도네시아의 사료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한 것이 동남아시아지역에 대한 밀 수출량이 증가 한 이유이다.

그림 3-16. 우크라이나 밀의 지역별 수출량, 2008/09

자료: Chomiak(2010).

우크라이나산 옥수수는 벨라루스와 러시아와 같은 전통적인 수입국 이 외에도 남유럽과 아드리안해역 국가의 시장에서 시장 점유율(Share)을 늘 여가고 있다.

최근 3~5년간 80~85%의 곡물수출을 다국적 메이저 곡물상을 통하여 국제시장으로 반출할 정도로 대형 국제곡물상은 우크라이나의 곡물수출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2002년 이래 대부분의 국제곡물무 역상은 농장으로부터 직접 곡물을 구매하는 방식으로 전환하기 시작하였 다. 우크라이나의 산지곡물저장시설의 사유화가 진행되면서(1998~2000) 산지곡물을 수집하여 수출업체의 항구저장시설로 연결시키는 전통적인 중 간상인의 역할이 감소하고 있다.

Bunge, Glencore, Cargill, Luise Dreyfus, Toepfer 등 다국적기업은 우크 라이나 곡물농장과의 관계강화를 위한 새로운 자체 네트워크를 개발하고 있다. 농장에게 농자재를 공급하는 조건으로 곡물인도계약을 체결한다. 연 중곡물가격이 가장 저렴한 7~12월 사이에 연중수출계획 수행에 필요한 대 부분의 곡물을 사전계약에 의해서 수집·확보한다. 주요 곡물거래업체는 유 통비용을 농장에서 항구까지의 판매/구매사슬(Sales/Purchasing chain)의 틀 에서 조정, 결정한다.

수출이 확대되는 과정에서 Nibulon, Grain Trading Company, Inerco (Kernel Group) 등 강력한 우크라이나 곡물기업이 등장하여 다국적 곡물기 업과 경쟁체제를 이루고 있다. 우크라이나 곡물기업은 농장에서 항구까지 의 기본적인 경비를 절감하고 곡물 확보의 불안정성과 위험성을 줄이기 위 하여 농지임차에 의한 직접 농장경영에 참여하는 경우도 늘어나고 있다.

대형 우크라이나 곡물기업은 우크라이나 전 지역에 대리점 또는 대표사무 실을 설치하고 흑해항구로 곡물을 수집·운반하고 있다.

표 3-20. 우크라이나 대형 곡물업체의 수출량

단위: 천 톤 회사명 2003/04 2004/05 2005/06 2006/07 2007/08 2008/09 Glencore To 700 To 2000 To 1900 To 1400 To 500 To 2400

우크라이나에는 흑해 연안항구와 흑해로 연결된 큰 강에 있는 내륙항구 마류폴 Cargill, Inerco, Kulberg Finances,

Toepfer, Noble Resources 아조프해의 남쪽

오데사

Toepfer, AWB, Glencore, Cargill, Bunge, W.J.Grain, Valars, Grain Trade, Inerco, Louis Dreyfus, Nidera

오데사 시내의 흑해

니콜라예프

Nibulon, Inerco, Valars, Cargill, Allseeds, Risoil, Toepfer, Grain Trade

유즈니벅(Yuzhny Buk) 강의 왼쪽 제방

세바스토폴 Cargill, Nidera, Louis Dreyfus, CHS, Soufflet, Noble Resources

크림반도의 남서쪽에 위치한

로는 첫째, 파나막스급의 대형화물선의 접안과 선적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우크라이나 최대항구인 오데사의 곡물취급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것은 농

문서에서 해외농업개발의 성공모델과 전략 (페이지 153-160)